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10:44:36

꿈의 사도

꿈의 사도
夢使い
파일:꿈의사도.jpg
장르 판타지
작가 우에시바 리이치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코단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씨아이
연재처 애프터눈
레이블 애프터눈 KC
연재 기간 2001년 3월호 ~ 2004년 2월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6권 (2004. 02. 23.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권 (2004. 06. 15. 完)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등장인물
4.1. 꿈의 사도4.2. 서포터4.3. 무지개의 알4.4. 광물의 성모4.5. 그림자의 여자
5. 설정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6.1.1. 주제가6.1.2. 회차 목록6.1.3. 평가
6.2. 소설

[clearfix]

1. 개요

일본의 판타지 만화. 작가는 우에시바 리이치.

작가의 전작 가면속의 수수께끼 정령편의 등장인물들이 주역으로 나오나, 능력이나 인물관계 등의 설정이 몇 가지 달라졌다. 1권 보너스 페이지에서 밝힌 바로는 '또 다른 세계의 이야기'라고 한다.

평가는 호불호가 갈린다. 이야기의 내용에 비해 산발적인 묘사와 작품 내 여기저기 널려있는 성적 은유 때문. 굳이 그뿐만 아니라 전설, 민담, 주술, 마법 등 온갖 종류의 괴이한 것들이 한데 어우러져 있어서 꽤 마니악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다보니 오토코노코여장 남자 캐릭터의 등장은 오히려 귀엽게 여겨질 정도. 우에시바 화백 특유의 편집적인 배경 구성과 연출은 작가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다.

2. 줄거리

'꿈'의 힘을 사용해 사건을 해결하는 '꿈의 사도'. 그녀들에게 "잃어버린 어떤 '돌'을 찾아달라"는 새로운 의뢰가 들어왔다.
일상 속에서 갑작스레 일어나는 이해할 수 없는 사건들, 그런 사건들의 배후에는 반드시 누군가의 '꿈'이 존재한다. 이 세계에서 말하는 '꿈'이란 강한 의지를 담아 생각을 그려나가는 것. 때때로 그것들은 마음 속 깊은 곳에서 현실의 세계로 경계를 뛰어넘어 나오기도 하는데, 그렇게 밖으로 나온 꿈은 '악몽'이 되어 사람들에게 재앙을 일으킨다.

미시마 도코와 린코 자매는 '꿈의 사도'. '꿈의 사도'들은 그들만의 독자적인 주술을 행하여, 날뛰는 악몽을 잠재우고, 원래 꿈의 주인을 찾아내어 '악몽'을 꿈으로 되돌리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원작의 경우 크게 1~3권, 4~6권으로 스토리가 양분된다.

3. 발매 현황

애프터눈에서 연재됐으며 단행본은 애프터눈 KC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전 6권 완결.

한국어판은 대원씨아이를 통해 발매되었다.

4. 등장인물

4.1. 꿈의 사도

월화수목금토일과 라후, 케이토 라는 9개의 별 이름을 각각 부여받은 9명으로 구성되고, 꿈의 사도들마다 각기 담당하는 지역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만화가 빨리 끝나버려 절반 이상이 등장을 못했다.

주술 등을 사용할 때 매개체로 장난감을 사용하는데 1대 꿈의 사도가 고안한 것으로 놀이(遊び)라고 칭한다. 주로 사용하는 무기는 먼지떨이 비슷한 '호오키카미'라고 불리는 도구. 털(?)아래는 조그마한 상자모양의 신당으로 되어있어 그 안에 제물[1]인 장난감을 바치면 몸이 조각조각 분해되어(...) 해당 장난감 처럼 변하면서 기술을 온몸으로(?) 사용 할 수 있게된다. 그림으로 봐도 괴상한데 글로 설명하려니 더 괴상하다... 사용할 수 있는 장난감이 따로 한정되어있지 않고, 사토카의 경우는 장난감 대신 잡지를 사용하는 등 굳이 장난감이 아니라도 상관 없는것 같다. 그 외에도 모형 장난감으로 사건 모형을 만들게 하고 해당 년도의 사진을 함께 매개체로 하여 환상으로 그때 일을 불러오거나, 가위 바위 보를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등 전투 스타일들이 전체적으로 어린아이들의 놀이의 성향을 띈다. 필살기 격인 드림 사이클론은 한 명을 탄환으로 장착하고 다른 인물들이 총의 방아쇠, 공이치기 역할을 하여 쏘는 방식.
외에도 모형상자와 함께 몽전으로 들어가 잠을 잔 뒤 꿈속에서 사건의 진상을 알아보기도 한다. 다른 꿈의 사도들도 할 수 있다고하지만 토우코가 가장 잘한다고하고 작중에서는 토우코만 했다.

