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8F5432> | 장기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dcb35c> 게임 구성 | ||
<colcolor=#8F5432> 구성 | <colcolor=#000,#fff>장기판 · 기물(틀) | ||
포진 | 원앙마 포진 · 귀마 포진 · 면상 포진 · 양귀마 포진 · 양귀상 포진 | ||
파생 게임 | 변형장기(꼬마장기 · 십이장기 · 업기장기 · 광상희) · 대전! 가위바위보 장기 | ||
전략 | 낱장기 · 장기 박보(부동수 박보 · 연장군 박보 · 도비 연장군 박보) · 합병 | ||
규칙 | 장군 · 멍군 · 빅장 · 외통수 · 멱 · 행마 · 초읽기 | ||
장기 선수 | |||
기관 | 대한장기연맹 · 대한장기협회 · 한국장기연맹 | ||
장기 기사 | 김동학 · 김경중 · 송은미 · 우창균 · 박영완 · 김기영 · 임대빈 · 이동준 · 김철 · 이창원 | ||
기타 | |||
장기 게임 | 장기 for kakao · 한게임 장기 · Pychess | ||
장기 엔진 | 장기도사 · 스톡피시 | }}}}}}}}} |
1. 개요
장기의 특성상 서로 말을 하나씩 잡고 잡다가 대국이 종반으로 치닫게 되면 적은 수의 기물만 남게 되는 상황이 오는데, 그 상황에서 승패를 결정짓기 위한 정형화된 형태를 낱장기라고 부른다. 여기서 포가 있는 조합은 공격측이 양사일 때를 기준으로 한다. 다른 조합은 자신의 사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빅장을 제외하면 그다지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체스의 엔드게임과 유사하다.하술할 내용에서 양사 또는 외사를 이길 수 있다고 함은 양사를 전멸시킬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양사와 궁 자신의 수비를 뚫고 궁을 몰아세워 외통수[1]를 낼 수 있다는 뜻이다. 이 과정에서 양사는 전멸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설령 전투에서 양사를 다 잡은들 궁 자체도 나름의 이동력과 공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 궁을 잡을 만한 여력이 남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게 된다. 조각장기의 연구는 기본적으로 점수제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 동네장기가 아닌 이상 거의 모든 장기에선 이미 점수제를 도입하고 있고, 그로 인해 승부를 가리는 것 자체는 일단 문제될 것이 없지만, 기물의 점수를 가려 승리하는 것과 완승을 잡는 것(외통수나 기권)은 가치를 다르게 해 구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로들 간의 리그 대회에서 완승/완패/점수승/점수패에 주어지는 승점을 모두 각각 다르게 부여하는 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승부가 기울었다고 판단되면 지고 있는 쪽은 제한된 시간 또는 대국수 이내에 완패를 당하지 않도록 버티기에, 이기고 있는 쪽은 기왕이면 완승을 잡아낼 수 있도록 집중하게 되는 것. 조각전에서 완승을 충분히 잡아낼 수 있을 만한 기물이 남았을 경우 이를 완승기물이라고 한다.
2. 4개의 기물이 남았을 때
궁과 사를 제외한 기물이 4개 이상 남았을 때는 어떤 조합이든 어지간해서는 양사를 이길 수 있다. 다만 장기협회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4졸·4병은 상대가 적절한 수비진영을 갖추면 비기게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로그인 필요[2] 졸병과 상만 섞인 조합의 경우 양사를 이기지 못할 것으로 추측되나 증명되지는 않았다.3. 3개의 기물이 남았을 때
궁과 사를 제외한 기물이 3개 남았을 때 그 3개가 모두 차를 제외한 대기물(포, 마, 상)이면 대삼능이라 부르고, 소기물(졸·병)이 하나라도 있으면 소삼능이라 부른다. 단, 차가 있으면 차삼능이라 하여 대삼능, 소삼능과 별도로 구분한다.3.1. 차삼능
3개의 기물 중 차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차삼능은 세 기물 중 소기물인 졸·병이 있든 없든 차만 있으면 구분 없이 차삼능이라고 부른다.차삼능을 대삼능, 소삼능과 별도로 취급하는 이유는 차의 이동이 자유로운 특성상 궁을 공격하기 쉽기 때문이다. 즉, 대국이 종반으로 가면서 기물이 다 없어져 가는 상황이 될 경우, 차가 살아있다면 이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양차 차삼능은 양차만으로도 승리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양차 포함에 다른 기물이 1개 더 있는 경우 역시 당연히 승리할 수 있다.
