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00:05:44

국방부 검찰단

군검찰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 백색.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사학교
파일:합동군사대학교 엠블럼.svg
합동군사대학교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합동부대
파일:사이버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사이버작전사령부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파일:국군수송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수송사령부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군심리전단
파일:드론작전사 부대마크.png
드론작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전략사령부_2.png
전략사령부
군 사법기관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_미니.svg
국방부 조사본부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국방부 검찰단
파일:군사법원 심볼마크.png
군사법원
정보기관
파일:국군방첩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방첩사령부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국방정보본부
근무지원단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국방부 근무지원단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계룡대 근무지원단
기타 부대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사령부
파일:국방시설본부 마크.svg
국방시설본부
파일:fmc_logo.png
국군재정관리단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국군체육부대
파일:국방정신전력원 부대마크.svg
국방정신전력원
파일: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png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파일:군사편찬연구소 마크.sv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파일: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마크.svg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국방출판지원단 부대마크.svg
국방출판지원단
파일:DIDC_logo.png
국방통합데이터센터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colbgcolor=#c51426><colcolor=#FFF> ※ 참고 : 국방부 조직 및 소속기관, 직할부대 예하부대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 육군본부|{{{#!wiki style="background-color: #1e3775; padding: 0px 3px; border-radius: 8px; display: inline-block"
국방부 소속기관 국방홍보원, 국방전산정보원
국방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국방연구원, 전쟁기념사업회, 국방전직교육원
국직부대 예하 국방부 조사본부 예하: 국군교도소 | 국군방첩사령부 예하 : 국군방첩학교, 국방보안연구소 | 국방정보본부 예하: 국군정보사령부, 777사령부 | 계룡대 근무지원단 예하: 자운대 근무지원단 |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 국군의학연구소, 국군의무학교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
형사사법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1f2023> 제1심 재판 파일:군사법원 휘장.png
중앙·제1·2·3·4지역군사법원
군판사
공소제기 및 유지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파일:육군검찰단.png 파일:해군검찰단.png 파일:공군검찰단2.png
[[국방부 검찰단|{{{#fff 국방부 검찰단}}}]] [[육군검찰단|{{{#fff 육군검찰단}}}]] [[해군검찰단|{{{#fff 해군검찰단}}}]] [[공군검찰단|{{{#fff 공군검찰단}}}]]
군검사
수사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_미니.svg 파일:육군수사단3.png 파일:해군 군사경찰 병과 휘장.png 파일:공군수사단_발퀄.png
<rowcolor=#fff> [[국방부 조사본부|{{{#fff 국방부 조사본부}}}]] [[육군수사단|{{{#fff 육군수사단}}}]] [[해군수사단|{{{#fff 해군수사단}}}]] · [[해병대수사단|{{{#fff 해병대수사단}}}]] [[공군수사단|{{{#fff 공군수사단}}}]]
군사경찰 | 국군교도소
군법무관 | 국군방첩사령부
둘러보기
경찰청 · 해양경찰청 · 법원 · 검찰청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국군병원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 ||

[[대한민국 검찰청|
파일:검찰 로고 이미지.png
파일:검찰 CI (흰색).svg
파일:검찰 로고 텍스트_검은색2.png
파일:검찰 로고 텍스트_흰색.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11C21,#e3dde3
대검찰청
서울고등검찰청 <colbgcolor=#fff,#191919>서울중앙지방검찰청 · 서울동부지방검찰청 · 서울남부지방검찰청 · 서울북부지방검찰청 · 서울서부지방검찰청 · 춘천지방검찰청 (강릉지청 · 속초지청 · 원주지청 · 영월지청) ·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 남양주지청) · 인천지방검찰청 (부천지청 · 북부지청)
수원고등검찰청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 안양지청 · 안산지청 · 평택지청 · 여주지청)
부산고등검찰청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 서부지청) · 울산지방검찰청 ·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 진주지청 · 밀양지청 · 통영지청 · 거창지청)
대구고등검찰청 대구지방검찰청 (서부지청 · 안동지청 · 경주지청 · 영덕지청 · 상주지청 · 의성지청 · 포항지청 · 김천지청)
대전고등검찰청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 · 공주지청 · 논산지청 · 서산지청 · 천안지청) · 청주지방검찰청 (충주지청 · 영동지청 · 제천지청) · 세종지방검찰청
광주고등검찰청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 장흥지청 · 순천지청 · 해남지청) · 전주지방검찰청 (군산지청 · 정읍지청 · 남원지청) · 제주지방검찰청
<colbgcolor=#fff,#191919> 취소선: 신설확정·건설중
국방부 관할
국방부 검찰단 · 육군검찰단 · 해군검찰단 · 공군검찰단
대한민국 법원 관련 틀
}}}}}}}}}}}}}}} ||
국방부 검찰단
國防部 檢察團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Prosecutor's Office
파일:국방부 검찰단 깃발.png
창설일 1965년 5월 1일 (국방부 군법회의 검찰부)
1994년 9월 24일 (군사법운영 지원단 검찰부)
1997년 4월 14일 (국방부 법무운영단 검찰부)
2000년 7월 1일 (국방부 검찰단)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기관 대한민국 국방부
종류
역할 국방부 본부, 국방부 직할부대 소속 군인 또는 군무원이 피의자인 사건의 공소 제기 및 유지
단장 육군 준장 김동혁 (육사 54기)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용산기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국방부 검찰단 전경.jpg
국방부 검찰단 전경

