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7 14:37:59

마우리시오 타리코


1 김정훈 · 2 김영빈 [[부주장|
VC
]] · 3 최우진 · 4 박진섭 [[주장|
C
]] · 6 이수빈 파일:부상 아이콘.svg · 7 에르난데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 8 한국영 · 9 티아고 파일:부상 아이콘.svg
10 송민규 · 11 이승우 [[부주장|
VC
]] · 13 강상윤 · 14 전진우 파일:부상 아이콘.svg · 15 성진영 · 16 박재용 · 17 진태호 · 18 이준호
19 보아텡 · 21 안현범 · 22 권창훈 · 23 김태환 · 24 박규민 · 25 최철순 · 26 홍정호 파일:부상 아이콘.svg · 27 이규동
28 이영재 [[부주장|
VC
]] · 29 김준영 · 30 안드리고 · 31 송범근 [[부주장|
VC
]] · 33 전병관 · 34 엄승민 · 36 장남웅 · 39 강현종
44 김하준 · 47 윤주영 · 50 황정구 · 51 이한결 · 63 한석진 · 64 김수형 · 66 서정혁 · 70 이재준 · 72 황승준 · 73 김민재
77 김태현 · 81 전지완 · 88 윤현석 · 90 정상운 · 91 공시현 파일:부상 아이콘.svg · 94 연제운 · 96 콤파뇨 파일:부상 아이콘.svg · 97 김진규 · 99 김창훈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거스 포옛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우리시오 타리코 · 파일:그리스 국기.svg 불가리스 파나요티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디에고 포옛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조국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희훈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colbgcolor=#035445><colcolor=#f9d800> 전북 현대 모터스 수석 코치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영문 워드마크(1).svg
파일:사진_2025021016112984875.jpg
이름 마우리시오 타리코
Mauricio Taricco
본명 마우리시오 리카르도 타리코
Mauricio Ricardo Taricco
출생 1973년 3월 10일 ([age(1973-03-10)]세)
부에노스아이레스주 부에노스 아이레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4cm
직업 축구 선수 (레프트백 / 은퇴)
축구 코치
소속 <colbgcolor=#035445><colcolor=#f9d800> 유스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선수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1993~1994)
입스위치 타운 FC (1994~1998)
토트넘 홋스퍼 FC (1998~2004)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04)
ASD 빌라시미우스 (2005~2009)
ASD 카스티아다스 (2009)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2010~2012)
코치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2009~2013 / 수석 코치)
선덜랜드 AFC (2013~2015 / 수석 코치)
AEK 아테네 FC (2015~2016 / 수석 코치)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16 / 수석 코치)
상하이 뤼디 선화 (2016~2017 / 수석 코치)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18 / 수석 코치)
그리스 대표팀 (2022~2024 / 수석 코치)
전북 현대 모터스 (2025~ / 수석 코치)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아르헨티나축구 선수 출신 코치. 現 전북 현대 모터스 수석 코치.

선수 시절, 프리미어리그 입스위치 타운 FC토트넘 홋스퍼 FC에서 오랜 기간 활약했던 수준급의 풀백이었으며, 거스 포옛 감독과 가장 오랜 기간 동안 함께한 포옛 사단의 핵심 인물이다.

2. 선수 경력

부에노스아이레스 태생으로, 고향 클럽인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유소년 팀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20살이 되던 1993년, 1군 팀에서 데뷔를 한 이후 리그 21경기 출전을 하며 리그 내 주목할 만한 유망주로 부상했고, 프로 데뷔 1시즌만에 바로 잉글랜드 클럽 입스위치 타운 FC의 제안을 받고 해외 이적을 하게 된다.

1994년 9월, 이적료 15만 파운드에 입스위치에 입성한 타리코는 볼턴 원더러스 FC와의 리그컵 경기에서 선발 데뷔전을 가졌다. 1994-95 시즌, 이 경기를 끝으로 더 이상 출전은 없었고, 입스위치 역시 프리미어리그에서 강등되고 만다. 이후 입스위치는 조지 벌리 신임 감독 체제로 전환되었고, 타리코는 벌리 감독 아래 확고한 주전 풀백으로 거듭나며 시즌 47경기에 출전해 입지를 다졌다.

이후 1996-97 시즌 그는 입스위치 리그 데뷔골을 넣는 등 맹활약하며 1997년 입스위치 타운 올해의 선수에 뽑혔고, 팀을 챔피언십 4위에 올려놓는 일등 공신이 되었다. 비록 입스위치는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셰필드 유나이티드에게 패해 승격에 실패했지만, 탈락 이후 눈물을 펑펑 흘리는 타리코의 모습은 입스위치 팬들에게 큰 영향을 준 장면으로 남았다. 이후 1997-98 시즌에도 입스위치 주전 풀백으로 활약하며 또 다시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역시 준결승에서 찰턴 애슬레틱 FC에게 패하며 다시 승격에 실패했다. 이후 타리코는 1998-99 시즌 초반까지 입스위치에서 활약하다 1998년 11월, 이적료 175만 파운드에 프리미어리그 토트넘 홋스퍼 FC로 이적한다.

