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붕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관학파 | ||||||
사림파 | 훈구파 | ||||||
동인 | 서인 | ||||||
북인 | 남인 | 소론 | 노론 | ||||
세도정치 | |||||||
위정척사파 | 개화파 | ||||||
수구당 | 개화당 | ||||||
▼ 대한제국 이후 (공산정당) | |||||||
※ 붉은 계열은 원리주의적 강경파, 노란 계열은 탈이념적 정파, 푸른 계열은 개량주의적 온건파 | |||||||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남인 南人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동인 | ||||
선조 (1575 ~ 1608) | |||||
이황 | 정개청 | 김명원 | 김성일 | 류성룡 | |
우성전 | 정구 | 김응남 | 이원익 | 심희수 | |
허성 | 윤승훈 | 신식 | 이광정 | 신용 | |
이덕형 | 정경세 | 정온 | 이성구 | 이준 | |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 |||||
근기남인 (북인) | 영남남인 | ||||
정구 | 장현광 | 윤선도 | 윤휴 | 이현일 | |
이하진 | |||||
효종 - 숙종 (1649 ~ 1720) | |||||
윤선도 | 허목 | 민희 | 민점 | 윤휴 | |
목내선 | 류형원 | 이서우 | 김덕원 | 민암 | |
이의징 | 신경제 | 이운징 | 신필청 | 장희재 | |
청남 | 탁남 | ||||
허목 | 홍우원 | 윤휴 | 허적 | 권대운 | |
이원정 | 오시수 | 오정창 | 류혁연 | 허견 | |
경종 이후 (1720 ~ ) | |||||
실학 (중농학파) | 탁남 | ||||
이익 | 이중환 | 류득공 | 정사효 | 이인좌 | |
청남 | |||||
신서 | 공서(벽파) | ||||
채제공 | 이가환 | 이승훈 | 신후담 | 안정복 | |
정약전 | 정약종 | 정약용 | 홍낙안 | 목만중 | |
세도 정치 | |||||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1. 개요
남인에서 분당한 청남에서 다시 분당하여 공서가 되었다.2. 상세
영조조 초 소론은 노론 제거를 위한 무장봉기인 이인좌의 난을 일으킨다. 이후 노론은 난 이후 남인과 소론을 철저히 제거했다. 영조조에는 탕평책을 진행하여 남인도 등용되었으나 사실상 노론의 독주였다. 영조 사후 정조가 즉위하여 남인 채제공을 영의정으로 기용하자 벽파가 채제공을 공격했고, 여기에 천주교가 확산하면서 문제가 생기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대천주교 강경파인 공서파와 온건파인 신서파로 나뉜다. 이전 버전에는 노론에 대한 대응으로 나뉘었다고 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공서파 대부분은 노론 벽파와 정치적 입장을 사실상 같이했다. 따라서 공서파는 사실상 '남인 벽파'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이후 천주교(서학)과 관련해서 정쟁이 심해지며 벽파는 공서로 발전했고 시파는 신서로 발전하여 나뉘어서 대립했다. 반 서학파였던 공서는 벽파 온건적인 현실개혁 및 서구 과학은 수용하되 서학은 배격했다. 또한 1790~92년 동안의 채제공 독상 체제를 비판했다.
서학을 배격한 만큼 노론 못지않게 신유박해때 신서를 탄압했다. 신유박해에 동조하여 사람들이 노론 벽파라고 오해하지만 이들은 남인이었다. 물론 같은 벽파로서 노론 만큼이나 적극적으로 시파를 탄압했으니 큰 차이는 없을지도 모르지만. 이기경은 남인이었던 정약용과 친우였다가 천주학의 견해 차이로 같은 남인이면서도 서로 정적이 되었고 목만중의 가문인 사천 목씨는 가문이 당파가 남인이었다. 홍낙안도 채제공의 조카로 진산사건 때 천주교를 믿는 권철신과 이승훈의 경위를 채제공에게 고하여 그들이 문초되었다.
3. 주요 인물
- 신후담[A]
- 정상기[A]
- 신경준[B]
- 안정복[B]
- 이동욱[B]
- 홍의호(洪義浩)[B]
- 홍수보[B][C]
- 목만중(睦萬中)[C]
- 홍낙안(洪樂安)[C]
- 이기경(李基慶)[C]
- 박장설(朴長卨)[C]
- 강준흠[C]
- 황덕길[C]
- 윤필병[C]
[A] 영조조 주요인물[A] 영조조 주요인물[B] 정조조 주요인물[B] 정조조 주요인물[B] 정조조 주요인물[B] 정조조 주요인물[B] 정조조 주요인물[C] 순조조 주요인물[C] 순조조 주요인물[C] 순조조 주요인물[C] 순조조 주요인물[C] 순조조 주요인물[C] 순조조 주요인물[C] 순조조 주요인물[C] 순조조 주요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