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5:53:37

김창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김창렬'''{{{#!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속어}}}에 대한 내용은 [[창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창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창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김창열과 이름이 똑같은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창열(동명이인)]]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김창열(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김창열(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김창렬과 이름이 똑같은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창렬(동명이인)]]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김창렬(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김창렬(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속어: }}}[[창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창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창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김창열과 이름이 똑같은 동명이인: }}}[[김창열(동명이인)]]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김창열(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김창열(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김창렬과 이름이 똑같은 동명이인: }}}[[김창렬(동명이인)]]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김창렬(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김창렬(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margin: -15px 0px -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dj doc.jpg
DJ DOC
디제이 디오씨
}}}
{{{#!folding [ 전 멤버 ]

}}}
<colbgcolor=#000><colcolor=#fff> 김창열
金昌烈 | Kim Chang Youl
파일:김창열_프로필.jpg
출생 1974년 1월 19일[1][2] ([age(1974-01-19)]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3]
거주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관 김해 김씨[4]
신체 182cm, 65kg[5], 275mm, AB형[6]
가족 남동생 김창범(1976년생)[7]
배우자 장채희(1980년생, 2003년 결혼~현재)[8]
아들 김주환(2004년 3월 13일생)[9]
딸 김주하(2013년 5월 14일생)
학력 서울북성국민학교 (졸업)
방화중학교 (졸업)
공항고등학교 (중퇴)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합격)
공항고등학교 (명예졸업)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 / 학사)
병역 병역면제 (폐결핵)[10]
소속사 다원씨앤씨컴퍼니
소속 그룹 DJ DOC
데뷔 1994년 DJ DOC 1집 슈퍼맨의 비애
MBTI ENFP[11]
별명 창렬, 스트리트 파이터, 롤로노아 창렬
취미 비디오감상, 포켓볼
특기 농구, 당구
종교 개신교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12]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방송 프로그램4. 포지션
4.1. 메인보컬
5.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5.1. 고정 판정단 참여5.2. 151, 152회
6. 논란 및 사건 사고7. 기타8. 참고 자료

1. 개요

파일:attachment/김창렬가족.jpg
2007년 KBS 토크쇼 여유만만 출연시절[13]
대한민국가수이자 남성 3인조 그룹인 DJ DOC의 메인보컬.

2. 생애

6살 때부터 유행가에 심취하기 시작했는데, 그 중 가장 즐겨 불렀던 노래가 최병걸의 <난 정말 몰랐었네>였다. 후술할 1995년 일간스포츠 연재물 <스타스토리>에 따르면 자신의 가창력은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았다고 하는데, 아버지는 노래에 흥미를 지닌 데다가 하모니카를 부는 데 능했고, 5년 동안 중동 건설현장으로 떠나 있을 때도 카세트 테이프에 '테이프 편지'를 녹음하며 하모니카 연주까지 곁들이기도 했다.

학창 시절에도 가장 좋아했던 과목은 음악이었으며, 학력은 중졸. 정확히는 고등학교 중퇴였으며, 고교 중퇴 후 우연히 다운타운가의 DJ로 활약하다가 1994년에 박정환, 이하늘과 함께 'DJ DOC'를 결성해 가수로서 입지를 다졌고, 1998년 솔로 앨범을 낸 바 있다.

한때 크루아상 전문점을 운영하며 사업적으로도 자리를 잡고 있다. 클럽을 오픈한 적도 있었지만, 현재는 폐업했다.[14] 이후 2009년 8월 26일, KBS 1TV <반갑습니다 선배님> 다음날 방영분 촬영 도중 모교인 서울 공항고등학교 교장으로부터 명예졸업장을 받았다. 그 후 2010년 8월 2일에 있던 검정고시를 치르고 마침내 8월 24일에 합격했다. 검정고시를 본 이유는 자기 아들에게 부끄럽지 않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당시 올레TV 채널이었던 채널원(현 NQQ)의 '되면 한다 열혈교실'의 진행을 맡아 스타 강사들의 과외 지도를 받는 학생들과 함께 공부를 하게 되면서 검정고시와 수능을 보았다.

그리고 이 기세를 몰아서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도전했다. 쳐 본 감상은 다 어렵다였다.[15] 500점 만점에 250점이 목표였고, 넘을 자신도 있었다는데, 시험이 끝난 후에는 잘 모르겠다고 답변했다. 그런데 수능날 기자들에게 찍힌 사진 중에 숙취 해소 음료를 들고 들어오는 사진이 있어 화제가 됐다. 최종 결과는 250점은 넘겼으며, 300점은 넘겼냐는 질문에는 웃음으로 무마했기에 대강 짐작이 된다. 이어서 경희사이버대학교에 합격했다는 소식이 나왔다.

