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3:12:20

구자룡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구자룡(변호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구자룡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94996; margin: -6px -1px"
초대 2대 3대 4대 5대
미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2000)
김진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박건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이운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영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6대 7대 8대 9대 10대
김대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조재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이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김대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홍순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김두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마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2011)
오범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오장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김은선
(2015)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신세계·홍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이종성·구자룡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최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20)
민상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한석종·최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고승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이종성·카즈키·박대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이종성·조윤성·김주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rowcolor=#f9d800> 초대 2대 3대 4대 5대
미상
(1995~2001)
김경량
(2002~2004)
왕정현
(2005)
김영선
(2006~2007)
성종현
(2008~2009)
<rowcolor=#f9d800> 6대 7대 8대 9대 10대
이동국
(2010~2011)
임유환
(2012~2013)
최은성
(2013)
권순태
(2014~2015)
김기희
(2016)[1]
<rowcolor=#f9d800>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최철순
(2017~2018)
이용
(2019)
최보경·최철순·김보경
(2020)
이용·최영준
(2021)
이용·김진수·백승호
(2022)
<rowcolor=#f9d800> 16대 17대 18대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워드마크.svg
김진수·박진섭·백승호
(2023)
박진섭·한교원·구자룡구자룡
(2024)

(2025~ )
[1]: 본래 김기희를 부주장에 선임했으나 선임한 지 두 달이 채 안 돼서 중국으로 이적함에 따라 공식적으로 부주장직은 공석이었다. 주장 권순태가 골키퍼인 데다 주전이라 대부분의 경기에서 풀타임을 소화해 부주장이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권순태가 결장하는 날이면 조성환, 박원재, 이동국 등이 나눠서 주장 완장을 달았다.
}}}}}}}}} ||
파일:2024 구자룡.png
구자룡
具滋龍 | Ku Ja-ryong
출생 1992년 4월 6일 ([age(1992-04-06)]세)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現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고산면)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2cm, 75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34f36><colcolor=#f9d800> 유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8~2010)
선수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1~2019)
경찰 축구단 (2012~2013 / 군 복무)
전북 현대 모터스 (2020~2024)
국가대표 1경기 (대한민국 U-23 / 2012)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34f36><colcolor=#f9d800> 학력 완주고산초등학교 (졸업)
완주중학교 (졸업)
매탄고등학교 (졸업)
별명 고산의 자랑, 에어자룡, LA자룡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출전 기록4.2. 수상 이력
4.2.1. 대회 기록4.2.2. 개인 수상
5. 플레이 스타일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011년에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데뷔, 2013년부터 군복무를 위해 경찰 축구단에서 뛰었다가 수원 삼성으로 돌아와 전성기를 보냈다.

수원과의 재계약 결렬로 2020년 전북으로 이적했다. 그러나 구자룡의 영입 이유였던 홍정호의 이탈이 없던 일이 되는 등 워낙 두꺼운 전북의 센터백 뎁스 때문에 2020 시즌 FA컵 한 경기, 리그 한 경기에만 출전하며 고전했다.[1] 그래도 2021 시즌에는 2020 시즌보다 경기에 자주 출전했다. 파이널 라운드에 모두 선발 출전하면서 홍정호의 파트너로 아주 좋은 활약을 했다.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자룡/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3.1.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3.1.1. 정정용호 (2012)

2012년 11월 26일, 중국과의 친선 경기를 앞두고 발표된 U-21 대표팀 명단에 팀 동료 이종성과 함께 소집되었다.

이종성과 같이 교체 명단에 들었으나, 이종성만 출전하고 구자룡은 출전하지 못했으며 경기는 1:2로 패배했다.

