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4 11:46:45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김일성광장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대동강구역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대성구역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만경대구역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모란봉구역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보통강구역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서성구역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기타 애국렬사릉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룡성구역)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락랑구역) (철거) · 주체사상탑 (동대원구역)
량강도
전체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자강도
전체 국제친선전람관
함경북도
전체 회령고향집
황해남도
전체 신천박물관
전국
전체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일반 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대성구역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락랑구역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기타 지하철도건설박물관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대동강구역)
개성시
전체 개성고려박물관
강원도
전체 원산력사박물관
자강도
전체 강계력사박물관
량강도
전체 혜산력사박물관
평안남도
전체 평성력사박물관
평안북도
전체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함경남도
전체 함흥력사박물관
함경북도
전체 청진력사박물관
황해남도
전체 해주력사박물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력사박물관
}}}}}}}}}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국립묘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파일:북한 국장_White.svg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祖國解防戰爭參戰烈士墓

Victorious Fatherland Liberation War
Martyrs' Cemetery
}}} ||
파일:북한군 참전열사묘1.jpg
파일:북한군 참전열사묘2.png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의 전경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준공 2013년 7월 27일
주소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평양시 서성구역 장경동)
1. 개요2. 특징3. 안장자4. 여담

[clearfix]

1. 개요

북한국립묘지. 평양시 서성구역 장경동에 소재한 석박산에 있다.

북한의 6.25 전쟁 참전 군인들 중 6.25 전쟁 당시의 공적으로 공화국영웅칭호를 받은 조선인민군 및 내무성 경비보안대(현 조선사회안전군, 북한의 국경경비대) 군관, 사관, 전사 및 해병들이 안장되는 묘지다.[1]

북한을 방문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는 만경대고향집,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금수산태양궁전, 대성산혁명렬사릉, 애국렬사릉,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이유라도 방문해서는 안 될 곳 중 하나에 해당된다.[2]

2. 특징

총 600여구 이상의 공화국영웅 칭호를 수여받은 인민군 유해가 여기에 안장되어 있으며 6.25 전쟁 참전자 유해 이외에도 전후 복구 건설 시기에 공적을 세운 군인들, 베트남 전쟁에 파견된 북한군 공군 등의 유해 27구,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당시 전사한 공비들 25명 중 24명도[3] 여기에 안치되어 있다.

묘역 앞에는 '인민군렬사추모탑'이라는 커다란 총대 모양의 탑이 위치해 있는데 긴 총창(총검)이 달린 총구를 붉은색 천이 감싸고 있고 천 가운데에 대형 금색 공화국영웅 메달 조각이 붙어 있는 형태다.

묘역은 계단식 묘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윗부분이 둥근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는 각 묘비에는 안장자의 생전 모습을 돌을 조각하여 만든 사진 형식으로 새겨져 있고 그 아래에 안장자의 이름, 공화국영웅 칭호와 6.25 전쟁 당시의 직위[4], 생년월일, 사망일자 등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묘비 맨 아래 부분의 왼쪽에는 금박 처리된 공화국영웅 메달 조각이 부착되어 있다.

남한에서는 6.25 전쟁이나 한국 전쟁이라고 통용되지만 북한에서는 조국해방전쟁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참고로 북한은 한국전쟁을 미국으로부터 이겼다고 스스로 정신승리하고 있으며 정전협정 체결일을 전쟁승리 기념일로 지정하고 있다. 묘역 내에는 많은 우상화 건축물이 존재한다.

3. 안장자

4. 여담

북한이 매번 여는 전승절 행사마다 김정은을 포함한 북한 고위급 관리 및 장성급 군인들이 추모식에 참가한다. 이는 김일성김정일 시대에도 진행되었으며 내무결속을 위한 행사임을 알 수 있다. 북한 고위급 인사 외에도 조총련조선신보나 중국군 무관이나 대사가 여기에 참석하기도 한다. 대부분 전승절 행사 차 참석하지만 탄도미사일 발사 등 무력 시위 의도가 뻔한 훈련 참관 전후로 들르기도 한다.

2021년 7월 27일 김정은이 정전협정일에 이곳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같은 날 13개월 동안 끊겨 있었던 남북 통신선이 복원되기도 하였다.

남북통일 후에는 상당한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있다. 무작정 철거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이 곳에 안장된 유해의 유가족들은 그야말로 사생결단을 내며 덤벼들 것이다. 그렇다고 철거하지 않고 그냥 놔두기에는 남한 주민들의 반발심을 살 것이다.

평양시를 통치할 대한민국 정부의 의중에 따라 만일 없애고자 한다면 전후 복구사업에 따르는 도시미관사업과 재개발을 빌미로 일방적으로 통보 후 이장/산골처리될 가능성이 높고 그나마 관대하게 처리한다면 안장자 전수조사를 거친 후 반체제적 구조물을 전부 철거한 후에 지자체 시설관리공단으로 관할을 이전하는 조건으로 모란공원, 망우역사문화공원과 같이 "예전에는 이랬다더라~"는 이야기가 내려오는 평범한 공동묘지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더 자세한 사항은 남북통일/인프라 문제 문서 참조.

[1] 6.25 전쟁 당시의 공적으로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은 군인들은 총 533명이며 대부분 사망하였지만 일부는 아직 생존해 있다.[2] 북측이 당신에게 이 곳의 방문을 권유한다는 것은 '당신을 정치적으로 이용해먹겠다'는 말을 달리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대한민국 국가보안법에 저촉될 위험성도 있다.[3] 김동원은 사후 북한에서 장령으로 추서된 후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어 있다.[4] 예를 들면 '조선인민군 군관/사관/전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