대표적인 방송출연작에는 천하무적 야구단에서 고정 멤버로 활약을 했고, 이전에는 케이블 프로그램인 현장토크쇼 TAXI에서 MC를 맡은 경험도 있는데, PD 폭행 루머에 휘말려 중도 하차했다.

2017년 12월 17일, 창렬하다라는 안 좋은 유행어 때문인지 기존 활동명인 김창렬에서 김창열로 변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원래 이름이 김창열이었는데 김창렬로 불리던 것을 바로잡은 것이라 한다. # 즉, 기존에 관행상 사람들이 ㄴ삽입하여 [창녈], IPA로는 [tsaŋ.njəl]이라 불렀으나, 원래 이름은 ㄴ삽입 없이 창열 [tsaŋ.jəl] 이었던 것. 이를 존중하여 발음해주는 것이 옳다.[16]

2021년 3월 11일, 싸이더스HQ 대표로 추대되었으나, 이현배 사망 당시 보인 태도로 인해 2개월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3. 방송 프로그램

<올드스쿨2> 프로그램을 스푼라디오에서 진행하고 있다.
SBS 라디오 장수 프로그램이던 '올드스쿨'을 4년만에 '올드스쿨2'로 스푼라디오에서 진행한다.
'올드스쿨2'는 3040 연령을 타겟으로 직장인들을 위한 다양한 코너를 선보이고 있다.
그때 그 시절 인기 가요 메들리와 매일 재미난 주제의 사연을 월-금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소개하고 있다.

4. 포지션

4.1. 메인보컬

이미지가 매우 나빠서 음악적인 부분이 잘 부각이 안 되긴 하나, 예나 지금이나 1990년대 가요계에서 이재훈, 김종국, 김지훈[17] 등과 함께 가창력이 매우 뛰어난 댄스 가수로 꼽혀왔다. DJ DOC가 옛부터 그렇게나 내외적으로 사건사고나 구설수에 심심하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성공을 거두면서 한국 가요계의 대표 그룹으로 올라설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 그 특유의 초고음역대 소화 능력과 독특한 미성의 목소리, 리듬감 있고 소울풀한 표현력과 애드리브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워낙 독특한 보컬리스트이기 때문에 모창자가 없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실제로 DOC의 대표 히트곡들 중 머피의 법칙, Run to You[18] 두 곡을 김창열처럼 쉽고 개성있게 소화하는 사람 자체가 드물며, 다른 가수들조차도 이 곡을 커버할 땐 키를 낮추곤 한다. DOC 활동을 잠깐 쉬면서 불렀던 솔로 발라드 곡인 '약속' 역시 숨겨진 명곡으로 통하며, 이 솔로 앨범은 보컬리스트 김창열의 역량을 잘 보여준다는 호평을 받았다.이때가 리즈로 가장높은 곡이 "안개속으로"(3옥타브솔)이기도 하다.https://chk1617.tistory.com/780 참고



그야말로 DOC 스타일에 최적화된 보컬. 특히 제대로 연습생을 거친 적도 없고, 불규칙한 생활에 잦은 음주에도 불구하고 20년 가깝도록 음색이나 음역에 큰 손색이 없다는 건 타고난 게 아주 좋다는 이야기. 실제로 20대 시절 음원과 현재 라이브를 비교해 보면 기본적인 음색과 피치, 파워 자체가 전혀 손상되지 않았다. 때문에 목소리만 들어보면 전혀 40대 중년 남성의 목소리라고는 믿겨지지 않는다.

초고음을 힘 안 들이고 쩌렁쩌렁하게 내지르는 것이 주특기. 하이 테너이며, 그냥 타고난 목소리 자체가 웬만한 여성들보다도 높을 정도로 굉장히 하이톤이다. 김창열의 올드스쿨 라디오를 들어보면 알겠지만, 웃을 때 3옥타브 솔(G5), 라(A5)가 그냥 찍힐 정도. '나의 성공담', '약속', '기억속으로'를 들어보면 알겠지만 타고난 피치 자체가 그냥 여성의 피치에 가깝다. 판타스틱 듀오에서는 코요태의 순정을 앉아서 원키로 그냥 부른 적도 있었다.[19] 임창정컬투쇼에서 한 증언에 따르면 노래방에서 고음 배틀할 때 늘 김창열이 이긴다고 한다. 임창정의 증언으로는, 김창열은 담배도 20년 전에 진작에 끊어서 목 상태가 아주 좋은데다가 뱃심이 매우 좋아서 고음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톤이 매우 높고 튼튼한 성대를 가진 사람이 근력도 좋은 케이스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고음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성량도 매우 좋은 편이며 라이브의 기복도 적은 편이다. 이 때문에 '가창력만큼은 그래도 인정한다', ‘노래 하나만큼은 혜자다’ 등의 평가가 나왔으며, 또한 DJ DOC 자체가 힙합 기반 음악을 하는 팀이고, 본인도 DJ 출신으로서 흑인 음악을 많이 접했기 때문에 리듬감이 좋은 편이다.