3.1.2. 이광종호 (2014)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이전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완공 기념으로 쿠웨이트와의 친선 경기에 나서는 U-23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당시 엔트리에 포함된 23인은 23세 이상의 와일드 카드와 정예 해외파들을 제외한 K리그 선수들과 일부 해외파로 구성되었다.[2]

경기는 2-1로 승리했고, 아시안 게임 최종 엔트리에서는 구자룡이 빠지고 이주영이 발탁되었다. 당시는 구자룡이 팀에서 기회를 거의 받지 못할 때였고, 기량도 별로였지만 군 문제를 이미 해결한 것도 마이너스 요소가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4. 기록

4.1. 출전 기록

4.1.1. 클럽

시즌 클럽 리그 출전 리그 득점 FA컵 출전 FA컵 득점 ACL 출전 ACL 득점
2011 수원 삼성 블루윙즈 1 0 0 0 0 0
2012 경찰 축구단 0 0 1 0 - -
2013 경찰 축구단 6 0 0 0 - -
2013 수원 삼성 블루윙즈 3 0 0 0 0 0
2014 수원 삼성 블루윙즈 7 0 0 0 - -
2015 수원 삼성 블루윙즈 25 0 0 0 3 1
2016 수원 삼성 블루윙즈 32 1 4 0 3 0
2017 수원 삼성 블루윙즈 29 0 3 0 4 0
2018 수원 삼성 블루윙즈 22 0 2 0 9 0
2019 수원 삼성 블루윙즈 30 1 7 0 - -
통산 155 2 17 0 19 1
시즌 클럽 리그 출전 리그 득점 FA컵 출전 FA컵 득점 ACL 출전 ACL 득점
2020 전북 현대 모터스 2 0 3 0 4 0
2021 전북 현대 모터스 6 0 1 0 - -
통산 8 0 4 0 4 0

4.1.2. 국가대표

연령 출전 득점
U-23 1 0
통산 1 0

4.2. 수상 이력

4.2.1. 대회 기록

4.2.2. 개인 수상

5. 플레이 스타일

최고의 장점으로 손꼽히는 높은 수준의 운동 신경을 기반으로 한 대인 마크 능력이 좋다. 제공권도 매우 좋아서 기본적인 수비력이 매우 준수하며 신장차이가 나는 공격수와의공중 볼 다툼에도 승리하는 경우가 많고, 태클도 또한 매우 정확해서 파울을 잘 내주지 않는다. 상대와 1:1 상황에서의 대처도 침착하고 빠른 클리어링으로 상대를 무력화시키며, 골키퍼가 못 막은 볼도 슈퍼 세이브로 막아내며 한 골 넣은 것이나 다름없는 수비를 보여 주기도 한다. 다만 무리한 태클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거나 카드를 수집하기도 한다. 게다가 순간적인 집중력이 이상할 정도로 떨어져서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단점은 위 문단들에서도 계속 언급했듯이 빌드업이다. 다만 빌드업에 지나치게 신경 쓰기보다는 아예 포기하는 게 현명하며, 경기를 보는 시야나 빌드업 과정에서의 역할을 요구하는 건 구자룡이 가지고 있는 장점마저 죽일 뿐 쓸데없는 역할 부여는 무의미하다는 의견도 있다.

요약하자면 본인 포지션에 대한 임무는 확실하게 수행하면 높은 평가를 받던 1980~90년대에 활동했다면 레전드 수비수로 평가받았을 수도 있겠지만 요즘 시대에 수비수에게 요구하는 빌드업과 같은 다른 유틸리티의 능력이 부족하여 고평가를 받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거의 유일한 장점이나 다름없던 체격이 30대에 접어들며 하락세를 걸음과 함께 눈에 띄게 퇴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4 시즌에는 주전 센터백인 홍정호, 박진섭 등의 부상 공백으로 몇 번 기회를 잡아 출전했지만 그때마다 팬들의 욕을 퍼먹는 중.

6. 여담

7. 둘러보기



[1] 코로나19로 인해 경기수가 줄어든 영향도 있다.[2] 여담으로 당시 엔트리에는 현재 수원에서 한솥밥을 먹고 있는 최성근노동건도 포함되어 있었고, 이 셋 중 구자룡만 아시안 게임에 못 갔다.[3] 엄청난 점프력[4] 2021 K리그1 우승 후 팬들 앞에서 미국춤을 선보인 후 생긴 별명이다.[5] KBK의 라이브에 출연했다가 얼굴에 낙서를 당하는 봉변(?)을 당했다. 얼굴에 낙서를 당한 모습이 소가 코뚜레를 차고 있는 모습 같아 보여서 문선민이 붙여준 별명이다.[6] LA구씨 + 소자룡[7] 그랬던 구자룡은 전북현대에 입단하고 미국춤을 시전(...)한 이후로 김보경, 문선민과 함께 전북의 텐션을 담당하는 선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