차이졸·차이병(차1+졸병2) 조합을 제외한 차삼능은 양사를 이길 수 있다.
양차 차삼능 | ||
조합 명칭 | 조합 | 상대가 양사면 |
양차(차차) | 차2+a | 이길 수 있다.[3] |
외차 차삼능 | ||
조합 명칭 | 조합 | 상대가 양사면 |
차양포(차포포) | 차1+포2 | 이길 수 있다 |
차포마 | 차1+포1+마1 | |
차포상 | 차1+포1+상1 | |
차양마(차마마) | 차1+마2 | |
차마상 | 차1+마1+상1 | |
차양상(차상상) | 차1+상2 | |
차포졸 차포병 | 차1+포1+졸1 차1+포1+병1 | |
차마졸 차마병 | 차1+마1+졸1 차1+마1+병1 | |
차상졸 차상병 | 차1+상1+졸1 차1+상1+병1 | |
차이졸(차졸졸) 차이병(차병병) | 차1+졸2 차1+병2 | 이길 수 없다 (단, 양졸·양병이 모두 궁성에 붙으면 이긴다.) |
옛날에는 차삼능이면 무조건 이긴다는 인식이 있었으나 연구에 의해 차삼능 중 차이졸·차이병만은 양사를 이길 수 없는 조합으로 정립되었다. 물론 이것도 어디까지나 이론일 뿐 변화수가 많고 방어법이 어려운 고급수라 실전에선 프로조차도 양사가 남아 있을 상황에서 차이졸·차이병에 패배하는 대국이 가끔 나온다.
정반대로 차 1개와 다른 대기물 1개로 된 차삼능이라 양사를 이길 수 있는데 공격측이 악수를 둬서 이길 대국을 비기는 상황도 나온다. 이렇듯 차삼능은 실전에서 변화무쌍하기에 제법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3.2. 대삼능
3개의 기물이 모두 차를 제외한 대기물(포·마·상)인 경우를 말한다. 포가 있는 대삼능은 양사를 이길 수 있으나 포양상(포1+상2) 조합만은 예외로 양사를 이길 수 없다. 또한, 포가 없는 양마상(마2+상1)과 마양상(마1+상2) 조합도 양사를 이길 수 없다.포가 있는 대삼능 | |||
조합 명칭 | 조합 | 상대가 양사 | 상대가 외사 |
양포마(포포마) | 포2+마1 | 이길 수 있다 | 이길 수 있다 |
양포상(포포상) | 포2+상1 | ||
포양마(포마마) | 포1+마2 | ||
포마상 | 포1+마1+상1 | ||
포양상(포상상) | 포1+상2 | 이길 수 없다 | |
포가 없는 대삼능 | |||
조합 명칭 | 조합 | 상대가 양사 | 상대가 외사 |
양마상(마마상) | 마2+상1 | 이길 수 없다 | 이길 수 있다 |
마양상(마상상) | 마1+상2 |
옛날에는 포가 하나라도 포함되는 대삼능이면 무조건 양사를 이길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으나 연구에 의해 포가 포함되는 대삼능 가운데 포양상은 유일하게 양사를 이길 수 없는 조합으로 정립되었다. 왜냐하면 장기의 기물 중 상은 이동에 있어 자유도가 매우 낮은 축에 끼는 기물이기 때문이다.