1. 개요2. 상세3. 편제4. 출신인물5. 관련 문서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6.2. 지하철

[clearfix]

1. 개요

군사법원법
제36조(군검찰단) ① 군검사의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국방부장관과 각 군 참모총장 소속으로 검찰단을 설치한다.
② 국방부검찰단 및 각 군 검찰단에 각각 고등검찰부와 보통검찰부를 설치하고, 보통검찰부는 제6조에 따른 군사법원에 대응하여 둔다. 다만, 필요한 경우 보통검찰부를 통합하여 둘 수 있다.
③ 국방부검찰단장은 국방부장관이 장성급 장교인 군법무관 중에서 임명한다.
⑤ 국방부검찰단 및 각 군 검찰단의 보통검찰부의 관할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국방부검찰단: 국방부 본부, 국방부 직할부대 소속의 군인 또는 군무원이 피의자인 사건. 다만, 국방부검찰단장은 필요한 경우 관할의 일부를 각 군 검찰단에 위임할 수 있다.
⑥ 제5항에도 불구하고 국방부검찰단장은 범죄의 성질, 피의자의 지위 또는 소속 부대의 실정, 수사의 상황 및 그 밖의 사정으로 인하여 수사의 공정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직권으로 또는 각 군 검찰단 소속의 군검사의 신청에 의하여 국방부검찰단으로 그 사건의 관할을 이전할 수 있다.
⑦ 국방부검찰단은 제5항 및 제6항에도 불구하고 장성급 장교가 피의자인 사건과 그 밖의 중요 사건을 관할할 수 있다.
⑧ 국방부검찰단 및 각 군 검찰단의 조직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군사법원법
군검찰단의조직에관한규정
제2조(국방부검찰단) ①「군사법원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6조제1항에 따라 설치되는 국방부장관 소속 검찰단(이하 “국방부검찰단”이라 한다)은 국방부 소속 군검사 및 군검찰의 사무를 관장한다.
② 국방부검찰단에 고등검찰부, 보통검찰부, 인권보호감독관, 사무처를 둔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국방부검찰단의 조직, 관할 및 업무분장 등에 필요한 사항은 국방부장관이 정한다.
제3조(국방부검찰단장) ① 법 제36조제3항에 따라 국방부장관이 임명한 국방부검찰단장(이하 이 조에서 “국방부검찰단장”이라 한다)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소관 사무를 총괄하고, 소속 군검사를 지휘ㆍ감독한다.
② 국방부검찰단장이 궐위되거나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선임 부장, 선임 군검사의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군내 검찰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군사경찰로 구성된 국방부 조사본부와 함께 대표적인 국방부 직할 수사기관이다. 1962년 군법회의법이 제정됨에 따라 고등검찰부로 시작했으며, 2016년 1월 6일, 군사법원법 개정으로 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 상세

원래 단장은 법무 병과 대령이 임명되는 자리였다.[1] 그런데 2022년 7월 1일부로 고등군사법원이 폐지되면서 준장 보직 하나가 날아가게 되니 대신 국방부 검찰단장이 준장 보직으로 상향되었다. 현재 보통검찰부와 고등검찰부로 편성되어 있다.