토트넘 이적 직후 부상이 발생해 토트넘 데뷔전은 해를 넘겨 1999년 1월에야 가질 수 있었지만, 윔블던 FC와의 경기를 시작으로 프리미어리그 13경기 출전을 하며 연착륙했다. 이후 1999-00 시즌에도 리그 29경기에 출전해 주전 레프트백으로 거듭났다. 2000-01 시즌 부상이 도지며 리그 5경기 출전에 그쳤으나 2001-02 시즌 복귀해 이번에는 스티븐 카가 장기 부상으로 빠진 라이트백으로 자리를 옮겨 리그 30경기에 출전하는 등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의 능력도 보여주었다. 이후 2003-04 시즌까지 주전으로 뛰던 타리코는, 2004년 자크 상티니 체제에서 스웨덴 출신 에릭 에드만에게 밀리더니, 2004년 11월부터 부임한 마틴 욜 감독 체제에서도 주전으로 거듭나지 못해 결국 2004년 겨울, 챔피언십의 웨스트햄으로 이적하게 된다.[1] 그러나 불운하게도 웨스트햄 이적 후 첫 경기가 영국에서 가장 험하다는 밀월 FC와의 더비 매치였고, 그는 이 경기에서 2달 이상의 장기 부상을 당하게 된다. 결국 계약은 해지되었고, 타리코는 이 경기를 끝으로 프로 축구 선수 은퇴를 선언하게 된다.

2005년부터 그는 이탈리아 사르디니아 지역 리그에서 아마추어 축구 선수로 뛰기 시작했고, 4년 동안 이탈리아 5부리그 선수 생활을 했다. 이후 토트넘에서 그와 같이 활약했던 선수 출신 거스 포옛 감독의 부름으로 2010년, 당시 3부리그에 속했던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플레잉 수석코치로 프로축구계에 복귀하게 된다. 6년만에 프로 선수로 복귀한 그는 2010-11 시즌 리그 4경기, FA컵 1경기를 뛰며 브라이튼의 3부리그 우승에 한 몫했고, 2011-12 시즌 챔피언십에서도 무려 11경기나 소화하는 놀라운 노익장을 보였다. 이후 겨울 이적시장에서 풀백이 보강되자 그는 2012년 1월을 끝으로 완전히 선수 경력을 마무리했다.

3. 지도자 경력

거스 포옛 사단의 수석 코치로, 브라이튼 시절부터 가장 오래 함께한 포옛 사단의 핵심이다. 브라이튼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함께 한 이후, 포옛 감독과 함께 선덜랜드 AFC (2013년 ~ 2015년), AEK 아테네 FC (2015년 ~ 2016년),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16년), 상하이 선화 (2016년 ~ 2017년),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18년), 그리스 국가대표팀 (2022년 ~ 2024년)의 지도를 함께 담당했다.

2025년, 거스 포옛 감독이 전북 현대 모터스 신임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여지없이 그도 전북의 수석코치로 함께 부임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선수 시절, 유기적인 연계와 공격 능력이 돋보였던 레프트백으로 평가된다. 20대 초반 입스위치 올해의 선수를 차지할 정도로 경기에 큰 영향력을 미치던 풀백이었다. 다만 토트넘 입단 이후 햄스트링 부상이 반복되면서 그의 공격적 플레이스타일을 유지하기 어려워졌고, 경쟁력을 빠르게 잃어가면서 다소 이르게 프로 경력을 마무리했던 선수였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9d800> 사무국 직원
<rowcolor=#035445> 직책 성명 국적 생년월일
대표이사 정유석 (Chung Yoo-su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5년 9월
단장 이도현 (Lee Do-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4년 3월 26일
고문 박지성 (Park Ji-s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년 3월 30일
테크니컬 디렉터 마이클 김 (Michael Kim) 파일:캐나다 국기.svg 1973년 6월 10일
<rowcolor=#f9d800> 코칭스태프
<rowcolor=#035445> 직책 성명 국적 생년월일
감독 거스 포옛 (Gus Poyet)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67년 11월 15일
수석 코치 마우리시오 타리코 (Mauricio Taricc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3년 3월 10일
피지컬 코치 불가리스 파나요티스 (Panagiotis Voulgaris) 파일:그리스 국기.svg 1985년 10월 28일
분석 코치 디에고 포옛 (Diego Poyet)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95년 4월 8일
코치 정조국 (Jung Jo-go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년 4월 23일
골키퍼 코치 황희훈 (Hwang Hee-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9년 9월 20일
<rowcolor=#f9d800> 지원 스태프
<rowcolor=#035445> 직책 성명 국적 생년월일
주치의 송하헌 (Song Ha-h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년 5월 6일
물리 치료사 지우반 올리베이라 (Gilvan Oliveira) 파일:브라질 국기.svg 1981년 8월 26일
의무 담당관 김병선 (Kim Byeong-s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년 5월 6일
이규열 (Lee Gyu-yeo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노상근 (Noh Sang-ke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분석관 이선구 (Lee Sun-g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년 9월 20일
장비 담당관 최재혁 (Choi Jae-hy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통역사 김민서 (Kim James Min-se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년 6월 8일
표석환 (Pyo Seok-h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rowcolor=#f9d800> N팀 코칭스태프
<rowcolor=#035445> 직책 성명 국적 생년월일
감독 안대현 (Ahn Dae-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년 8월 20일
코치 김광석 (Kim Kwang-su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년 2월 12일
골키퍼 코치 정부선 (Jung Boo-s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년 6월 11일
피지컬 코치 우정하 (Woo Jeong-h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년 4월 2일
트레이너 박정훈 (Park Jeong-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년 5월 27일
분석관 박준완 (Park Jun-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년 2월 24일
}}}}}}}}}}}} ||

[1] 그리고 토트넘의 레프트백 자리는 시즌 내내 여러 선수가 번갈아 맡았다. 결국 이 레프트백 자리는 2005-06 시즌 여름에 합류한 이영표가 붙박이 주전으로 따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