대삼능은 모든 경우에 외사를 이길 수 있다고 한다.
3.2.1. 포포포/마마마/상상상
정규 장기에서는 어느 한쪽 진영 내에 같은 종류의 대기물이 3개 이상일 수 없으나, 변형장기에서는 성립 가능한 조합이다.포가 세 개라면 공격측이 민궁이 아닌 이상 방어측의 양사를 이길 수 있다.[4]
마가 세 개라면 방어측의 형태가 좋을 경우 양사를 이기지 못할 것으로 추측되나 증명되지는 않았다. 단, 외사는 이길 수 있다.
상이 세 개라면 양사는커녕 외사도 이길 수 없다. 그나마 민궁만큼은 간신히 이길 수 있다.
3.3. 소삼능
3개의 기물 중 차가 없고 소기물(졸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양포졸·양포병(포2+졸병1)을 제외한 모든 소삼능은 양사를 이길 수 없다. 그러나 외사 이하인 경우 모든 소삼능이 이길 수 있다.졸병이 하나인 소삼능 | |||
조합 명칭 | 조합 | 상대가 양사 | 상대가 외사 |
양포졸(포포졸) 양포병(포포병) | 포2+졸1 포2+병1 | 이길 수 있다 (단, 공격측도 양사일 경우) | 이길 수 있다 |
포마졸 포마병 | 포1+마1+졸1 포1+마1+병1 | 이길 수 없다 | |
포상졸 포상병 | 포1+상1+졸1 포1+상1+병1 | ||
양마졸(마마졸) 양마병(마마병) | 마2+졸1 마2+병1 | ||
마상졸 마상병 | 마1+상1+졸1 마1+상1+병1 | ||
양상졸(상상졸) 양상병(상상병) | 상2+졸1 상2+병1 | ||
졸병이 둘인 소삼능 | |||
조합 명칭 | 조합 | 상대가 양사 | 상대가 외사 |
포이졸(포졸졸) 포이병(포병병) | 포1+졸2 포1+병2 | 이길 수 없다 | 이길 수 있다 |
마이졸(마졸졸) 마이병(마병병) | 마1+졸2 마1+병2 | ||
상이졸(상졸졸) 상이병(상병병) | 상1+졸2 상1+병2 | ||
졸병이 셋인 소삼능 | |||
조합 명칭 | 조합 | 상대가 양사 | 상대가 외사 |
삼졸(졸졸졸) 삼병(병병병) | 졸3 병3 | 이길 수 없다 | 이길 수 있다 |
옛날에는 소삼능은 양사를 이길 수 없는 조합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나 연구에 의해 양포졸·양포병은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조합으로 정립되었다. 또한 이론상 양사를 이길 수 없는 포마졸·포마병의 경우에도 실전에서 안일하게 대응하다 포마졸·포마병에 패배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다만, 양포졸·양포병이 유일하게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소삼능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공격측도 양사일 경우를 전제로 한 것이다. 양포졸·양포병이라도 공격측이 외사이거나 민궁이라면 방어측이 양사일 때 승리를 보장할 수 없다.
