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09:05:50

US 오픈

US오픈에서 넘어옴
테니스 그랜드 슬램
파일:Australian_Open_logo_PNG1.png 파일:프랑스 오픈 로고.svg 파일:윔블던 로고.svg 파일:US 오픈 로고.svg

US 오픈
The United States Open Tennis Championships
파일:US 오픈 로고.svg
창설 연도 1881년
<colbgcolor=#002887> 개최지 미국 뉴욕 USTA 빌리 진 킹 국립 테니스 센터
코트 하드 / 야외
총 상금 $53,400,000
타임키퍼 롤렉스
최근 남자 단식 챔피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닉 시너[2024]
최근 여자 단식 챔피언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아리나 사바렌카[2024]
최다 남자 단식 챔피언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라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5회)
최다 여자 단식 챔피언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6회)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 및 특징3. 주요 기록
3.1. 남자 단식3.2. 여자 단식
4. 대한민국 선수 출전기록
4.1. 남자 단식4.2. 여자 단식
5. 상금 규모6. 역대 결승전
6.1. 남자 단식6.2. 여자 단식
7. 여담8. 참고 링크

[Clearfix]

1. 개요

미국에서 개최되는 테니스 그랜드 슬램 대회. 매년 8월~9월 미국 노동절 즈음에 열려 그랜드 슬램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US_Open.svg.png파일:US 오픈 로고.svg
2017년까지 사용한 로고 2018년부터 사용하는 로고

파일:usopentenniscenter.jpg

개최장소는 뉴욕 퀸스의 플러싱 메도우스-코로나 파크(Flushing Meadows-Corona Park)에 위치한 USTA 빌리 진 킹 국립 테니스 센터(USTA Billie Jean King National Tennis Center). MLB 뉴욕 메츠의 홈구장인 시티 필드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thur_ashe_stadium_interior.jpg파일:ArthurAsheStadium.jpg
지붕 설치 전 지붕 설치 후

메인 코트인 아서 애시 스타디움(Arthur Ashe Stadium)은 23,771명을 수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테니스 전용 경기장으로도 유명하다[4]. 센터코트에 관중들이 가득 들어찬 모습이 그야말로 장관.

최근 몇번의 대회에서 비때문에 일정이 지연되는 사태가 자주 발생하자, 2014년부터 1억 5000만 달러를 들여 가변형 지붕을 설치하는 공사를 해서 2016년에 설치를 완료했다.

경기 세부 종목은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주니어, 시니어 대회가 있으며 특이하게 휠체어 선수를 위한 부문도 마련되어 있다.

또한 마지막 세트에서 게임스코어 6:6이면 7점 선취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는 유일한 그랜드슬램 대회라는 특이점이 있었다.
2022년부터는 모든 그랜드슬램 대회가 디사이딩 세트 게임스코어 6:6에서 10점 선취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는 통일된 규칙에 합의하여 역사속의 얘기가 됐다.
2022년 이전의 상황을 보면, 2018년까지 다른 그랜드슬램 대회는 마지막 세트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지 않았다가, 2019년부터 점진적으로 도입 중이었다. 2022년 이전에 호주 오픈은 마지막 세트 6:6에서 10점 선취 타이브레이크(소위 슈퍼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고, 윔블던은 마지막 세트 12:12가 되면 7점 선취 타이브레이크를 시행했다. 롤랑 가로스는 마지막 세트 타이브레이크 제도가 없어 남자 5세트 6:6 / 여자 3세트 6:6 상황이 발생하면 2게임을 연속 선취한 선수가 승리하는 방식을 취했다.

2. 역사 및 특징

첫 시작 연도는 1881년. 상당히 오래된 대회이지만, 4개의 그랜드슬램 대회 중에서는 가장 마지막인 1967년부터 포함되었다.

코트 재질은 호주 오픈과 같은 하드 코트.[5] 참고로 1881~1974년까진 잔디 코트에서 경기가 열렸고 1975~1977년에는 클레이 코트에서 열렸으나, 1978년부터 하드 코트로 바뀌었다. 지미 코너스는 1974, 1976, 1978, 1982, 1983년에 US 오픈 우승을 차지함으로써 단일 대회에서 잔디, 클레이, 하드코트에서 모두 우승을 경험한 유일무이한 기록을 소유하게 되었다.

그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미국의 중/고등학교의 테니스 코트는 대부분 하드 코트다. 관리하기 쉬우니깐[6][7]중/고등학교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아니 사실상 모든 공원에 있는 코트들은 하드코트라고 보면 편하다. [8]

미국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대규모의 스포츠 행사라 그런지 US 오픈 시즌이 되면 대부분의 경기를 미국 방송국에서 생중계 한다. 롤랑 가로스나 윔블던 같은 그랜드슬램 대회와는 다르게 조명시설의 구비가 잘 돼 있어 야간 경기도 열리는 터라 직장인들의 퇴근시간 이후에 시청률이 높게 나온다고.

대회 전에 6주에 걸쳐 5개의 투어 대회가 펼쳐지는데, 이 대회들은 US 오픈과 묶어서 통칭 US 오픈 시리즈로 불린다. 각 대회 별로 별도의 점수를 부여한 후 시리즈 점수가 높은 선수가 US 오픈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면 추가로 보너스를 지급하는 방식. 예를 들어 2013년에 라파엘 나달은 US 오픈 시리즈에서 우승을 쓸어담아 1위를 차지 - US 오픈 우승까지 거머쥐었는데 260만 달러의(!) 우승상금에다 100만 달러의 보너스를 받아 총합 360만(!!) 달러의 막대한 상금을 받아갔다. 현재는 보너스 지급은 중단되었다.