4.2. 서포터

4.3. 무지개의 알

4.4. 광물의 성모

4.5. 그림자의 여자

5. 설정

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꿈의 사도 (2006)
夢使い
파일:꿈의사도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우에시바 리이치
감독 야마자키 카즈오
조감독 이시쿠라 켄이치(石倉賢一)
시리즈 구성 코바야시 야스코
캐릭터 디자인 시마무라 히데카즈(島村秀一)
게스트 캐릭터 디자인 나카하라 키요타카(中原清隆)
메카닉 디자인 테라시마 신야(寺島慎也)
미술 감독 니시쿠라 리키(西倉 力)
색채 설계 오오노 하루에(大野春恵)
촬영 감독 呉晟夏
CG 감독 김현근(金炫槿)
편집 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음향 감독 타나카 카즈야(たなかかずや)
음악 테라시마 타미야(寺嶋民哉)
프로듀서 이시구로 타츠야(石黒達也)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시라이 카츠야(白井勝也)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포니캐년
방영 기간 2006. 04. 09. ~ 2006. 06. 2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tvk / (일) 02: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감독은 야마자키 카즈오.

6.1.1. 주제가

6.1.1.1. OP
OP
夢迷宮〜光と闇のダンス〜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Yoko
작사 모리 유리코(森 由里子)
작곡 테라시마 타미야(寺嶋民哉)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린 타로
연출 마스하라 미츠유키
작화감독 시마무라 히데카즈(島村秀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1.1.2. ED
ED
鼓動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미시마 토우코(카와스미 아야코)
미시마 린코(신도 케이)
작사 ICHIKO
작곡
편곡 사카이 미키오(酒井ミキオ)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촬영 오성하(呉晟夏)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1.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夢始め、雨の教室
꿈의 시작, 비의 교실
코바야시 야스코 야마자키 카즈오 김기두 시마무라 히데카즈
(島村秀一)
2006.04.09.
제2화 優しい靴音
상냥한 구두소리
니시다 다이스케
(西田大輔)
이치카와 마사히데
(布川真英)
시노하라 마코토
(篠原 誠)
오오츠카 미도리
(大塚美登理)
히로타 토모코
(広田知子)
2006.04.16.
제3화 ふくらむ恋心
부풀어오르는 연심
후데야스 카즈유키 사카이 메구미
(酒井 恵)
야나세 유지 코바야시 아케미
후쿠다 노리유키
(ふくだのりゆき)
2006.04.23.
제4화 土曜星あらわる
토요성 나타나다
코바야시 야스코 타카하시 타케오 오오타니 하지메
(大谷 肇)
카와지리 쇼타
(川尻祥大)
타마이 키미코
(玉井公子)
시마무라 히데카즈 2006.04.30.
제5화 家族模様
가족모양
이누카이 카즈히코
(犬飼和彦)
모리타 히로미츠
(森田浩光)
오오쿠보 타다오
(大久保唯男)
장희규 코바야시 아케미
후쿠다 노리유키
2006.05.07.
제6화 夢の休日
꿈의 휴일
니시다 다이스케 나니와 츠토무
(南柏 努)
하시모토 나오토
(はしもとなおと)
김기두 2006.05.14.
제7화 秘密の花園
비밀의 화원
후데야스 카즈유키 소에타 카즈히로
(そえたかずひろ)
이종경
(李鐘卿)
마스하라 미츠유키
이현정 2006.05.21.
제8화 思い出は消えて
추억은 사라지고
모리타 히로미츠 김종학 김동준 2006.05.28.
제9화 闇に棲む少年
어둠에서 사는 소년
이누카이 카즈히코 오오쿠보 타다오 장길용
김기두
2006.06.04.
제10화 美砂子、出動する
미사코 출동하다
코바야시 야스코 사카이 메구미 야나세 유지 2006.06.11.
제11화 過去から来た悪夢
과거에서 온 악몽
이시다 토오루
(石田 亨)
마스하라 미츠유키 장길용 2006.06.18.
제12화 夢仕舞い・塔子の選択
꿈의 최후, 토우코의 선택
김기두
오오쿠보 타다오
김기두 2006.06.25.

6.1.3. 평가

원작에서 등장인물들과 기본 골자만 따온 수준으로, 여러 신화와 오컬트, 신체분해 등 온갖 매니악한 요소가 섞이고 사건별 스케일이 크던 원작과 달리 옴니버스식 일상 미스터리물로 전개된다. 동성애나 근친애, 거대한 여성의 형상을 한 악몽 등 원작에 등장한 요소를 차용한듯한 부분이 군데군데 있으나 전체적으로 원작을 따라가지 않는 오리지널전개라 원작의 팬들에게는 흑역사 취급받고있지만 애니메이션 자체만 놓고보면 꽤 잘 만들어졌으며 원작의 매니악함에 거부감을 느낀 사람이라면 무난하게 볼 만하다. 원작의 아스트랄함이 줄은 대신에 토우코의 파더 컴플랙스 기질이 강화되었다는 평가.