하지만 2010년도 이후로는 나이를 먹어서 그런지 음정이 플랫되거나 하는 일이 많아졌다. 애초에 박자 감각이나 음정이 정확하고 발성이 완벽한 정통파 보컬이라기보단 타고난 것에 의존하는 성향의 보컬이기 때문에 한계가 보이기도 한다. 이 점 때문에 호불호가 꽤 갈리는 보컬이기도 하다.

DJ DOC 4집에 수록된 '삐걱삐걱'의 무삭제 버전[20]이나 같은 앨범의 'Everybody'에선 랩을 하기도 했다.

5.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5.1. 고정 판정단 참여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5차 경연부터 고정으로 판정단으로 합류했으며, 초반에는 막귀 캐릭터로 가는 듯 하다가 나중에는 상황을 정리하는 정리 요정 기믹을 맡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다가 원더보이즈 폭행 사건으로 피고소 당한 이후로 19차 경연부터 판정단으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다가... 한참 뒤에

5.2. 151, 152회

▲ 첫인상 ▲ 삐딱하게 ▲ 가시
2018년 4월 29일, 5월 6일 76차 경연에서 나와라 가제트 만능목소리 가제트 형사라는 가명으로 참가해서 여자의 변신의 무죄 요술공주 밍키, 집으로 갈까요 가왕석으로 갈까요 차라리 판정단으로 갈까요 나침반, 인도인도 인도사이다 보컬 타지마할을 차례대로 꺾고 우승자가 되면서 맹활약을 펼쳤다.

특히나 2라운드에서 나침반과 개인기 대결을 겨룰 때 볼링 개인기를 선보이기 전, 볼링핀을 세우다가 바지가 찢어지는 대참사가 벌어졌으며, 또 한 번 세우다가 이번에는 가면의 만능 팔이 골대에 걸렸고, 그 이후에 볼링 180점이 나온다고 말하고 자기도 해보고 싶었는지 볼링을 두 번 쳤는데 한 번은 빗나갔으며 마지막은 밑바닥의 턱에 걸려서 아예 관객석에게 날아가 버렸다. 이렇게 예능적인 면에서도 맹활약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때 연예인 판정단들이 직접 이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정체를 뻔히 알고 말하는 것이 티 날 정도였다. 정체를 밝힌 후에는 2년 동안이나 섭외가 들어왔지만 꾸준히 거절했는데 메인 작가와 같이 술을 먹다가 술김에 출연을 결정했고 혼자 무대에 서는 것이라 두려웠지만 막상 노래를 부르고 나니 후련했고 오랜만에 앨범 발매를 준비하는 중이고, 악동 이미지[21]가 있지만 앞으로는 '아저씨' 느낌으로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여담으로 3연속으로 52표를 받았는데 역대 참가자 중 최초로 1~3라운드에서 같은 표를 받은 참가자다.
나와라 가제트 만능목소리 가제트 형사
<rowcolor=#ffffff> EP. 방송 날짜 곡명 원곡자 VS. 득표수
76-1 2018년 4월 29일 첫인상 김건모 여자의 변신의 무죄 요술공주 밍키 52
76-2 2018년 5월 6일 삐딱하게 지드래곤 집으로 갈까요 가왕석으로 갈까요 차라리 판정단으로 갈까요 나침반 52
76-3 가시 버즈 인도인도 인도사이다 보컬 타지마할 52
76-K 성대천하 유아독존 동방불패 28

6.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창열/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창열/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창열/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8. 참고 자료


