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 |
평양시 | ||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 김일성광장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 |
대동강구역 |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 |
대성구역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
만경대구역 |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 |
모란봉구역 |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 |
보통강구역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 |
서성구역 |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 |
기타 | 애국렬사릉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룡성구역) · | |
량강도 | ||
전체 |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
자강도 | ||
전체 | 국제친선전람관 | |
함경북도 | ||
전체 | 회령고향집 | |
황해남도 | ||
전체 | 신천박물관 | |
전국 | ||
전체 |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 |
일반 박물관 | ||
평양시 | ||
중구역 |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 |
대성구역 |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 |
락랑구역 |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 |
기타 | 지하철도건설박물관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대동강구역) | |
개성시 | ||
전체 | 개성고려박물관 | |
강원도 | ||
전체 | 원산력사박물관 | |
자강도 | ||
전체 | 강계력사박물관 | |
량강도 | ||
전체 | 혜산력사박물관 | |
평안남도 | ||
전체 | 평성력사박물관 | |
평안북도 | ||
전체 |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 |
함경남도 | ||
전체 | 함흥력사박물관 | |
함경북도 | ||
전체 | 청진력사박물관 | |
황해남도 | ||
전체 | 해주력사박물관 | |
황해북도 | ||
전체 | 사리원력사박물관 | |
}}}}}}}}} |
평양시의 광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 김일성광장 金日成廣場 Kim Il Sung Square |
▲ 김일성광장의 전경 (대동강구역에서 본 모습) | |
▲ 김일성광장의 전경 (인민대학습당에서 본 모습) | |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준공 | 1954년 8월 |
기능 | 광장 (열병식 등 정치행사용) |
규모 | 크기 75,000㎡[1] |
수용인원 | 10만 명 |
주소 | 김일성광장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경림동)[2][3]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광장.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경림동에 있다. 러시아 모스크바의 붉은 광장, 중국 베이징의 천안문 광장처럼 북한을 상징하는 광장이다.명칭은 당연히 북한의 초대 독재자인 김일성의 이름에서 따 왔다. 처음 이름은 중앙광장이었으나 완공 전 김일성 우상화를 위해 김일성광장으로 바뀌었다.
6.25 전쟁 후 복구 과정에서 1954년 8월 김일성이 구상한 '평양시복구건설총계획도'에 의거하여 건설됐다. 건설에 연인원 100만 명이 동원되었다고 한다.
1954년경 공사중인 김일성광장 |
면적은 75,000㎡[4]이며 바닥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영어 위키백과의 세계의 광장 목록 문서에 따르면 54위라고 한다.
2. 주변 풍경
주요 시설물로 김일성광장 대주석단이 있다.광장 바로 뒤편으로는 대동강이 흐르고 주체사상탑이 강 맞은 편에 있다. 대주석단, 인민대학습당, 내각종합청사, 외무성 청사, 대외경제성 청사, 조선중앙력사박물관, 조선미술박물관, 평양제1백화점 등 중요 시설들이 광장을 둘러쌌다. 여러모로 소련의 붉은 광장을 본떠서 만든 듯하다. 승리거리, 대학습당거리 등과 직접 연결되었고 보조광장도 있다고 한다. 원래는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으나 2012년 철거되었다.[5]
3. 역할
국가의 중앙광장이다 보니 각종 군중대회, 정치적 행사, 경축회, 추모행사 따위를 하는데, 북한이 자주 하는 열병식도 이 광장에서 한다. 따라서 남한과 세계 각국의 TV 뉴스에서도 북한 관련 보도를 할 때마다 자료화면으로 이 장소가 자주 등장하곤 한다. 큰 인공기가 보이는 건물 옆으로 탱크가 지나가고 북한군이 열병식을 하고 김정은 등 조선로동당 및 국방성 고위간부들은 맞은편 건물에서 박수치는 그런 모습. 이 광장의 다양한 활용 모습을 보고 싶으면 열병식/북한 문서를 참고하는 것도 좋다.- 2021년에는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방역체제에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정권수립 73주년 열병식을 강행한 와중에, 광장 우측의 선전문구를 "백전백승의기치"에서[6] "새로운 승리를 향하여"로 바꾸었음이 영상으로 확인되었다.
4. 여담
이 광장은 1996년 북한 도로망의 출발점인 도로원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정확히는 대주석단 바로 아래 쪽이며 이곳에 '평양 나라길 시작점' 비석이 있다.(#1#2) 1990년대 초 이전에는 평양 중구역 중성동 승리거리의 해방산려관 앞마당, 1996년까지는 평양 중구역 평양성 중성 출입문 중 함구문이 도로원표였으나 김정일이 지시하여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7][1] 세계에서 37번째로 큰 광장.[2] 광장을 가로지르는 큰 도로가 승리거리고, 승리거리를 경계로 강변이 경림동, 반대편이 중성동이다.[3] 1946년 미군이 발행한 지도에 의하면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양시 아청리(衙廳里)이다.(범례 칸에 한국식, 일본식 발음이 병기되어 있는데 한국어 발음은 '이위편리'라고 엉뚱하게 적혀 있지만 일본어 발음은 "가쵸-리"로 적혀 있음을 알 수 있다.)[4] 10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참고로 서울의 구 여의도광장이 약 237,600㎡였고 # 광화문광장이 약 2만㎡.[5] 이는 북한이 자국 헌법에서 공산주의를 삭제했던 시기와도 맞물린다.[6] 이전에는 "선군혁명총진군"이었다.[7] 북한은 "나라길 시작점을 혁명활동 역사와 결부시켜 올바로 정한다."는 것이 옮긴 이유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