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01:44:11

난마돌(태풍)


태풍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나라 1조 2조 3조 4조 5조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담레이
(Damrey)
콩레이
(Kong-rey)
나크리
(Nakri)
크로반
(Krovanh)
트라세
(Trases)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하이쿠이
(Haikui)
인싱
(Yinxing)
펑선
(Fengshen)
두쥐안
(Dujuan)
무란
(Mulan)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기러기
(Kirogi)
도라지
(Toraji)
갈매기
(Kalmaegi)
수리개
(Surigae)
메아리
(Meari)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윈욍
(Yun-yeung)
마니
(Man-yi)
풍웡
(Fung-wong)
초이완
(Choi-wan)
칭마*
(Tsingma)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고이누
(Koinu)
우사기
(Usagi)
고토*
(Koto)
고구마
(Koguma)
도카게
(Tokage)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볼라벤
(Bolaven)
파북
(Pabuk)
노카엔*
(Nokaen)
참피
(Champi)
옹망*
(Ongman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산바
(Sanba)
우딥
(Wutip)
페냐*
(Penha)
인파
(In-fa)
무이파
(Muifa)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즐라왓
(Jelawat)
스팟
(Sepat)
누리
(Nuri)
츰파카
(Cempaka)
므르복
(Merbok)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에위니아
(Ewiniar)

(Mun)
실라코
(Sinlaku)
네파탁
(Nepartak)
난마돌
(Nanmadol)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말릭시
(Maliksi)
다나스
(Danas)
하구핏
(Hagupit)
루핏
(Lupit)
탈라스
(Tala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미
(Gaemi)
나리
(Nari)
장미
(Jangmi)
미리내
(Mirinae)
호두*
(Hodu)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프라피룬
(Prapiroon)
위파
(Wipha)
메칼라
(Mekkhala)
니다
(Nida)
꿀랍
(Kulap)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마리아
(Maria)
프란시스코
(Francisco)
히고스
(Higos)
오마이스
(Omais)
로키
(Roke)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손띤
(Son-Tinh)
꼬마이*
(Co-May)
바비
(Bavi)
룩빈*
(Luc-binh)
선까
(Sonca)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암필
(Ampil)
크로사
(Krosa)
마이삭
(Maysak)
찬투
(Chanthu)
네삿
(Nesat)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우쿵
(Wukong)
바이루
(Bailu)
하이선
(Haishen)
뎬무
(Dianmu)
하이탕
(Haitan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종다리
(Jongdari)
버들
(Podul)
노을
(Noul)
민들레
(Mindulle)
잠자리*
(Jamjari)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산산
(Shanshan)
링링
(Lingling)
돌핀
(Dolphin)
라이언록
(Lionrock)
바냔
(Banyan)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야기
(Yagi)
가지키
(Kajiki)
구지라
(Kujira)
도케이*
(Tokei)
야마네코
(Yamaneko)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리피
(Leepi)
농파*
(Nongfa)
찬홈
(Chan-hom)
남테운
(Namtheun)
파카르
(Pakhar)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버빙카
(Bebinca)
페이파
(Peipah)
페이러우*
(Peilou)
말로
(Malou)
상우
(Sanvu)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풀라산
(Pulasan)
타파
(Tapah)
낭카
(Nangka)
냐토
(Nyatoh)
마와르
(Mawar)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솔릭(태풍)
(Soulik)
미탁
(Mitag)
사우델
(Saudel)
사르불*
(Sarbul)
구촐
(Guchol)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시마론
(Cimaron)
라가사*
(Ragasa)
나라*
(Narra)
아무야오*
(Amuyao)
탈림
(Tal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비
(Jebi)
너구리
(Neoguri)
개나리*
(Gaenari)
고사리*
(Gosari)
독수리
(Doksuri)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끄라톤
(Krathon)
부알로이
(Bualoi)
앗사니
(Atsani)
차바
(Chaba)
카눈
(Khanun)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바리자트
(Barijat)
마트모
(Matmo)
아타우
(Etau)
에어리
(Aere)

(Lan)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짜미
(Trami)
할롱
(Halong)
방랑*
(Bang-lang)
송다
(Songda)
사올라
(Saola)
*: 사용 예정 / 취소선: 변경 예정
}}}}}}}}} ||
제명된 태풍 명칭


1. 개요2. 2004년 제27호 태풍3. 2011년 제11호 태풍4. 2017년 제3호 태풍
4.1. 기록
5. 2022년 제14호 태풍
5.1. 발생 이전5.2. 발생 이후
5.2.1. 9월 20일
5.3. 기록5.4. 피해5.5. 여담

1. 개요

난마돌(Nanmadol)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제출한 태풍이름으로, 뜻은 미크로네시아의 유적지 '난마돌'에서 따왔다.

