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2:44:09

최철순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최철순/클럽 경력/2025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김정훈 · 2 김영빈 · 3 최우진 · 4 박진섭 [[주장|
C
]] · 6 이수빈 · 7 에르난데스 · 8 한국영 · 9 티아고
10 송민규 · 11 이승우 · 13 강상윤 · 14 전진우 · 15 성진영 · 16 박재용 · 17 진태호 · 18 이준호 · 19 보아텡
21 안현범 · 22 권창훈 · 23 김태환 · 24 박규민 · 25 최철순 · 26 홍정호 · 27 이규동 · 28 이영재 · 29 김준영
30 안드리고 · 31 송범근 · 33 전병관 · 34 엄승민 · 36 장남웅 · 39 강현종 · 44 김하준 · 50 황정구 · 63 한석진
66 서정혁 · 70 이재준 · 71 한교원 · 72 황승준 · 73 김민재 · 77 김태현 파일:부상 아이콘.svg · 81 전지완 · 88 윤현석 · 90 정상운
91 공시현 · 94 연제운 · 97 김진규 · 99 김창훈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거스 포옛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우리시오 타리코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조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희훈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디에고 포옛 · 파일:그리스 국기.svg 불가리스 파나요티스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최철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최철순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rowcolor=#f9d800> 초대 2대 3대 4대 5대
미상
(1995~2001)
김경량
(2002~2004)
왕정현
(2005)
김영선
(2006~2007)
성종현
(2008~2009)
<rowcolor=#f9d800> 6대 7대 8대 9대 10대
이동국
(2010~2011)
임유환
(2012~2013)
최은성
(2013)
권순태
(2014~2015)
김기희
(2016)[1]
<rowcolor=#f9d800>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최철순
(2017~2018)
이용
(2019)
최보경·최철순·김보경
(2020)
이용·최영준
(2021)
이용·김진수·백승호
(2022)
<rowcolor=#f9d800> 16대 17대 18대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워드마크.svg
김진수·박진섭·백승호
(2023)
박진섭·한교원·구자룡구자룡
(2024)

(2025~ )
[1]: 본래 김기희를 부주장에 선임했으나 선임한 지 두 달이 채 안 돼서 중국으로 이적함에 따라 공식적으로 부주장직은 공석이었다. 주장 권순태가 골키퍼인 데다 주전이라 대부분의 경기에서 풀타임을 소화해 부주장이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권순태가 결장하는 날이면 조성환, 박원재, 이동국 등이 나눠서 주장 완장을 달았다.
}}}}}}}}} ||
최철순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K리그1 로고.svg
2011 · 2017
파일:K리그2 로고.svg
}}} ||
}}} ||
파일:2024 최철순.png
<colbgcolor=#035445><colcolor=#f9d800> 전북 현대 모터스 No. 25
최철순
崔喆淳 | Choi Chul-soon
출생 1987년 2월 8일 ([age(1987-02-08)]세)
경기도 의정부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5cm, 68kg
포지션 라이트백, 레프트백,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등번호 2(2006~2010)
25(2011~ )
소속 <colbgcolor=#035445><colcolor=#f9d800> 선수 전북 현대 모터스 (2006~ )
상주 상무 FC (2012~2014 / 군 복무)
전북 현대 모터스 B (2024)
국가대표 11경기 (대한민국 / 2010~2018)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35445><colcolor=#f9d800> 학력 선산초등학교 (1993~1996)
창서초등학교 (1997~1998)
서울영희초등학교 (1998~1999)
세일중학교 (1999~2002)
보인정보산업고등학교 (2002~2005)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 05 / 중퇴)[1]
우석대학교 체육과학대학 (체육학 19 / 졸업)[2]
가족 배우자 김효경(2014년 결혼)
아들 최재희(2014년생)
최재인(2020년생)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전북 현대 모터스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라이트백.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최철순/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3.1.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2005년 10월 U-18 대표팀에 소집되며 첫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이후 인도에서 열린 2006 AFC 청소년 선수권대회에서 주전 스토퍼로서 팀의 대회 3위에 기여했다.

