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3 22:13:21

근거이론

<colbgcolor=#000> 과학 연구 · 실험
Scientific Research · Experimen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000,#fff> 배경 과학적 방법
기반 수학(미적분학 · 선형대수학 · 미분방정식) · 통계학(수리통계학 · 추론통계학 · 기술통계학)
연구·탐구 논증(귀납법 · 연역법 · 유추(내삽법 · 외삽법)) · 이론(법칙 · 공리 · 증명 · 정의 · 근거이론 · 이론적 조망) · 가설 · 복잡계(창발) · 모형화(수학적 모형화) · 관측 · 자료 수집 · 교차검증 · 오컴의 면도날 · 일반화
연구방법론 합리주의 · 경험주의 · 환원주의 · 복잡계 연구방법론 · 재현성(연구노트)
통계적 방법 혼동행렬 · 회귀 분석 · 메타 분석 · 주성분 분석 · 추론통계학(모형(구조방정식) · 통계적 검정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통계의 함정 · 신뢰도와 타당도)
측정·물리량 물리량(물리 상수 · 무차원량) · 차원(차원분석) · 측도 · 단위(단위계(SI 단위계 · 자연 단위계) · 단위 변환) · 계측기구 · 오차(불확도 · 유효숫자 · 과학적 표기법)
실험 실험설계 · 정성실험과 정량실험 · 실험군과 대조군 · 변인(독립 변인 · 조작 변인 · 종속 변인 · 변인 통제) · 모의 실험(수치해석) · 맹검법 · 사고실험 · 인체실험 · 임상시험 · 실험 기구
연구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헬싱키 선언 · 연구투명성 · 연구 동의서 · 연구부정행위 · 표절(표절검사서비스) · 편향 · 문헌오염 · 자기교정성 · 연구윤리위원회
논문·과학 공동체 소논문 · 리포트 · 논문제출자격시험 · 연구계획서 · 형식(초록 · 인용(양식 ·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저자 · 학회 · 세미나 · 학술대회 · 동료평가 · 지표 · 학술 데이터베이스 · 게재 철회 · 학제간 연구
철학 관련 정보 · 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자연과학 관련 정보 · 물리학 관련 정보 · 통계 관련 정보 · 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

🏬 사회과학 조사·연구 방법론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colbgcolor=#C1F3FF>📝 서론<colbgcolor=#F7FFFF,#191919>사회과학 · 과학적 방법 · 사회조사 · 연구 · 가설 · 이론(이론적 조망) · 연구윤리
🔍 조사방법론 I변인 · 정의 ·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실험(실험설계 · 통제 ·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 사례연구
자료 · 자료수집(면접법 · 초점집단면접법 · 질문지법 · 관찰법) · 코딩
📈 조사방법론 II표본조사 · 지표 · 측정 · 신뢰도와 타당도 · 지수 · 척도
📊 사회통계통계적 방법 · 기술통계학 · 확률 및 분포 · 추론통계학 · SPSS · 분석기법(분산분석 · 회귀분석)
👔 공인 자격증사회조사분석사 · 빅데이터분석기사 · 국가공인 데이터분석 전문가
📂 메타 문서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상기 문서들은 한국통계진흥원 및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출제범위에 의거하여 엄격히 망라되어 있으며, 동 기관의 과목별 구분·명명에 의거하여 조사방법론은 2파트로 구분됨
}}}}}}}}} ||

1. 정의2. 면접
2.1. 엄격성 확보
2.1.1. 면접 대상자의 선정2.1.2. 면접 이외 수단을 병행
2.2. 연구윤리 확보
3. 코딩
3.1. 상황모형 개발3.2. Saturation

根據理論/ Grounded theory

1. 정의

연구자들이 ‘참여자들의 관점에 근거하여’(grounded in the views of participants) 어떤 과정, 혹은 행위에 대한 일반적이고 추상적 이론을 도출해 내는 분석기법을 가리킨다.[1] [2]

근거이론의 이론적 조망은 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 등이다. 그리고 구체적인 방법은 Corbin & Strauss(1990)[3]이 대표적으로, 면접법 ←→ 코딩으로 나눈다.

근거이론에 따른 연구는 연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기술을 개념화하여 점차 추상화된 범주를 도출해나간 끝에 이론을 만들게 된다.