이 이름을 가진 태풍들 중 유일하게 2017년의 태풍만 슈퍼 태풍이 아니다.
역대 "난마돌" 태풍들의 최전성기 세력
연도/번호 중심기압(hPa) 1분풍속(m/s) 10분풍속(m/s) 최대직경(km)
2004년 제27호 935 67 46 1,000
2011년 제11호[1] 925 72 51 750
2017년 제3호 985 33 28 330
2022년 제14호[2] 910 69 54 1,400

2. 2004년 제27호 태풍

2004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수달 니다 오마이스 콘손 찬투
디앤무* 민들레* 팅팅 곤파스 남테우른*
말로우 머란티 라나님 말라카스 메기*
차바* 에어리 송다* 사리카 하이마
메아리* 망온 도카게 녹텐 무이파
머르복 난마돌 탈라스 노루
← 2003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05년 태풍 →}}}}}}}}}
2004년 태풍
제26호 므르복제27호 난마돌 → 제28호 탈라스
2004년 제27호 태풍 난마돌
위성사진 파일:0427난마돌위성.jpg
진로도 파일:0427난마돌진로.png
활동 기간 2004년 11월 29일 9시 ~ 2004년 12월 4일 15시
영향 지역 미크로네시아 연방, 필리핀, 대만, 일본 류큐 제도
태풍 등급 4등급[JTWC]
10분 등급 매우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대형(직경 1,000km)
최저 기압 93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7m/s
10분 평균 46m/s
피해 사망자 77명
피해총액 6,080만 달러[5]

77명이 사망하는 인명 피해를 낸 대형 태풍이다.

3. 2011년 제11호 태풍

2011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에어리 송다 사리카 하이마 메아리*
망온* 도카게 녹텐 무이파* 므르복
난마돌 탈라스 노루 꿀랍* 로키
선까 네삿 하이탕 날개 바냔
와시
← 2010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2년 태풍 →
}}}}}}}}} ||
2011년 태풍
제10호 므르복제11호 난마돌 → 제12호 탈라스
2011년 제11호 태풍 난마돌
위성사진 파일:1111난마돌위성.jpg
진로도 파일:1111난마돌진로.png
활동 기간 2011년 8월 23일 21시 ~ 2011년 8월 31일 9시
영향 지역 필리핀, 대만, 중국 푸젠 성
태풍 등급 5등급[JTWC]
10분 등급 매우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750km)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72m/s
10분 평균 51m/s
피해 사망자 38명
피해총액 14억 9,000만 달러[8]

2011년 8월 23일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서쪽으로 매우 느리게 이동하면서 필리핀에 피해를 끼쳤다. 그 이후 8월 26일경부터 오키나와 남서쪽을 향해 북진하고 있으며, 8월 28일 대만에 접근하면서 대만에서는 태풍 경보를 발령하였고, 그 뒤에는 중국 푸젠성 지역까지 진출하였다.

다행히 대한민국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또한 8월 25일에 발생한 제12호 태풍 '탈라스'와 거리가 가까워지면 서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우려되었으나, 두 태풍이 서로 만나는 일은 없었다.

관련기사

===# 세력 경과 #===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등급 JMA 등급
8월 23일 21시 - 35kn 열대요란
8월 24일 3시 45kn 40kn 열대폭풍
8월 24일 9시 50kn 45kn
8월 24일 15시 55kn 55kn
8월 24일 21시 60kn 55kn
8월 25일 3시 65kn 55kn 1등급
8월 25일 9시 75kn 65kn
8월 25일 15시 80kn 75kn
8월 25일 21시 90kn 80kn 2등급
8월 26일 3시 115kn 90kn 4등급 매우 강
8월 26일 9시 130kn 95kn
8월 26일 15시 135kn 105kn 맹렬
8월 26일 21시 135kn 105kn
8월 27일 3시 120kn 105kn
8월 27일 9시 110kn 100kn 3등급 매우 강
8월 27일 15시 110kn 85kn
8월 27일 21시 105kn 70kn
8월 28일 3시 105kn 70kn
8월 28일 9시 90kn 60kn 2등급
8월 28일 15시 85kn 60kn
8월 28일 21시 75kn 60kn 1등급
8월 29일 3시 70kn 60kn
8월 29일 9시 40kn 50kn 열대폭풍
8월 29일 15시 50kn 50kn
8월 29일 21시 50kn 45kn
8월 30일 3시 50kn 45kn
8월 30일 9시 45kn 45kn
8월 30일 15시 40kn 40kn
8월 30일 21시 35kn 40kn
8월 31일 3시 35kn 40kn
8월 31일 9시 25kn 35kn 열대저기압
8월 31일 15시 소멸 및 감시 종료