3.1.1. 2007년 FIFA U-20 월드컵

2007년 캐나다에서 열린 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에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조별리그 3경기에 모두 출전했는데 당시 U-19시절부터 쭉 발을 맞춰오던 기성용, 배승진과 합을 맞춰 3백의 우측 스위퍼로 3경기 모두 출전하였다.

3.2.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U-23 대표팀 경력은 2007년에 2008 베이징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에 6경기 출전한 게 전부이다.

U-23 소속으로는 최종적으로 대회에 참가하지는 못했다. 김창수, 신광훈 등에 밀려 베이징 올림픽 명단에서 최종 탈락했고, 광저우 아시안게임에는 홍명보 감독이 2012 런던 올림픽과의 연속성을 이유로 당시 핵심 연령대인 87년~88년 출생 선수들을 거의 소집하지 않는다는 말도 안 되는 이유로 뽑히지 못해 U-23세 대표팀과는 인연이 없었다.

3.3.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3.3.1. 허정무호

2010년 1월, 남아공 월드컵 대비 겨울 전지훈련에 성인 대표팀으로 첫 소집되었다.

잠비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풀타임을 소화하며 A매치에 데뷔하였다. 그러나 이후 소집되지 못했다.

3.3.2. 최강희호

2013년 2월 최강희호에 소집되어 크로아티아와의 평가전에서 신광훈과 교체 투입되었다. 이 경기에서 팀은 0-4로 참패했지만, 그 와중에도 상대 공격수를 끝까지 집요하게 밀착 마크하는 투지를 보여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후 3월 소집을 앞두고 김창수의 부상 공백을 틈타 소집됐으나 오범석에 밀려 출전하지는 못했다.

3.3.3. 슈틸리케호

이후 오랫동안 국가대표와는 인연이 없었으나 2016년 리그에서의 꾸준한 활약에 11월 A매치를 앞두고 슈틸리케호에 소집되며 약 3년 8개월 만에 대표팀에 복귀했다.

11월 11일 캐나다와의 평가전에서 후반 김창수와 교체되어 투입되었다.

2017년 3월, 6월 명단에도 모두 포함되며 슈틸리케 감독의 마지막을 함께 했다.

3.3.4. 신태용호

2017년 8월 신태용 감독이 부임한 이후에도 최철순은 대표팀에 꾸준히 선발되었고 2017년 신태용호의 11월 평가전에서 아주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우수한 활동량과 적절한 대인마크를 하는 투지를 보여 주전으로 낙점 받을 수 있을 듯하다.

12월 동아시아컵과 2018년 1월 대표팀 전지훈련에도 선발되어 자메이카전에서 고질적인 약점이었던 크로스가 개선되어 김신욱의 헤더를 어시스트하는 등 대표팀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당시에만 해도 대표팀 내 유일한 경쟁자는 고요한 뿐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2018년 3월을 앞두고 팀 동료 이용이 탈장 수술 이후 대표팀에 복귀하며 최철순의 입지가 상당히 곤란해지고 말았다. 당장 소속팀에서도 이용이 최철순보다 많은 기회를 받게 되는 상황에서, 또 다른 대표팀 경쟁자인 고요한은 이미 기성용의 파트너로서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출전이 가능하지만 대표팀에서 우측 풀백만 소화가 가능한 최철순은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급락할 수 밖에 없어진 것.
최철순은 국내 최고의 파이터이고 투지도 최고지만 코칭 스태프 논의 결과 상대의 신체적 조건이 뛰어나거나 마지막 마무리 패스가 안타까운 부분이 있어서 동행할 수 없었다. - 신태용 인터뷰
결국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월드컵 최종 명단에서 탈락했다.

3.3.5. 벤투호

2019년 3월 벤투호 A매치 명단에 선발되었다. 주전인 이용이 부상으로 제외되면서 대체 선수로 들어갔으나 출전은 하지 못했다.