근거이론을 이용해 면접을 하면 풍부한 사례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양적분석을 수행하기 어려운 사회현상에 대해 [4] 복잡한 맥락, 당사자의 반응 등을 파악하기 좋다. 그리고 선행연구가 극히 부족할 때 인과적 연결 구조를 통해 이론 형성을 하기 좋다.

커뮤니케이션학, 정책학, 행정학 등등 여러 응용사회과학 분야들에서 환영받는 방법이다. 그 외에도 간호학에서도 근거이론에 매우 크게 의지하고 있다.

근거이론을 익히기 위한 국내 논문으로는 권향원 (2016)[5], 권향원 & 최도림 (2011) [6], 김인숙(2012)[7], 최지영(2012)[8], 윤견수(2013)[9], 이동성 & 김영천(2012)[10], 이영철(2014)[11] 등이 좋다. 기타 해외 문헌들로는 Annells(1996),[12] Rennie(1998; 2000),[13][14] Stern(1994),[15] Walker & Myrick(2006),[16] Wilson & Hutchinson(1991)[17] 등이 대표적. 해외 단행본 중 국내에 번역되어 소개된 것으로는 《근거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 전략》,[18] 《근거이론분석의 기초: 글레이저의 방법》,[19] 《근거이론의 발전: 제 2세대》,[20] 《근거이론의 이해》[21] 등이 있다.

2. 면접

질문지를 설계하여 면담을 수행한 후 면담자료의 텍스트를 자료로 확보한다.

2.1. 엄격성 확보

양적 분석에서 신뢰도는 '측정의 일관성, 반복의 가능성(재현성)', 타당성은 '의도한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했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한다. 이런 신뢰도와 타당도는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중요하다.

질적 분석에서도 신뢰성과 타당성은 매우 중요하다. 측정 방식을 통해 얻는 것이 아니라, 믿음성(trustworthiness), 엄격성(rigor), 연구의 질을 높여서 얻는다.[22].

Creswell(1998;2005)의 검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적어도 2가지 이상은 수행할 것을 권하고 있다.
① 지속적인 참여와 끊임없는 관찰 ② 다원화 ③ 동료 검토 혹은 보고 ④ 부(負)적인 사례분석 ⑤ 연구자의 편견을 명확히 하는 것 ⑥ 참여자 확인 ⑦ 풍부하고 상세한 기술 ⑧ 외부 감사.

질문지 설계 단계에서부터 사전 면담을 진행한다.

면접을 활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다.

2.1.1. 면접 대상자의 선정

면접을 통해 문제를 탐구할 수 있다. 면접 대상자를 선정할 경우 면접 대상자 추출 방식이 중요하다. 이론적 표본추출, 유의표본추출방식 등이 있다.
사실 1~3년에 걸친 관계를 형성해서 잘 아는 사람이라면 확실하다. 이러면 신빙성, 신뢰성을 저해하는 원인인 반응성(reactivity)과 편견(bias)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학원생의 생활을 탐구하고자 한다면 학업 상태 (휴학, 재학, 수료, 준비, 자퇴), 계열 (인문, 사회), 나이, 성별, 기타 관련된 경험 (교내 조교, 연구 프로젝트, 계약직, 국책 사업-연구 프로젝트, 단기 아르바이트) 등의 인적사항을 수집하여야 한다. 대학생의 입시제도에 대한 생각을 탐구하고자 한다면 '성별, 단과대학, 대입전형, 입학연도, 출신지역, 출신고 유형'을 수집한다. 업체를 대상으로 한다면 '업종, 소재지, 제품, 관계기관' 등의 업체 정보를 수집하여야 한다.

2.1.2. 면접 이외 수단을 병행

연구현장에서 장기간 피면담자의 삶을 따라다니며 관찰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주제와 관련하여 개최되는 행사에 참여하는 것 역시 피면담자의 인식과 사회문화적 규칙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자연스럽게 참여하여 관찰하고 기록할 수 있으며, 피면담 집단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 경험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어느 논문에서는 4번 관련 행사에 참여하였다.

2.2. 연구윤리 확보

연구동의서를 받아야 한다. 이에는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며, 언제라도 연구에서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음을 고지하여 동의를 얻는다. 연구 참여자들의 비밀을 고의든 과실이든 누설하면 책임을 진다는 조항도 있다. 참여의 대가로 5천원 정도의 문화상품권을 준다.

면담 내용은 사전에 동의를 받고 녹음한다. 전사된 면담자료 중 연구와 무관한 부분은 삭제한다. 이름은 알파벳 처리하거나 가명으로 한다.

