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18:00:21

남광시 전투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아시아/태평양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or: #1D1D1D;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유럽 및 아프리카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국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colbgcolor=#b31c31> 중일전쟁
루거우차오 사건
제2차 상하이 사변
장인 전투
우쑹 전투
난징 전투
충칭 대공습
1939년 동계공세작전
할힌골 전투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창사 전투
남광시 전투
백단대전
코 창 해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비시 프랑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진주만 공습
홍콩 전투
남방작전
제1차 괌 전투
웨이크섬 전투
싱가포르 전투
말레이 해전
마셜-길버트 공습
다윈 공습
로스엔젤레스 전투 공격측 불명
자바 해전
엘우드 포격
실론 해전
둘리틀 특공대
산호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알류샨 열도 전역
코코다 트랙 전투
과달카날 전역
툴라기 전투
테나루 전투
사보섬 해전
마타니카우 작전
동부 솔로몬 해전
에스페란스 곶 해전
산타크루즈 해전
과달카날 해전
타사파롱가 해전
비스마르크해 해전
일-독 잠수함 합동작전
콜롬방가라 해전
뉴조지아 전역
창더 전투
부건빌 전역
타라와 전투
글로스터 곶 전투
헤일스톤 작전
임팔 전투
대륙타통작전
사이판 전투
필리핀해 해전
제2차 괌 전투
펠렐리우 전투
모로타이 섬 전투
앙가우르 전투
오보에 작전
대만 항공전
필리핀 탈환전
레이테 만 해전
일본 본토 공습
풍선폭탄 공격
람리 섬 전투
이오지마 전투
도쿄 대공습
오키나와 전투
페낭 해전
시탕 굽이 전투
구레 군항 공습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남사할린 침공
슘슈 섬 전투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및 결과)는 개별 문서 확인
}}}}}}}}} ||
남광시 전투
Battle of South Guangxi
桂南會戰
桂南会战
중일전쟁의 일부
파일:v2-2e4e8d3d41009826194e43005a64e881_r.jpg
맥심 기관총으로 경계 중인 중화민국 육군 병사
날짜
1939년 11월 15일 ~ 1940년 1월 30일
장소
남광시, 쿤룬 산맥
교전국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
지휘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바이충시|
파일:대만 국기.svg
바이충시
]]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장파쿠이|
파일:대만 국기.svg
장파쿠이
]]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틀:깃발|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문서명
]] 리키치 안도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틀:깃발|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문서명
]] 세이이치 쿠노
전력
병사 15만 명
항공기 100여 기
병사 10만 명
항공기 100여 기
결과
중화민국의 승리
피해규모
5,600명 전사
1만 1,000명 부상
800명 실종
기타 이유로 6,416명 전투 불능
4,000명 이상 전사
4,000명 이상 부상
100명 포로
민간인 11,147명 사망
6,147명 부상 및 실종

1. 개요2. 배경3. 진행
3.1. 난닝 함락3.2. 곤륜관 전투3.3. 일본군의 철군
4. 결과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39년말부터 1940년초까지 벌어진 중일전쟁 당시의 전투.

2. 배경

1939년 10월, 일본군이 제1차 창사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 일본 대본영은 해군의 요구에 따라 중국의 국제 보급로를 철저히 차단하기 위해 화남 방면군에 하이난섬을 점령하고, 향후 남진을 준비시켰다. 당시 중국군은 전투 이후 1939년 동계공세작전을 준비하며 주력 병력을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는 방어 병력이 약화된 상황이었다.

3. 진행

3.1. 난닝 함락

1939년 11월, 일본군은 안도 리키치가 지휘하는 제21집단군 소속의 제5사단, 대만혼성여단, 해군 제2파견함대 및 제3연합항공대를 동원하여 친저우만에 상륙했다. 이들은 11월 15일 룽먼항에서 상륙한 뒤 급속히 북상하여 24일 난닝을 점령한다.

이후 일본군은 곤륜관룽저우 등의 전략적 요충지를 차례로 장악하며 광시성을 거의 통제하게 되었고, 하노이 루트를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

3.2. 곤륜관 전투

12월 18일, 장제스바이충시가 지휘하는 14개 사단과 제한적인 공군 병력을 동원하여 동·서·북 방향에서 일본군을 포위하는 형태로 공격을 시작했다. 북부의 제5군은 두위밍의 지휘 하에 제200사단의 전차를 앞세워 보병사단인 명예 제1사단을 지원하는 전술을 통해 곤륜관 정면을 공격했고, 동시에 일부 병력으로 일본군을 우회하여 곤륜관 전초 기지를 점령했다. 우탕류탕 등 지역도 차례로 탈환했다. 동·서방 병력은 친현, 룽저우, 가오펑아이 등을 공격하며 일본군의 보급선을 위협했다.

일본군은 곤륜관을 사수하기 위해 제5사단의 제21여단을 긴급 파견했으나, 12월 24일 구타오링에서 중국군의 매복 공격에 크게 패했다. 이 전투에서 일본군 제21여단장 나카무라 마사오 소장이 박격포 공격으로 전사했다.

12월 29일, 중국군은 전면 총공격을 개시했으며, 일본군은 약 4,000명의 사상자를 내며 후퇴했고. 31일에는 곤륜관을 완전히 탈환하며 곤륜관 대첩을 이루었다.

3.3. 일본군의 철군

일본군은 방어선을 축소하여 난닝 일대로 퇴각하며 중국군과 대치 상태에 들어갔다. 결국 일본 제국은 난닝을 사수할 병력이 부족하다고 판단, 1940년 1월 30일을 기점으로 전투는 일본군의 철군으로 마무리되었다.

4. 결과

중국군에게 남광시 전투는 중국군이 기계화 부대와 공군, 보병의 협동 작전을 통해 일본군의 강력한 방어선을 돌파한 현대적인 전투로 평가받는다, 일본군은 남광시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동남아시아 진출을 우선시하게 되었으며, 1940년 9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점령으로 본격화된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