4. 2개의 기물이 남았을 때
궁과 사를 제외한 기물이 2개 남아 있다면 거의 이길 수 없는 상태가 되지만 그 2개 중 차가 있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차가 낀 2개의 기물 조합을 차이능이라고 부른다.4.1. 양차
양차(차2) 조합은 외사는 물론 양사도 이길 수 있다. 양차 조합은 모든 2기물 조합을 통틀어 유일하게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조합이다.4.2. 차이능
차를 포함한 2개의 기물 조합을 말한다. 양차 외의 다른 대기물 조합인 차포(차1+포1), 차마(차1+마1), 차상(차1+상1) 조합은 양사를 이길 수 없으나 외사를 이길 수는 있다. 그러나 차졸·차병(차1+졸병1) 조합은 양사도 외사도 이길 수 없다.[5] 다만 민궁이면 차졸·차병으로도 쉽게 이길 수 있다.차이능 | ||||
조합 명칭 | 조합 | 상대가 양사 | 상대가 외사 | 상대가 민궁 |
양차(차차) | 차2 | 이길 수 있다 | 이길 수 있다 | 이길 수 있다 |
차포 | 차1+포1 | 이길 수 없다 | 이길 수 있다 | 이길 수 있다 |
차마 | 차1+마1 | |||
차상 | 차1+상1 | |||
차졸 차병 | 차1+졸1 차1+병1 | 이길 수 없다 | 졸병이 입궁 상태가 되어 있어야 이길 수 있다 | 이길 수 있다 |
4.3. 차가 없는 2개의 기물 조합
궁과 사를 제외하고 2개 남은 기물 중에 차가 없다면 상대가 양사는커녕 외사인 상황에서도 비길 수밖에 없다. 그나마 상대가 민궁이라면 경우에 따라 이길 수도 있다.4.3.1. 외통장군을 강제할 수 있는 조합과 그 조건
양포, 마졸·마병, 상졸·상병, 이졸·이병은 민궁은 이길 수 있다.단, 양포는 아군 측에 적어도 외사라도 존재하여야 외통을 만들 수 있으며 아군 측이 민궁이라면 외통장군 자체가 불가능하다.[6] 또한 졸병이 존재하는 조합은 졸병이 8선 이전에 입궁하여야 외통을 성립시킬 수 있으며 마졸·마병과 상졸·상병은 졸병이 입궁하지 못한 상태에서 9선에 도달하면, 이졸·이병은 두 졸병이 모두 입궁하지 못한 상태에서 둘 다 8선에 도달하면 역시 외통장군이 불가능해진다.[7]
4.3.2. 외통장군 자체는 가능하나 강제할 수는 없는 조합
포마, 포졸·포병, 양마, 마상, 양상은 외통장군 자체는 가능하나 민궁일 때조차도 외통장군을 당하도록 강제로 유도할 수는 없다.포마는 방어측의 궁이 안궁, 좌중궁, 우중궁, 천궁에 위치한 상황에서 방어측의 궁과 공격측의 포가 일직선상에 놓여 있되 마가 방어측의 궁으로부터 일직선상으로 두 칸 떨어져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포다리로서 기능함에 따라 포장군이 성립되면[8], 포졸·포병은 방어측이 안궁, 좌안궁, 우안궁 상황이라면 공격측의 포를 하포 혹은 궁중포로 만든 뒤 졸병을 방어측의 궁성 중앙에 옮겨서 졸병장군을 부르면, 방어측이 좌중궁 혹은 우중궁 상황이라면 공격측의 졸병을 방어측 궁성의 면자리에 둔 뒤 중포 혹은 하귀포로 만들어서 포장군을 부르면[9], 양마, 마상, 양상은 방어측의 궁이 귀자리에 위치할 때 공격측의 한쪽 기물이 방어측 궁의 바로 옆과, 위[10] 혹은 아래[11]에 가로세로 부분을 장악하는 상태에서 다른 기물이 방어측 궁성 중앙을 장악할 수 있도록 귀를 향해 장군을 치면[12] 외통을 만족할 수 있다.