4. 2017년 제3호 태풍

2017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무이파 므르복 난마돌 탈라스 노루
꿀랍 로키 선까 네삿 하이탕
날개 바냔 하토 파카르 상우
마와르 구촐 탈림* 독수리 카눈
사올라 담레이 하이쿠이 기러기
카이탁 덴빈
← 2016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8년 태풍 →
}}}}}}}}} ||
2017년 태풍
제2호 므르복제3호 난마돌 → 제4호 탈라스
2017년 제3호 태풍 난마돌
진로도 파일:1703track.png
활동 기간 2017년 7월 2일 9시 ~ 2017년 7월 5일 9시
영향 지역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도서 지역[9], 본토
[10][11]
태풍 등급 1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330km)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3m/s
10분 평균 28m/s
피해
사망자 42명
피해총액 16억 8,000만 달러[14]

2017년 7월 2일에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약 76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여, 한때 서귀포 남서쪽 해상까지 진출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7월 4일경에 일본 쪽으로 가서 벗어났다.

이 태풍으로 인해 일본 후쿠오카현오이타현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기록적인 강수량으로 인해 산사태, 홍수 등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또한 이 태풍으로 인한 폭풍 영향으로 JR 큐슈 큐다이 본선 테루오카역 - 히타역 구간의 운행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재개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1. 기록

순간최대풍속
(m/s)
(7/3~4)
[15]
공식 제주도 제주 14.9 성산 12.0 고산 11.6
영남권 울릉 19.8 부산 17.4 통영 15.6 양산 12.8 영덕 11.8 대구 11.6 거제 11.4 경주 11.2 김해 11.0 안동 10.4 울산 10.3
호남권 진도첨찰산 16.7 흑산도 14.2 완도 14.0 군산 12.9 목포 12.8 순창 12.7 정읍 12.0 진도 11.8 해남, 광주 11.7 전주 11.4 강진, 보성 11.1 영광, 고창 11.0 여수, 장수 10.4 부안 10.2 고흥 10.0
강원권 태백 16.4 대관령 15.0 정선 13.6
충청권 홍성 14.2 보령 12.6 보은 11.2 금산 11.0 서산 10.9 부여, 청주 10.3 대전 10.0
수도권 강화 15.9 인천 14.2 서울 12.2 양평 11.4 수원 10.7 동두천 10.6
비공식
(AWS)
제주도 삼각봉 18.8 윗세오름 18.4 추자도 17.5 선흘 16.7 어리목 16.3 외도 16.2 진달래밭 16.0 용강 15.4
영남권 광안 19.6 부산북항 19.3 독도 19.1 매물도 18.8 이덕서 16.2 진영 15.7 울기 15.0
호남권 무등산 19.4 십이동파 18.4 담양 18.3 가거도 17.3 홍도 16.4 성삼재 16.0 말도 15.6 갈매여 15.5 새만금 15.4
강원권 원주백운산 21.8 설악산 18.3 사북 16.8 미시령 16.5 구룡령 15.0
충청권 원효봉 23.6 안도 18.5 격렬비열도 17.9 가대암 17.4 계룡산 15.9
수도권 서수도 18.0 관악레이더 17.9 성북 16.7 왕산 16.5 도리도 15.8 안양 15.3 영종도 15.2 의왕오전동, 북악산 15.1