그러나 애초에 풀백에게도 높은 수준의 공격력과 발밑 능력을 중시하는 벤투호에서 최철순은 기량적으로 이용, 김문환 등에 비해 경쟁력을 보여줄 수 없었고, 소속팀 전북에서도 주전 자리를 밀리는 커리어가 꺾이게 되며 자연스럽게 대표팀에서 멀어지게 됐다.

4. 플레이 스타일

주 포지션은 라이트백이다. 데뷔 시즌인 2006년에는 레프트백이었으나 주발이 오른발이기 때문에 2009년 진경선이 팀에 들어온 이후부터는 완전히 라이트백으로 자리 잡았다. 두 포지션을 모두 풀타임으로 경험해 본 경력이 있기 때문에 레프트백을 보는 것에도 큰 무리가 없다. 2018년에는 오랜만에 레프트백으로도 풀시즌을 소화해낼 정도. 풀백임에도 수비 리딩을 잘 하고 대인 마크 능력이 상당히 좋다.

게다가 상대편에 피지컬이 뛰어나지 않지만 위협적인 공격수가 있는 경우 이를 전담 마크하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뛰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를 '최철순 시프트'라 부르기도 한다.[3] 드물지만 경기 도중 스리백 등 전술 변화가 있거나, 주전 센터백이 부상 혹은 퇴장으로 자리를 비우게 되면 임시로 센터백에 서기도 한다. 대중적인 이미지와 달리 최철순의 프로 초창기 주포지션은 우측 풀백이 아니라 3백의 우측 센터백에 가까웠다. 그래서 우측 스토퍼도 꽤나 잘 본다.

엄청난 체력, 활동량과 투지가 최고의 장점이다. 상대가 허리쯤에 오는 공을 발로 처리하려 하면 머리부터 갖다 댈 정도. 최투지 혹은 짤순이라 불리는 별명 역시 이를 악물고 하는 플레이에서 착안된 별명으로, 상대에게 여간 까다로운 존재가 아니다.

하지만 단점은 왜소한 피지컬과 투박한 터치 및 판단력이다. 투지 있는 플레이는 칭찬할 만하나, 가끔은 부상이 우려될 정도의 무모한 바디체킹을 하기도 하며, 공격수 앞으로 몸통 자체를 던지는 등 무모하고 위험한 수비 장면도 많이 나온다. 또한 공격적인 풀백이 아닌지라 크로스 및 연계에 능하지는 않으며, 오버래핑 빈도도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크로스의 정확도는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지만 상주 상무 시절부터 점점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는 중.

전북이 최강으로 자리하고 있는 K리그에서는 뛰어난 동료들의 지원을 등에 업고 활동량과 투지로 메우고 있지만 세계적인 팀과의 경기나 A매치에서는 한계가 자명하다. 강한 압박이 들어오면 볼 처리가 매우 불안해지고 신체 조건이 좋은 상대와의 경합에 어려움을 겪는다. 반면 국가대표 경쟁자였던 차두리이용은 최철순보다 피지컬이 월등하고 오버래핑이나 크로스 능력이 한 수 위다.

이러한 약점 때문에 국가대표팀에서는 줄곧 외면받다가 신태용호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이나 평가전에서 종종 중용받았다.[4] 신태용 감독 역시 최철순의 기술적 능력의 부재를 엔트리 탈락 이유로 언급했을 정도.

