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20:03:08

내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내일(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명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LeaF가 제작한 BMS에 대한 내용은 命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가까운 날짜를 나타내는 표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발화시
-3일 -2일 -1일 0일 +1일 +2일 +3일 +4일
그끄저께 그제 어제 오늘 내일 모레 글피 그글피
{{{#!wiki style="margin: -16px -10px" 사건시
-1일 0일 +1일
전일 당일 익일
막연한 날
과거 현재 미래
지난날 오늘날 뒷날 }}} }}}}}}}}}



1. 개요2. 어원3. 언어별 명칭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오늘이 지나면 오는 날이다. 해가 뜬 뒤를 가리키기도 한다.

2. 어원

올 래()와 날 일()의 합성어로, 그제, 어제, 오늘, 모레, 글피 등은 고유어인 반면 '내일'만은 한자어이다. 그런데 원래는 내일에 들어맞는 순우리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 중기에 송나라 사신 손목(孫穆)이 전기 중세 한국어 단어를 한자로 음차하여 기록한 책인 《계림유사(1103)》에서는 "명일(다음 날)을 할재라 한다(明日曰轄載)"라는 기록이 등장한다. 할재(轄載)는 송나라 시기의 한자음에 따라 우리말을 음차한 것이니 실제 발음은 할제하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

같은 문헌에서는 날짜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기재, 흘재, 오날, 모로가 등장하는데, 이는 현대의 어형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할재'라는 순우리말이 잊혀 한자어 '내일'로 완전히 바뀐 시기는 확실치 않으나, 내일의 옛말인 'ᄂᆡᅀᅵᆯ'이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 무렵부터 바뀌었을 것으로 보인다.

먼 뒷날을 가리키는 '후제'가 여기서 나왔다는 설도 있다. '후제'는 1588년의 《소학언해》에 처음 나오는데, 계림유사를 연구한 진태하 교수는 '하제'가 '후제'로 바뀌며 후일(後日)과 뜻이 같아지자 한자어 '내일'을 쓰게 되었다고 추정했다.

'내일'의 어원에 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다. 먼저 가장 유력한 설은 내일(來日)이 그저 한국식 한자어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장으로, 중세 국어 문헌에서 그때 한자음에 들어맞는 'ᄅᆡᅀᅵᆯ'로도 나타난다는 점이 이를 뒤받쳐 준다.

반면 내일이 고유어에서 온 것이라는 주장도 더러 있다. 대표적인 건 임의의 명사 '*ᄂᆡᄒᆞᆯ'의 소리가 바뀌어 'ᄂᆡᅀᅵᆯ'이 되었다는 것인데, 본디 사흘(3일), 나흘(4일)처럼 접미사 '-흘'이 붙어 있다가 어느 순간부터 한자 날 일(日)로 바뀌었고, (밝을 명)을 쓰는 주변 나라들과 달리 올 래(來)를 쓰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만 이 설은 중세 국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어형과 맞지 않는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는 내일을 'ᄂᆡᅀᅵᆯ'로 쓰고 있으나 'ᅀᅵᆯ'은 오히려 日의 소리었으며 '내흘'에서 온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또한 '내흘'의 '내'가 무슨 뜻을 가졌던지 명확히 해석되지 않았다.

다른 가설로는 '나아오다'와 '-흘'이 합쳐진 뒤 발음이 변했다는 주장이 있다. 내일의 뜻은 '오늘의 다음으로 나아오는 날'이라 풀 수 있으므로 의미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나아오다'를 뜻하는 중세 국어 어휘는 '나ᇫ다'인데, 이를 통해 앞의 가설에서는 나올 수 없었던 어중 반치음을 설명할 수 있다. 즉, 이 가설을 토대로 고어형을 재구하자면 '나ᅀᆞᆯ'이 된다. 그러나 이 또한 'ᄂᆡᅀᅵᆯ'과 들어맞는다 보기는 어렵고, 오히려 더 단순한 음절 구조를 지니고 있으므로 확실한 어원이 되지는 못한다.

3. 언어별 명칭

<colbgcolor=#ff8000,#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내일()[불분명][2], 하제[고유어], 명일()[한자어]
몽골어 маргааш(margaash)
스페인어 mañana
아랍어 غد(ghad)
영어 tomorrow(투모로우)
일본어 [ruby(明日, ruby=あした)],[고유어] [ruby(明日, ruby=あす)],[고유어][7] [ruby(明日, ruby=みょうにち)][한자어]
중국어 (míngtiān)[주로], (míngrì)[드물게][11], (míngr)[방언]
프랑스어 demain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dddddd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f8000,#2d2f34> 독일어 morgen(모르겐)
라틴어 cras
러시아어 завтра
바스크어 bihar(비하르)
베트남어 ngày mai
스웨덴어 imorgon
이탈리아어 domani
카탈루냐어 avui, hui }}}}}}}}}}}}

4. 기타

5. 관련 문서



[불분명] [2] 두 번째 문단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현재 국립국어원을 비롯한 주류 학계에서는 한자어로 판단하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고유어로 보기도 한다.[고유어] [한자어] [고유어] [고유어] [7] 조금 더 격식 있는 표현이다.[한자어] [주로] [드물게] [11] 옛날에 쓰던 표현이다.[방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