5. 2022년 제14호 태풍

2022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말라카스 메기 차바 에어리* 송다*
트라세* 무란 메아리 망온 도카게
힌남노* 무이파* 므르복 난마돌* 탈라스
노루 꿀랍 로키 선까 네삿
하이탕 날개 바냔 야마네코 파카르
← 2021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23년 태풍 →
}}}}}}}}} ||
2022년 태풍
제13호 므르복제14호 난마돌 → 제15호 탈라스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 display: inline;"'''
{{{#!folding 태풍 등급보기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중형의 초강력 태풍 ( KMA )
대형의 맹렬한 태풍 ( JMA )
4등급의 슈퍼 태풍 ( SSHS ) }}}}}}
위성사진 파일:Nanmadol20220917_17Z.jpg
진로도 파일:Nanmadol20220920track.png
활동 기간 2022년 9월 14일 3시 ~ 2022년 9월 20일 9시
영향 지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전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주도, 경상도
태풍 등급 4등급[JTWC]
10분 등급 맹렬한 태풍[JMA]
태풍 크기 대형(직경 1,400km)
최저 기압 910hPa[KMA][19]
최대 풍속 1분 평균 69m/s
10분 평균 54m/s
피해 사망자 4(5)명[20]
부상 149명 이상
실종 1명
피난민 166만 명
피해총액 12억 달러
(한화 1조 5,669억 6,000만 원)
[21]

5.1. 발생 이전

====# 92W 열대요란 → 16W TD #====
9월 6일 15시, JTWC에서 92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로 지정하고 감시를 시작했다.

9월 7일 15시, JTWC에서 92W 열대요란의 LOW를 취소하였다.

9월 9일 22시 30분, JTWC에서 일본 도쿄 남동쪽 해상에 위치한 92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로 다시 지정하고 감시를 시작했다. 그리고 JMA 일기도에서는 92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10hPa의 열대요란으로 표시하고 있다.

9월 10일 15시, JMA 일기도에서는 92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하고 있다.

9월 11일 6시 30분, JTWC에서 일본 이오섬 북쪽 해상에 위치한 92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EDIUM으로 격상하였다.

9월 11일 15시, JMA 일기도에서는 92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하고 있다.

9월 12일 11시, JTWC에서 일본 이오섬 남서쪽 해상에 위치한 92W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HIGH로 격상하였다.

9월 12일 15시, JMA 일기도에서는 92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표시하고 있다.

9월 13일 3시, JMA에서 92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압부로 해석하면서 태풍발생예보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JTWC 기준으로 1분 평균 풍속이 25kn(13m/s)로 해석됨에 따라 16W TD로 지정되었다.

5.2. 발생 이후

====# 9월 14일 #====
2022년 제14호 태풍 난마돌(NANMADOL)9월 14일 3시에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직경 670km[22]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1,3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9월 14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4hPa, 10분 평균 풍속 21m/s, 10분 순간풍속 3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9월 14일 21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0hPa, 10분 평균 풍속 23m/s, 10분 순간풍속 33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 9월 15일 #====
9월 15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26m/s, 10분 순간풍속 36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고, 강풍 직경이 670km에서 720km[23]로 더 커졌다.

9월 15일 9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80hPa, 10분 평균 풍속 28m/s, 10분 순간풍속 41m/s로 발달하였다.

9월 15일 12시에 JMA 기준 강풍 직경이 720km에서 대형급인 1,200km[24]로 급격히 커졌다.

9월 15일 15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75hPa, 10분 평균 풍속 31m/s, 10분 순간풍속 44m/s로 발달하였다. 또한, JTWC 기준 1분 평균 풍속 65kn(33m/s)으로 해석됨에 따라 1등급으로 격상되었다.

9월 15일 21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70hPa, 10분 평균 풍속 33m/s, 10분 순간풍속 49m/s로 발달하였다.

====# 9월 16일 #====
9월 16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65hPa, 10분 평균 풍속 36m/s, 10분 순간풍속 51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고, 강풍 직경이 1,200km에서 1,210km[25]로 조금 더 커졌다.

9월 16일 6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60hPa, 10분 평균 풍속 39m/s, 10분 순간풍속 54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9월 16일 9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50hPa, 10분 평균 풍속 44m/s, 10분 순간풍속 62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9월 16일 14시 경 일본 요코하마국립대학에 위치한 태풍 과학 기술 연구 센터의 태풍 관측 연구소에서 류큐대학과의 협조를 통한 비행기 실측을 진행하였다. 실측 결과 중심기압 940hPa를 관측하였다.