[1] 음력 1973년 12월 26일.[2] 1995년 일간스포츠 <스타스토리> 기사 참고. # 데뷔 초기부터 소속사의 지시뿐만 아니라 고교생 가수로 활동을 하고 싶었기에 1975년생으로 해 왔고 한때 포털사이트 인물 정보상으로도 이런 식이었으나, 2007년 6월 28일자 MBC 드라마넷 <삼색녀토크쇼>를 통해서 실제 생년이 음력 1973년 12월 26일이라고 밝혔다.[3] 그리고 아래 학력 때문인지는 몰라도, 한때 서울특별시 강서구 또는 경기도 김포시 출신이라고 잘못 알려진 적이 있었다.[4] 김창열의 이름 끝에 '열(烈)'자 때문에, 김창열이 경주 김씨 상촌공파 20세손 끝 '烈'자 돌림 쓴 거 아니냐는 추측과 게다가 하필 김창열의 자녀들이 가운데가 '주'자 돌림이라서 자녀들이 경주 김씨 상촌공파 21세손 가운데 '주(周)'자 돌림 쓴 거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기에 그래서 김창열은 경주 김씨라고 추측한 사람들이 아주 많았는데 옛날 인터뷰에서 김창열 자신은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라고 확실히 밝혔다. 그리고 김창열의 가족 항목에 김창열의 남동생 이름을 확인해도 김창열은 끝에 '열(烈)' 돌림이 아니라, 가운데 '창(昌)' 돌림 자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러기에 김창열은 경주 김씨가 아니다.[5] Rakuten Viki[6] Zum 프로필 기준.[7]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동생뿐만 아니라 군 복무 중 사고로 사망한 형이 있었다. 아버지는 1998년, 어머니는 2000년에 사망했는데 부모님 두 분 다 환갑이 되기 전에 사망했다.[8] 중화민국(대만) 국적의 화교 3세이며 부산 출신이다.[9] 고등학교 1학년때 이미 아버지의 키를 넘은 185cm였다고 한다. 현재는 188cm. 그리고 2023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수시 전형으로 합격했다.[10] 허나 이를 두고 병역비리 논란이 있었다.[11] #[12] 스팸 게시물이 올라와 있는 것으로 보아 해킹을 당한 것으로 보인다.[13] 왼쪽부터 김창열, 아들 김주환, 아내 장채희. 딸 김주하는 태어나기 전이다.[14] 리쌍의 내가 웃는 게 아니야라는 노래의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그 클럽이다. 근데 위치가 접근성이 너무 동떨어져서 다들 잘 안 될 거라는 분위기가 대다수였다고 한다.[15] 실제로 2011학년도 수능은 수능 역사상 가장 어려운 연도 중 하나로 꼽힌다.[16] 윤석열의 경우는 반대로 이름의 표준발음이 ‘서결’임에도 본인이 ‘성녈’로 불러줄 것을 요청하는데, 이 탓에 본인 이름을 윤석로 잘못 옮기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17] 김창열은 생전의 김지훈과 절친이기도 했다.[18] 두 곡 모두 3옥타브 도(C5)가 나오는 상당한 고음곡들이다.[19] 최고음이 무려 3옥타브 파♯(F♯5)인 노래다.[20] 16번 트랙.[21] 사실, 해당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악동이라고 말하기에도 그 정도가 상당히 심하여 그러한 행위 때문에 악동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그 외에도 그는 판정단으로도 많이 출연했었기에 쌓아온 논란이 꽤나 많은 편이다. 이 방송 출연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2021년에 이현배의 사망으로 인한 갈등으로 그의 재기 가능성도 완전히 사라진 상황이다.[22] 사건사고 문서로 들어가 보면 잘 알 수 있었듯이 본인도 분명 신체적으로 무지막지하게 피해본 것도 많아서 일반인이라면 그만 두고도 남았을 텐데 정작 본인은 꿋꿋하게 사고 치고 다닌 것을 보면 답이 나온다.[23] 리즈 시절출발 드림팀 에이스를 했었다. 당시 원조 무술인 연예인 이상인이 한창 나오다가 몇달 쉬던 시기. 사실상 프로 운동선수급 재능을 인증받았었다. 훗날 김종국, 조성모, 전진 등이 에이스 라인을 이었다.[24] 참고로 이 편은 식스맨 편 중에서 장동민박명수가 기획한 편이다.[25] 신해철의 사망 이후 SNS에 마치 정신질환자 마냥 입에 담지 못할 각종 육두문자들을 쓰면서 몹시 분기탱천했다. 물론 신해철의 사인이 워낙 수상쩍은 부분들이 한둘이 아니라서 김창열이 분노한 것도 이해는 간다는 의견도 있지만, 아무리 사람 하나가 죽어도 그렇지 저렇게 막 나가는 건 결코 정상적인 모습이 아니다. 그러면서 정작 신해철의 발인식 날에는 야구장에 가서 환하게 미소를 띠는 모습을 보여서 더 까였다. 다만 소문으로는 실제로는 아무런 친분도 없는 주제에 괜히 저렇게 난리쳤다는 설도 있으며, 실제로 둘이 각별하게 친하다면 김창열은 이럴 리가 없다는 일부 네티즌들의 지적도 있다.[26] 참고로 그 이전에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참가한 가수도 있었다.[27] 진주성 안에 있다.[28] 결혼 생활 동안 자녀 하나 얻지 못한 이하늘과 달리 정재용은 속도위반 결혼으로 딸을 하나 얻었는데, 그 딸은 전처가 양육하기로 하였다.[29] 김창열의 노래 실력은 가요계에서도 매우 좋은 것으로 유명하므로 아마도 다른 외적 요인 때문에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