국방부 및 국직부대현역 군인[2]군무원이 사고를 쳐서 검찰조사를 받을 일이 생기면 이곳에서 조사를 받는다. 육해공 각 군 예하부대에 소속된 현역 장병[3] 및 군무원에 대한 검찰조사, 공소제기 및 유지는 각군 검찰단에서 담당한다.[4] 민간인이 군 장병에게 유독음식물 공급 등 군사재판을 받는 몇몇 범죄를 저지른 경우 특수한 경우가 아닌 한 이곳에서 조사를 받는다.[5] 사회복무요원, 의무경찰, 의무소방군인이 아니므로 검찰조사를 받을 일이 생기면 이곳이 아닌 민간인과 동일하게 관할 지방검찰청(또는 지청)에서 조사를 받는다.

3. 편제


참조

4. 출신인물

4.1. 단장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67122b><tablebgcolor=#67122b>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67122b><tablebgcolor=#67122b>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대령 계급장.svg
||<tablewidth=100%><width=20%>
초대

서영득 ||<width=20%>
제2대

김석영 ||<width=20%>
제3대

오준수 ||<width=20%>
제4대

김석영 ||<width=20%>
제5대

김칠하 ||
제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최재석
제7대

고민삼
제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윤웅중
제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준장.svg
권락균
제10대

백인주
제11대

유명상
제12대

송광석
제13대

이수동
제14대

최광혁
제15대

김동혁
}}}}}}
※ 초대~현재: 대령 (6, 8, 9대: 준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역대 국방부 검찰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서영득 예) 공군 대령
2대 김석영 예) 공군 대령 법무 7기
3대 오준수 예) 공군 대령
4대 김석영 예) 공군 대령 법무 7기
5대 김칠하 예) 해군 대령
6대 최재석 예) 육군 준장 법무 8기
7대 고민삼 예) 공군 대령 법무 0기
8대 윤웅중 예) 육군 준장 법무 8기
9대 권락균 예) 육군 준장 법무 12기
10대 백인주 예) 공군 대령 법무 10기 [6]
11대 유명상 예) 공군 대령 법무 11기 [7]
12대 송광석 예) 육군 대령 육사 50기 [8]
13대 이수동 공군 대령 법무 14기 [9]
14대 최광혁 육군 대령 [10]
15대 김동혁 육군 준장(진) 육사 54기[11] [12]

5. 관련 문서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각지역 문서
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지하철

역 이름 노선
삼각지역 파일:Seoulmetro4_icon.svg·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4호선·서울 지하철 6호선

[1] 육군 출신 검찰단장이 육군 법무실장 또는 고등군사법원장으로 영전하면서 준장으로 진급하는 경우는 있었다.[2] 상근예비역도 포함.[3] 단, 장성급 장교는 국방부 검찰단에서도 조사할 수 있다.[4]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군 비행단 소속 장병이 범죄를 저지른 경우, 공군수사단에서 수사하여 공군검찰단에 송치하고, 공군검찰단이 관할 군사법원에 기소를 제기하는 식이다.[5] 예를 들어 민간인이 공군 비행기에 들어가서 군용물을 절도하고 항공기를 파괴했다면 공군수사단에서 수사하여 공군검찰단에 송치하고, 공군검찰단이 관할 군사법원에 기소를 제기하는 식이다. 다만 이 행위를 저지르는 자가 14세 이상 18세 미만 범죄소년이면서 군 검찰 또는 군사법원이 소년부 송치를 결정한다면 공군검찰단에서 피의자의 거주지와 가까운 가정법원 소년부에 송치하는 식이며, 10세 이상 14세 미만 촉법소년인 경우 공군수사단에서 바로 가까운 가정법원 소년부로 송치한다.[6] 2011.12.26. ~ 2013.12.12.[7] 2013.12.12. ~ 2015.12.24.[8] 2015.12.24. ~ 2018.02.01.[9] 2018.02.01. ~ 2020.12.30.[10] 2020.12.30. ~ 2022.12.26.[11] 동기들보다 2년 빠른 22년 후반기 준장에 진급했다. 육사 52기 1차진급자들과 함께.[12]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