파일:KTKO52_202209161600_108_23.png
9월 16일 16시를 기해 KMA에서 태풍예비특보와 풍랑예비특보가 발효되었다. 태풍예비특보는 09월 17일 밤(18시~24시)부터 남해동부바깥먼바다에 태풍특보로 변경되고, 풍랑예비특보는 09월 17일 새벽(00시~06시)부터 제주도남쪽바깥먼바다, 남해동부바깥먼바다에, 09월 17일 오후(12시~18시)부터 제주도남서쪽안쪽먼바다, 제주도남동쪽안쪽먼바다, 제주도앞바다(제주도남부앞바다), 남해동부안쪽먼바다에 풍랑특보로 변경될 예정이다. 또한, 태풍의 전면에서 불어오는 동풍의 영향으로 경상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순간최대풍속 30m/s 이상의 매우 강한 바람과 동시에 지형적인 영향이 평상시에도 있는 울산광역시경주시, 포항시 지역에서는 시간당 100mm 이상의 폭우가 예고되며 지난 태풍 힌남노의 피해복구가 아직도 채 끝나지 않고, 진행 중인 가운데, 또다시 매우 강하고 많은 비바람이 예고되어 피해가 우려된다.

9월 16일 18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45hPa, 10분 평균 풍속 44m/s, 10분 순간풍속 62m/s의 세력으로 중심기압이 하강하였다.[26]

파일:난마돌밤위성사진.png
히마와리 8호가 19시에 전해준 위성사진을 보면 눈이 매우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9월 16일 21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25hPa, 10분 평균 풍속 49m/s, 10분 순간풍속 69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 그리고 태풍 난마돌이 일본 다이토 제도에 근접하면서 JMA의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가 시작되었다.

====# 9월 17일 #====
9월 17일 0시에 JMA 기준 강풍 직경이 1,210km에서 1,400km[27]로 더 커졌다.

9월 17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10hPa, 10분 평균 풍속 54m/s, 10분 순간풍속 75m/s의 세력으로 발달하였다.[28][29]

9월 17일 9시 경 일본 요코하마국립대학에 위치한 태풍 과학 기술 연구 센터의 태풍 관측 연구소에서 류큐대학과의 협조를 통한 비행기 실측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태풍 난마돌에 대한 실측은 이번 실측이 마지막이라고 한다.
실측 결과 중심기압 911hPa댓글 참조, 129kn[30]의 풍속을 관측하였다.

파일:091715 난마돌.png

한국 기상청의 9월 17일 15시 예보 기준으로 18일 15시에 중심기압 920hPa, 10분 평균 풍속 53m/s의 매우 강한 세력으로 일본 규슈에 접근하여, 오는 9월 19일 3시에 중심기압 940hPa, 10분 평균 풍속 47m/s의 매우 강한 세력으로 규슈에 상륙한다는 예보라서 규슈에 매우 큰 피해가 예상된다.

파일:히마와리난마돌.jpg
히마와리 8호가 19시에 보내준 사진을 보면 어제보다 조직이 발달된 것을 볼 수 있다.

====# 9월 18일 #====
9월 18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20hPa, 10분 평균 풍속 51m/s, 10분 순간풍속 72m/s의 세력으로 다소 약화되었다. 9월 18일에는 일본 가고시마현 야쿠시마초의 실측치가 태풍 난마돌 세력 해석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9월 18일 6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25hPa, 10분 평균 풍속 49m/s, 10분 순간풍속 69m/s의 세력으로 다소 약화되었다.

9월 18일 11시 51분에 야쿠시마초에서 순간최대풍속 50.9m/s가 기록되었다.

9월 18일 12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30hPa, 10분 평균 풍속 46m/s, 10분 순간풍속 67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파일:ifs_atri_108_202209180600_1.png

9월 18일 12시 행정안전부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단계를 2단계로 격상하고, 태풍·호우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했다. 또한 부산·울산·경남·경북·전남·제주 등 6개 시도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가 가동 중이며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등 11개 유관기관에서도 비상단계를 운영 중이다. #

9월 18일, 태풍 난마돌의 열기가 바람을 타고 유입되면서 대한민국 대부분 지역의 기온이 32도를 웃돌았다. #

9월 18일 1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30hPa, 10분 평균 풍속 46m/s, 10분 순간풍속 67m/s의 세력으로 야쿠시마초를 통과하였다.