2020년에 접어들면서 노쇠화의 영향으로 활동량과 체력도 이전에 비해 많이 떨어져 점점 출전시간 및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 허나 철벽 같은 수비력은 여전해 파괴력 있는 윙어가 있는 구단을 상대로는 자주 나오는 편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5.3. 통산 기록

5.3.1. 클럽

대회 경기 득점 도움
K리그1 393경기 3득점 18도움
K리그2 29경기 0득점 2도움
리그컵 29경기 0득점 1도움
FA컵 21경기 0득점 0도움
AFC 챔피언스 리그 61경기 0득점 4도움
FIFA 클럽 월드컵 3경기 0득점 0도움
소속 구단 경기 득점 도움
전북[6] 471경기 2득점 23도움
상주 46경기 1득점 2도움
프로 통산 517경기 3득점 25도움
K리그 및 리그컵 공격 포인트 한국프로축구연맹 공식 자료 참고https://www.kleague.com/record/playerDetail.do?playerId=20060011
FA컵, ACL, 클럽 월드컵 트랜스퍼마르크트 참고https://www.transfermarkt.com/chul-soon-choi/profil/spieler/92473

5.3.2. 국가대표

연령 경기 득점 도움
U-20 4경기 0득점 0도움
U-23 6경기 0득점 0도움
A대표 11경기 0득점 1도움
통산 21경기 0득점 1도움

6. 여담

그 영향력이 어느 정도냐면 2023 시즌 초반, 허병길 + 김상식 체제가 세대교체라는 명목으로 최철순을 내보내고 싶다는 소식이 들리자, 김상식에게 호의적이었던 매드 그린 보이즈 소모임들[10]까지 싹 다 들고 일어나 버스를 막고 퇴진 시위를 벌여 김상식을 내보내고 그를 지켜냈다. 김상식 역시 전북의 첫 우승의 주역인 레전드임에도 가뜩이나 부진한 경기력에 더해 최철순까지 건드린 대가로 이 사건 이후 전북 팬들 사이에서 금지어 취급받는 결말을 맞이했다. 더군다나 이 당시 굳이 이정도로 적극적이지는 않은 라이트 팬들조차도 최철순의 트레이드설에 노발대발했을 정도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9d800> 등번호 국적 포지션 성명 생년월일 신체 조건 비고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김정훈 Kim Jeong-hoon 2001.04.20 188cm / 80kg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박진섭 Park Jin-seop 1995.10.23 182cm / 75kg 주장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수빈 Lee Soo-bin 2000.05.07 180cm / 70kg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영재 Lee Yeong-jae 1994.09.13 174cm / 60kg
9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티아고 Tiago Pereira da Silva 1993.10.28 190cm / 75kg
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송민규 Song Min-kyu 1999.09.12 179cm / 72kg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승우 Lee Seung-woo 1998.01.06 170cm / 60kg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박재용 Bak Jae-yong 2000.03.13 193cm / 88kg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안현범 Ahn Hyun-beom 1994.12.21 178cm / 73kg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전진우 Jeon Jin-woo 1999.09.09 182cm / 70kg
19 파일:가나 국기.svg MF 보아텡 Nana Boateng 1994.05.10 180cm / 76kg
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최철순 Choi Chul-soon 1987.02.08 173cm / 70kg
2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홍정호 Hong Jeong-ho 1989.08.12 187cm / 82kg
30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안드리고 Andrigo 1995.02.27 170cm / 71kg 임대
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공시현 Gong Si-hyeon 2005.02.23 190cm / 78kg U-22
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전병관 Jeon Byung-kwan 2002.11.10 178cm / 72kg
3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엄승민 Eom Seung-min 2003.05.02 181cm / 78kg
3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장남웅 Jang Nam-ung 2004.02.09 184cm / 79kg
3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태환 Kim Tae-hwan 1989.07.24 177cm / 72kg
4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하준 Kim Ha-jun 2002.07.17 188cm / 78kg
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성진영 Sung Jin-young 2003.05.21 182cm / 80kg
6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서정혁 Seo Jeong-hyeok 2006.03.09 177cm / 70kg
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태현 Kim Tae-hyun 1996.12.19 175cm / 71kg
7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권창훈 Kwon Chang-hoon 1994.06.30 174cm / 69kg
8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박규민 Park Kyu-min 2001.06.08 182cm / 72kg
9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한국영 Han Kook-young 1990.04.19 183cm / 76kg
9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연제운 Yeon Je-woon 1994.08.24 185cm / 78kg
9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진규 Kim Jin-gyu 1997.02.24 177cm / 68kg
98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에르난데스 Hernandes Rodrigues 1999.09.02 183cm / 75kg
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창훈 Kim Chang-hun 2004.10.23 173cm / 69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준호 Lee Jun-ho 2002.09.28 188cm / 86k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송범근 Song Bum-keun 1997.10.15 196cm / 93k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한교원 Han Kyo-won 1990.06.15 182cm / 73k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전지완 Jeon Ji-wan 2004.05.14 190cm / 80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규동 Lee Kyu-dong 2004.01.24 180cm / 70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강상윤 Kang Sang-yoon 2004.05.31 171cm / 64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영빈 Kim Yeong-bin 1991.09.20 184cm / 79k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황승준 Hwang Seung-jun 2005.08.03 179cm / 69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준영 Kim Jun-young 2004.05.31 178cm / 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윤현석 Yoon Hyun-seok 2003.11.08 178cm / 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김민재 Kim Min-jae 2004.06.07 179cm / 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강현종 Kang Hyun-jong 2004.01.13 185cm / 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이재준 Lee Jae-jun 2006.10.23 178cm / 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정상운 Jung Sang-un 2003.04.03 190cm / kg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최우진 Choi Woo-jin 2004.07.18 175cm / 70kg
[[전북 현대 모터스/2025년|{{{#034f36 2025 시즌}}}]] 구단 기본 정보
구단주: 정의선 {{{#ffffff /}}} 대표이사: 정유석 {{{#ffffff /}}} 단장: 이도현 {{{#ffffff /}}} 고문: 박지성 {{{#ffffff /}}} 테크니컬 디렉터: 마이클 김 {{{#ffffff /}}} 감독: 거스 포옛
홈구장: 전주월드컵경기장
}}}}}}}}}}}} ||