4.3.3. 외통장군이 불가능한 조합
포상은 외통장군이 아예 불가능하다.5. 기타
비슷한 개념으로 조각장기 또는 조각전이라는 말도 쓰이는데, 이 단어는 기물이 아직 많이 남아 있어도 초반에 서로의 양차를 교환해 버려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에도 쓰이곤 한다.[13] 기물이 줄어들어 멱이 막힐 위험이 줄어들고 최강의 이동력을 자랑하는 기물인 차가 사라진 상황이기 때문에 다방향 원거리 이동이 가능한 마와 상의 입지가 올라간다. 나머지 기물들은 기동력이 부족하거나 이동이 단순해서 어지간한 미스가 없는 한 서로 먹고 먹는 식으로 진행돼 형세를 크게 바꿀 수 없는 것에 비해 이들은 뛸 수 있는 방향이 많아 수읽기를 복잡하게 만들며 양걸이 등이 용이해 점수 & 기물 상의 이득을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이 둘을 묶어 ‘뛰는 기물’ 이라 지칭하며, 상기한 이유들 때문에 조각전에서는 이 뛰는 기물이 많이 남아 있는 쪽이 유리해진다. 특히 상과 달리 이동거리가 너무 길지 않아 사용하기 좋은 마가 최강이라 ‘차 없는 장기는 마가 왕이다’라는 장기 격언이 존재하며, 조각장기에서의 양마는 대단한 위용을 자랑한다. 포는 여전히 강력하지만 지켜주며 다리를 놔줄 기물이 줄어들어갈수록 입지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간다. 서로 휑해진 상황에서 대각선 이동으로 사거리 밖에서 접근해 오는 마에 포가 대처하기가 어렵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정 포가 골칫거리면 마 가진 쪽이 포를 때려 버려도 점수로는 마가 5점에 포가 7점이라 마 가진 쪽이 이득이다. 졸과 병 역시 많이 모여 있으면 중앙에 벽을 형성해 포의 위협으로부터 궁을 지킬 수 있고, 느리게나마 진격할 수만 있다면 거의 차에 준하는 파괴력으로 상대 궁성을 위협할 수 있기에 가치가 올라간다.상대보다 적어도 기물 세 개, 그것도 대기물을 포함해서 앞서야 완승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비슷한 실력이라면 승부를 가르기가 힘들다. 체스의 프로모션이나 쇼기의 기물 재활용, 샹치의 왕장처럼 이걸 보완할 수 있는 규칙도 없으며, 체스의 킹과 달리 궁이 공격에 가담할 수도 없기 때문에 점수제가 없는 장기는 무승부 비율이 매우 높다.
[1] 또는 이를 인지한 상대의 기권[2] 종반 낱장기 유형 총정리로 검색해서 들어가면 된다.[3] 추가 기물 없이 양차만으로도 이길 수 있다.[4] 포는 포를 넘지 못하기에 민궁인 상황에서 공격 기물이 포만 존재한다면 아무리 많은 포들이 있어도 절대로 외통을 만들 수 없다.[5] 상대가 외사일 경우에는 졸이 궁성에 붙으면 사 대신 차여도 반드시 이길 수 있다.[6] 포는 행마법 특성상 다른 기물을 넘어가야만 하기에 포다리의 존재가 필수적인데 민궁이라면 한쪽 포만 궁이 포다리 기능을 할 수 있고 다른 한쪽은 포다리가 전무함에 따라 포로서의 기능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7] 졸병이 너무 올라가버리면 궁이 천궁하는 순간 자연스럽게 수비가 되기 때문이다.[8] 방어측의 궁이 귀자리 혹은 궁중에 위치하면 외통장군이 전혀 불가능하다.[9] 이마저도 후자의 상황에서는 공격측의 궁성에 적어도 외사라도 존재하여야 하며, 민궁이라면 포장군을 부르려 할 때 빅장이 성립해 버리므로 비길 수밖에 없다. 그나마 전자의 상황에서는 공격측이 민궁이라도 졸병을 방어측의 궁성 중앙에 넣어서 외통장군을 만들 수는 있다.[10] 좌안궁 혹은 우안궁 상황에서.[11] 좌천궁 혹은 우천궁 상황에서.[12] 방어측의 궁이 면자리 혹은 궁중에 위치하면 외통장군이 전혀 불가능하다.[13] 체스도 가장 강하며 하나밖에 없는 기물인 퀸을 교환한 후를 엔드게임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