9월 18일 13시 10분에 야쿠시마초에서 932.3hPa의 해면기압이 관측되었다.

9월 18일 17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40hPa, 10분 평균 풍속 44m/s, 10분 순간풍속 62m/s의 매우 강한 세력으로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기모츠키군 미나미오스미초에 상륙하였다.[31]

파일:091818 난마돌.png

한국 기상청 9월 18일 18시 기준 예보.

9월 18일 18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40hPa, 10분 평균 풍속 44m/s, 10분 순간풍속 62m/s의 세력으로 가고시마만을 통과하였다. 가고시마시에서의 실측치를 일본 기상청에서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9월 18일 19시에 가고시마시에 재상륙하며 940.8hPa의 해면기압이 관측되었다.

9월 18일 21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55hPa, 10분 평균 풍속 39m/s, 10분 순간풍속 54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 9월 19일 #====
9월 19일 0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60hPa, 10분 평균 풍속 36m/s, 10분 순간풍속 51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9월 19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65hPa, 10분 평균 풍속 36m/s, 10분 순간풍속 51m/s의 세력으로 중심기압이 상승한 뒤 북진하였다.

9월 19일 6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0hPa, 10분 평균 풍속 33m/s, 10분 순간풍속 49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고 일본 후쿠오카시 부근 육상에서 북동진으로 전향을 시작하였다.

파일:091909 난마돌.png

9월 19일 9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75hPa, 10분 평균 풍속 31m/s, 10분 순간풍속 44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9월 19일 14시에 JMA 기준으로 태풍 난마돌이 동해상에 진출한 뒤 15시 현재 계속 북동진중이다.

9월 19일 18시에 JMA 기준으로 중심기압 980hPa, 10분 평균 풍속 28m/s, 10분 순간풍속 41m/s로 약화되었다.

5.2.1. 9월 20일

9월 20일 3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26m/s, 10분 순간풍속 36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다. 그리고 JTWC에서 마지막 정보를 가장 먼저 발표하였다.

9월 20일 9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태풍 난마돌이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면서 매시간 태풍정보 발표와 공식 예보 모두 종료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태풍 난마돌이 중심기압 99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면서, 한미일 3국의 태풍 예보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 세력 경과 #===
출처
<colcolor=#fff><rowcolor=#fff><colbgcolor=#3594D3>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등급 JMA 등급
9월 14일 3시 35kn 35kn 열대폭풍 TS
9월 14일 9시 40kn 35kn
9월 14일 15시 45kn 40kn
9월 14일 21시 45kn 45kn
9월 15일 3시 50kn 50kn STS
9월 15일 9시 55kn 55kn
9월 15일 15시 65kn 60kn 1등급
9월 15일 21시 75kn 65kn TY(Strong)
9월 16일 3시 85kn 70kn 2등급
9월 16일 9시 110kn 85kn 3등급 TY(Very Strong)
9월 16일 15시 115kn 85kn 4등급
9월 16일 21시 130kn 95kn
9월 17일 3시 135kn 105kn Violent(STY)
9월 17일 9시 130kn 105kn
9월 17일 15시 130kn 105kn
9월 17일 21시 125kn 105kn
9월 18일 3시 115kn 100kn TY(Very Strong)
9월 18일 9시 105kn 95kn 3등급
9월 18일 15시 95kn 90kn 2등급
9월 18일 21시 80kn 85kn 1등급
9월 19일 3시 70kn 70kn TY(Strong)
9월 19일 9시 60kn 60kn 열대폭풍 STS
9월 19일 15시 55kn 60kn
9월 19일 21시 50kn 55kn
9월 20일 3시 45kn 50kn
9월 20일 9시 40kn - 소멸
9월 20일 15시 소멸 및 감시 종료