3. 코딩

코딩과정은 정보나 자료를 분류하고 해석하는 과정이다.[27]
코딩을 위해 사용되는 질적 분석 소프트웨어에는 QSR NVivo 11 (2015) 등이 있다. 가격은 100만원~200만원 정도,

3.1. 상황모형 개발

선택 코딩이 끝난 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분석 도구. 상황적 조건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이 미시적, 거시적 조건에 따라 작용/상호작용과 얽혀서 어떻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는 분석 도구이다.

3.2. Saturation

포화, 정밀화.

개념화와 범주화가 포화되면 더 이상 자료가 필요없을 정도로 범주 간의 관계가 안정화되고, 더 이상 하위범주가 추가되지도 않는다. 이럴 경우 면담을 종료해도 된다.[28]


[1] Glaser & Strauss, 1967; Creswell, 2013; 14[2] 이준석, Knowledge Poor, 지식을 추구하기 위해 가난해지는 사람들 - 근거이론을 활용한 한국 인문・사회계열 학문 후속세대의 현황분석 -, 한국정책학회보 제 25권 2호 (2016.6), pp 489-527, 최정묵, 대학입시제도의 공정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2016), 김혜숙, 한대동, 김희복, 학부모의 사교육 지원 현상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2017)을 참조하였다.[3] Corbin, J. & Strauss, A. L. (1990).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13(1), 3-21.[4] 예: 인식에 대한 연구에서 5점 척도의 설문조사 같은 것을 하면 대상자의 감정과 역동성을 분석하기 힘들다.[5] 권향원 (2016).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 181-216.[6] 권향원 & 최도림 (2011). 근거이론적 방법의 이론화 논리에 대한 이해. 한국행정학보, 45(1), 275-302.[7] 김인숙 (2012). 근거이론 담론과 사회복지 지식형성: 그 지형과 의미. 비판사회정책, 34, 77-128.[8] 최지영 (2012). 근거이론의 개념과 연구방법. 세종특별자치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9] 윤견수 (2013). 경험의 의미와 질적 연구의 연구 과정: 근거이론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7, 163-200.[10] 이동성,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열린교육연구, 20(2), 1-26.[11] 이영철 (2014). 근거이론의 근거에 대한 음미: 방법론과 방법.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8(1), 187-214.[12] Annells, M. (1996). Ground Theory Method: Philosophical Perspectives, Paradigm of Inquiry and Postmodernism. Qualitative Health Research, 6(3), 379-393.[13] Rennie, D. L. (1998).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Pressing Need for a Coherent Logic of Justification. Theory & Psychology, 8(1), 101-119.[14] Rennie, D. L. (200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Methodical Hermeneutics Reconciling Realism and Relativism. Theory & Psychology, 10(4), 481-502.[15] Stern, P. N. (1994). Eroding Grounded Theory. Critical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212-223.[16] Walker, D. & Myrick, F. (2006). Grounded Theory: An Exploration of Process and Procedur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6(4), 547-559.[17] Wilson, H. S. & Hutchinson, S. A. (1991). Triangulation of Qualitative Methods: Heidegerian Hermeneutics and Grounded Theory.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2), 263-276.[18] Glaser, B. G.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Chicago: Aldine. (이병식, 박상욱, 김사훈 역, 2011, 근거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 전략. 서울: 학지사).[19] Glaser, B. G. (1992). 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Emergence vs. Forcing.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김인숙, 장혜경 역, 2014, 근거이론분석의 기초: 글레이저의 방법. 서울: 학지사).[20] Morse, J. M. (2001). Situating Grounded Theory within Qualitative Inquiry. (신경림, 김미영, 신수진, 강지숙 역, 2011, 근거이론의 발전: 제 2세대. 서울: 하누리).[21]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김수지, 신경림 역, 1998, 근거이론의 이해. 서울: 한울).[22] Golafshani, 2003: 599-604[23] 근거이론에서 중요하게 활용된다. Corbin & Strauss, 1990; 유민봉・심형인, 2011[24] Creswell, 1998;2005[25] Devers & Frankel, 2000; 264[26] 유민봉・심형인, 2011:204[27] Strauss & Corbin (1998)[28] 예를 들어, 7~8개 사례에 대해 1시간 정도씩 질문한 결과 80여건 정도의 코딩과 20여개의 하위 범주가 나타나면서 '포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