[1] 05학번으로 입학했으나 프로 데뷔 후 중퇴했다.[2] 이후 전북 선수 생활 중 전라북도 소재한 우석대 19학번으로 편입해 졸업했다.[3] 특히 2016 AFC 챔피언스리그 4강전에서 FC 서울아드리아노를, 결승전에서 오마르 압둘라흐만을 효과적으로 막아 전북 현대2016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끌었다.[4] 부동의 주전인 이용의 백업 라이트백으로 국가대표와 월드컵이라는 갈증을 동시에 해결하나 싶었지만 고요한에 밀려 월드컵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 아시아 국가들을 상대로 한 최종 예선에서는 중용받았지만, 다른 대륙과의 평가전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좋은 모습을 보여준 고요한이 라이트백기성용의 파트너를 동시에 수행이 가능한 멀티플레이어로 각광받으며 경쟁에서 밀리고 말았다.[5] 총 9회로 K리그 우승 역대 개인 최다. 2020 시즌까지 이동국, 홍정남과 함께 K리그 역대 최다 우승 선수였지만 이동국이 은퇴한 뒤 2021 시즌 우승을 차지함으로써 K리그1 9회 우승이라는 위대한 금자탑을 쌓았다. 이로써 전북의 모든 리그 우승을 경험한 전설 중의 전설이 되었다.[6] K4리그 기록 포함(작성일 기준 8경기)[7] 출처[8] 중학교 운동부에서 좀 더 진학 실적을 좋게 만들기 위해 이용하는 일종의 꼼수로, 팀 내 에이스를 특정 고등학교에 진학시키는 대신 좀 뒤떨어지는 선수들까지 같이 입학을 약속받는 것을 말한다.[9] 홍정남과 함께 유이한 선수였으나 홍정남이 2020 시즌 은퇴하며 유일한 선수로 남았다.[10] 이들은 2022 시즌에 김상식의 퇴진을 요구하는 팬들과 충돌하고 김상식을 지지하는 걸개를 걸거나 팬 커뮤니티인 에버그린 주도의 트럭 시위를 비하하는 표현을 써 논란이 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