6.2. 소설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61k%2BSwnZvpL.jpg

2007년 6월에 발매된 소설판 꿈의 사도. 정식 명칭은 小説 夢使い―心の言葉・繭子の日記[14]
일본에서만 존재하는 작품인 듯 하며, 애니메이션에서도 원작 코믹스에서도 등장하지않은 새로운 인물들이 나옴으로써 소설판만의 오리지날 내용을 담고있다. 다만 워낙에 알려지지 않아서 그런지 한국은 둘째치고 일본에서도 정보가 너무나도 없다. 아마 있는 줄도 모를걸


[1] 원래는 곡옥이나 청동칼 같은 그것[2] 귀하게 자란 사람일 수록 어릴 적부터 사용인들이 목욕이나 옷 갈아입는 것, 심지어는 용변을 보는 것까지 시중을 들어주기 때문에 서민들에 비해 알몸을 보이는 것 등에 수치심이 적다고 한다. 모 만화에서는 여성들을 일렬로 세운 뒤 긴 장대로 동시에 치마를 들추어 부끄러워하거나 가리려는 몸짓이 굼뜬 여자들을 캐치해 귀족 출신임을 간파한다.[3] 과자를 상자째 집어오는 게 아니고 과자 상자에 든 막대과자 한 개를 꺼내 온다.[4] 얼핏 요리책 같기도 한데 투영되는 이미지가 '포키'나 '소프트콘 등 공산품이므로 정보지가 확실하다.[5] 작중에서는 이것이 진짜 영혼인지 아니면 상상으로 만들어낸 영체인지 모른다는 발언도 나오지만 이후 크리스탈이 만든 환상을 봤을 때 반응으로 보아 상상으로 만들어낸 영체가 맞는 듯.[6] 원래 모티브가 코메트였는지 후기에 대놓고 코메트 코스튬을 입은 사토루를 볼 수 있다. 옆의 코메트상이라고 써놓은 것으로 확인사살. 근데 알다시피 코메트는 여성 캐릭터다. 그리고 얜 남자다. 덕분에 질려하는 사토카는 덤[7] 이 부분에 대해서는 원작하고 애니메이션 설정마다 다른데. 원작에서는 하지메와 미사코가 학창시절 때 같은 학교라, 의리라고쓰고 호감의 초콜릿을 주었지만 하지메한테서는 당연하게도 답례가 없었다. 미사코는 열받은 나머지 그 뒤 하지메한테 발렌타인 데이때가 되어도 10년 동안 준 적이 없다고... 그러나 애니메이션 10화에서는 학창시절 같은 학교인 설정은 동일하지만, 하지메는 미사코에게 받은 초콜릿을 알아봤을 뿐만 아니라, 무려 답례까지 해줬다! 발렌타인 데이 때의 답례로 미사코에게 어째서인지 전병을 주었는데 미사코를 위한거라며 전병을 준 그 날은 바로... 애니메이션이라 원작과는 다르지만, 하지메가 손을 잡았을 때 홍조를 띄므로 29살이 되어도 아직도 하지메한테 호감이 있음이 확실하다. 그러나 하지메가 저 모양 저꼴이라...[8] 시바타 교수의 어머니, 그것도 혼전의 젊고 아름다웠던 때와 똑 닮았다고 한다.[9] 사용하는 단어의 표현이나 묘사들이 아들하고도 관계를 맺은 것 같다. 근친 그랜드 슬램[10] 그림체 때문에 비슷비슷하게들 생겨서 애매하지만 얼굴은 시바타 박사 어머니의 외형을 따온 것 같다.[11] 아무래도 이 장면이 우에시바 리이치의 차기작인 수수께끼 그녀 X를 내놓을 거라고 암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굳이 가위를 꺼내드는 것도 그렇고 그 가위로 머리를 자르자 루루의 모습이 우라베 미코토와 매우 비슷한 모습이 되었으며 이렇게 보니 긴쥬 또한 츠바키 아키라와 비슷해 보이는 건 덤이다.[12] 다섯이 하나로 융합을 할 정도로 자신에게 헌신하는 스피카의 기특한 면을 비로소 알게되었으며 덤으로 스피카의 모습에 자신의 첫사랑인 올림피아와 겹쳐보이게 되어 스피카들이 자신에게 어떠한 존재였는지 비로소 깨닫게 되었고 결정적으로 올림피아를 되살리기위해 필요한 현자의 돌의 정체를 알고나선 실망을 하게되지만 그래도 자신에게 늘 헌신하는 스피카의 마음도 알았고 더이상 첫사랑에 대한 미련을 갖지않고 현자의 돌을 쿨하게 포기하였다.[13] 발레 <코펠리아>의 원전. 하지만 코펠리아는 스토리가 각색되면서 작품 분위기도 완전 달라졌다. 원전 <모래 남자>는 무겁고 음울한 호러스러운 분위기인데 <코펠리아>는 희극 발레를 대표하는 작품이다.[14] 굳이 직역하자면 '소설 꿈의 사도 - 마음의 언어・마유코의 일기'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