5.3. 기록

출처(지역별상세관측자료(AWS))[32]
순간최대풍속
(m/s)
(9/18~)
공식 제주 고산 25.8
경상 울릉 34.4 부산 23.2
전라 여수 24.9 흑산도 24.8
강원
충청
수도권 백령도 22.5
비공식
(AWS)
제주 지귀도 28.0 한라산남벽 24.5 윗세오름 24.1 사제비 23.0 안덕화순 21.9 월정 20.2 삼각봉 20.1
경상 오륙도 33.9 이덕서 30.5 구룡포 29.3 가덕도 28.2 매물도 26.9 울산공항 26.8 울주온산 25.2 포항공항 25.1 신포 24.8 부산 남구 24.7 장생포 23.0 서이말 22.9 송백 22.9 부산(레) 22.8 부산 북구 22.1 북창원 21.6 태하 21.4 영덕 21.4 독도 20.7
전라 옥도 26.7 설천봉 26.3 하태도 24.8 말도 21.3 광양백운산 20.1 고흥포두 20.0
강원 향로봉 24.6 설악산 16.9
충청 옹도 22.1 원효봉 18.9 계룡산 17.7
수도권 전곡항 21.9 덕적도 18.8 관악(레) 17.0
순간최대풍속 순위
TOP5
(m/s)
(9/18~)

1. 울릉 34.4

2. 오륙도(부산) 33.9

3.이덕서(울산) 30.5

4. 구룡포(포항) 29.3

5. 정자(울산) 28.5
최저해면기압
(hPa)
(9/18~)
공식 제주
경상 부산 986.1
전라
강원
충청
수도권
비공식
(AWS)
제주
경상 서이말 986.0 욕지도 987.2 밀양 989.5
전라 거문도 987.6
강원
충청
수도권

5.4. 피해

5.5. 여담


[1] 1분풍속 부문[2] 중심기압, 10분풍속 부문[JTWC] [JMA] [5] 2004 USD[JTWC] [JMA] [8] 2011 USD[9] 사키시마 제도, 이즈 제도[10] 규슈, 시코쿠, 주고쿠, 간사이, 도카이, 간토[11] 일본 본토 및 도서 지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당시 직경은 고작 295km(330km는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기 직전(7월 4일 21시 ~)의 강풍 영역)로 대단히 작아 대만, 필리핀 지역의 직접적인 영향은 매우 미미했으며 마찬가지로 한반도 역시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지는 않고 풍랑 및 강풍주의보 정도로 끝나는 간접적인 영향만 받았다.[JTWC] [JMA] [14] 2017 USD[15] 순간최대풍속 기록 출처(지역별상세관측자료)[JTWC] [JMA] [KMA] 중심기압 915hPa, 10분 최대풍속 55m/s[19] JTWC 관측 기압값: 916hPa[20] 일본 기준. 9월 18일 오후 7시경 제주도 해안가 바위에서 낚시를 하던 한 남성이 파도에 휩쓸려 사망했지만 안전사고인 것으로 판명되어 공식적으로 집계되지 않아 한국 측 사망자는 없다. 영문판 위키피디아 2022년 태풍에서는 5명으로 집계되어있다.[21] 2022 USD[22] 남동쪽 390km, 북서쪽 280km[23] 남동쪽 390km, 북서쪽 330km[24] 대칭 반경 600km[25] 동쪽 650km, 서쪽 560km[26] 일본 기상청에서 비행기 실측을 어느 정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27] 동쪽 750km, 서쪽 650km[28] 중심기압 910hPa는 힌남노를 뛰어넘는 수치다.[29] 태풍 크기(대형급, 하이선 1,150km, 난마돌 1,400km)와 세력(기압 910hPa, 10분 54m/s, 1분 69m/s)이 2020년 태풍 하이선과 동일하다. 똑같이 9월에 발생, 똑같은 대형급에 세력이 오차 없이 동일한 태풍이 고작 2년만에 발생한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30] 약 66m/s. 1분 평균 풍속이라고 한다. 이게 눈벽에서 관측된거라고 한다면 10분 평균 풍속으로 환산했을 경우 105kn. 약 54m/s라고 한다.[31] 대한민국을 휩쓴 힌남노는 상륙 당시 한국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55hPa, 10분 평균 풍속 40m/s,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65hPa, 10분 평균 풍속 36m/s의 강한 세력인 것에 비해 훨씬 더 강력함을 알 수 있다.[32] 최대순간풍속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왼쪽에서 두 번째에 있는 분류 선택 탭의 기본값은 '기온(월범위)'인데, 여기에서 '일최대순간풍속' 분류로 바꾸면 된다.[33] 연합뉴스 기사에는 에히메현이라 적혔으나, 愛知와 愛媛를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 에히메현에는 토요하시시가 없다. NHK 보도[34] 참고로 일본 웨더뉴스 채널에서 Ocean Hotel Iwato 채널과 협업해서 실시간 송출을 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