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23:06:31

남경교안

1. 개요2. 상세

1. 개요

명나라 시기에 있었던 천주교 박해. 중국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천주교 박해다.

2. 상세

당시 명나라는 예수회 소속 선교사마테오 리치 신부의 전래 이래로 상층노선을 견지하였고 선교질량을 중시했으며 황제의 신임과 선교사의 선교 활동에 관용적인 태도를 확보하려고 애썼다.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대부와 교제하고 과학을 전수하며 신자 그룹을 형성하고 교리적으로는 유교천주교를 조화시켜 안정적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시에 다른 선교사들은 비교적 신자의 질량에 치중하는 하층노선을 택해 각지에 성당을 짓고 일반 백성을 신자로 삼았다. 그리하여 사대부 그룹으로서는 서광계를 비롯해 이름난 사대부들을 첩들을 다 쫒아 보내고 신자로 만들고 유교의 입장에서 천주교가 충분히 양립할 수 있는 이미지를 주었다.

그러나 외래종교이자 사상인 이상 유교, 불교, 도교에서는 천주교의 세가 커짐에 따라 이를 배척하게 되었다. 양정균의 예처럼 불교에서 개종하여 불교계와 키배(...)을 벌이는 사례가 생기면서 1582년부터 남경교안 이전인 1616년까지 크고 작은 교안(박해)가 54건이나 발생하는 등 많은 충돌이 있었다. 토착민 및 유력자들은 "사람을 유혹하고 역모를 꾸민다"고 천주교를 모함했는데, 이는 당시 그 지역에 천주교의 세가 발전하며 백성들의 불안감을 야기시켰기 때문이다.[1]

만력제 44년인 1616년 5월 8일 남경 예부시랑인 심각이 만력제에게 상소함으로서 교안이 시작되게 된다. 심각은 강남 명승인 연지의 제자로 이후로 8월 12월까지 계속 상소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유학이 치국의 근본이며 천주교의 전파는 이에 해롭다.
2. 선교사들이 역법을 수정하고 치국기강을 허물어트렸다.[2]
3. 제사를 반대하고 사람들을 불효하게 한다.[3]
4. 선교사들이 소은과 소혜로 사람들의 마음을 매수하고 주술로 백성을 기만한다.
5. 널리 신자를 부르고 정기적으로 모이는 것은 역모의 위험성이 있으며, 사대부와의 교제는 국가 안위의 문제로 연결된다.

이런 상주문을 올리는 동시에 남경에서 천주교 신자들을 체포하는데, 외국인 선교사 2명, 중국인 신자 14명, 아동 5명이고, 이후 8명을 추가로 체포한다. 12월 28일, 만력제는 선교사들을 돌려보내 지역을 안정시킬 것을 명하고 이에 심각은 선교사들에게 직접 혹형을 가하고 교당을 철거하거나 팔아넘기고, 죽은 선교사의 무덤을 파헤치게 하였다. 이에 대해 천주교 측은 늘 그러듯(...) 순교로 상대하는데 대놓고 자기 인적사항 머리에 적고 잡아가라~ 이러는 사람도 등장하고, 드디어 하옥이란 사람이 최초로 순교하게 되었다. 나머지도 대다수 변방의 군졸이 되었지만 신앙을 버리지 않았다. 또한 사대부 신자들은 사태 수습을 위해 선교사들을 숨겨주거나 황제에게 상소하는 등의 활동을 한다. 이들의 활동이 큰 결실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어쨌든 이들의 보호로 명맥을 이어 갈 수 있었다.

1621년 심각이 예부상서 겸 동각대학사에 오르자 남경에서 재차 선교사를 공격하면서 천주교백련교하고 동일시 시키는 드립을 치기도 하는데, 바로 실각하면서 남경교안은 잠잠해지기 시작한다. 사실 이들이 천주교를 공격한 것은 천주교의 포교에 따른 위협 뿐만이 아니라 이들과 별개인 서양 상인들이 저지르는 문제도 있었고, 이를 중국인들이 구분 못하는 문제 또한 있었다. 어쨌든 남경교안으로 선교사들은 추방당하거나 숨어지내야 했고 그 기간동안 선교는 유지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교인들을 유지하는 데에는 성공하여 1636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 3만 8천 명의 신자가 존재했다고 한다. 실제로 소주, 남창, 남웅은 남경교안 동안 타격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중국인의 입장이고, 이후로 마테오 리치의 선교방법이 실패로 돌아갔다는 평이 나온걸 보면 꽤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당시 중국 인구에 비하면 신자 수 4만은 그야말로 극소수고.


[1] 여담으로 센고쿠 시대일본에서도 이보다 직전에 천주교 신자(기리시탄)에 대한 회의론, 경계론이 역시 대두하고 있었다.[2] 당시 사대부들이 선교사들이 알려 준 수학, 과학에 홀딱 빠졌는데(...) 이 수학을 배워와 역법을 수정하게 되면서 이게 거슬리는 사람이 많았던 듯 하다.[3] 정확히 말하자면, 당시에는 유교제사에 대한 관점은 가톨릭 내부에서도 이견이 많았다. 당시 중국에서 선교하던 수도회로는 예수회, 프란치스코회, 도미니코회가 있었다(세 수도회 모두 오늘날 한국에 진출해 있다). 예수회는 허용하자는 쪽으로, 도미니코회와 프란치스코회는 불허하자는 쪽으로 주장하였다. 이는 전자와 후자가 각각 사대부와 하층민을 위주로 선교하였기에 접하였던 제사 양식이 달랐던 것이다. 예수회는 종교색이 탈색된 단순 의례의 성격을 가진 제사를 접했고, 도미니코회와 프란치스코회는 민간신앙이 섞연 제사를 접하였으니 관점이 당연히 서로 달랐던 것. 오늘날 한국 가톨릭은 제사를 허용하지만, 미신적인 요소들은 금한다. 자세한 것은 제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