다른 그랜드슬램 대회들의 경우에도 그랜드슬램 대회 전에 서피스나 기후 등에 적응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투어 급 프로 대회가 그랜드슬램 대회 근처에서 열리고 있지만, 이런 대회들을 하나의 시리즈로 묶은 건 US 오픈이 유일하다. 미국의 테니스 인기가 예전만 못해 미국에서 열리는 프로대회가 없어지거나 축소되는 경우가 다반사지만, US 오픈만은 그 인기가 여전한듯 상금 규모 면에선 프로급 테니스 대회 중 압도적인 상금을 자랑한다.

US 오픈에서 한국 선수가 올린 최고 성적은 16강 진출인데, 1981년에 여자 테니스 선수였던 이덕희 선수가 16강에 오른 적이 있고 남자 테니스 선수로는 이형택 선수가 2000년과 2007년에 16강에 올랐다.

아시아로 범위를 넓히면 남자는 일본의 니시코리 케이가 준우승으로 최고 기록이며, 여자는 2018년에 오사카 나오미[9]가 처음 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에 코로나 사태로 여러모로 혼란스러운 미국의 상황에서 무관중으로 간신히 개최가 되긴 했지만 빅3 중에 라파엘 나달로저 페더러가 출전을 포기함에 따라 팬들이나 전문가들은 노박 조코비치가 무난하게 우승을 따낼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았지만... 조코비치가 16강 1세트에 자신의 뜻대로 게임이 안풀리자 순간의 화를 못참고 라켓으로 공을 아무렇게나 때려 베이스라인 뒤로 보냈는데 이게 라인판정을 하는 심판의 목을 강타하는 사고를 치면서(...) 실격패를 당하였다. 그리고 이후 16강 일정이 마무리 되고 8강 대진이 결정되면서 그랜드슬램 역대 최초로 1990년 이후 출생자가 우승을 가져가게되었다.

결국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유력하게 거론되는 2020 US 오픈 우승후보는 랭킹 3위 도미니크 팀, 랭킹 5위 다닐 메드베데프와 랭킹 7위 알렉산더 즈베레프정도가 있다. 그리고 결승에서 도미니크 팀이 알렉산더 즈베레프를 꺾고 그 주인공이 되었다.

2021년에는 라파엘 나달이 부상으로 시즌 아웃된 가운데, 다닐 메드베데프노박 조코비치를 꺾고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선 에마 라두카누그랜드슬램 대회 사상 최초 예선부터 시작해 무실 세트로 우승하는 파란을 일으키며 일약 스타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2022년에는 테니스 Big3는 물론 메이저 대회 우승 경험이 있는 선수들이 모두 4라운드에서 탈락하면서 대회 3년 연속으로 메이저 대회 최초 우승자를 배출하게 되었다. 사실상 테니스계의 춘추전국시대가 열렸다고 볼 수 있다. 해당 대회는 카를로스 알카라스가 우승을 차지하며 최연소 세계 랭킹 1위 자리를 거머쥐었다. 여자 단식은 1시드이자 랭킹 1위인 이가 슈비온텍이 우승을 차지, 1년 전 여자 단식과 정반대의 상황이 연출되었다.

2023년에는 노박 조코비치가 다닐 메드베데프를 맞아 3-0 승리를 거두며 2021년 결승전 패배를 설욕함과 동시에 24번째 그랜드슬램 타이틀을 차지하였다.

남자 단식의 경우 2008년 로저 페더러의 5연패 이후로 현재까지 연속 우승이 나오지 않고 있으며, 이는 동기간 열린 메이저 대회들 중 유일하다. 이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우승한 선수는 각각 4회 우승한 라파엘 나달(2010, 2013, 2017, 2019)과 노박 조코비치(2011, 2015, 2018, 2023)다.

3. 주요 기록

3.1. 남자 단식

2024년 대회 종료 후 기준
기록 성명 횟수
<colbgcolor=#002887> 최다 우승 지미 코너스, 피트 샘프러스, 로저 페더러 5회[10]
최다 결승진출 노박 조코비치 10회[11]
최다 4강진출 지미 코너스 14회[12]
최다 본선승리 지미 코너스 98승[13]

3.2. 여자 단식

2022년 대회 종료 후 기준

4. 대한민국 선수 출전기록

4.1. 남자 단식

순서 성명 기록
1 윤용일 1패
2 이형택 10승 9패
3 정현 5승 4패
4 권순우 2승 4패

4.2. 여자 단식

순서 성명 기록
1 이덕희 5승 4패
2 박성희 1승 3패
3 조윤정 4승 5패
4 전미라 1패
5 한나래 1패

5. 상금 규모

연도 총상금 상승률 단식 우승상금 상승률 단식 1회전 탈락자 상금
2009 22,082,750 1,600,000 5.8%
2010 23,618,000 6.9% 1,700,000 6.2%
2011 23,718,000 0.4% 1,800,000 5.8%
2012 25,500,000 7.5% 1,900,000 5.5%
2013 34,300,000 34.5% 2,600,000 36.8% 32,000
2014 38,300,000 11.6% 3,000,000 15.3% 35,754
2015 42,300,000 10.4% 3,300,000 10.0% 39,500
2016 46,300,000 9.4% 3,500,000 6.0% 43,300
2017 50,400,000 8.8% 3,700,000 5.7% 50,000
2018 53,000,000 5.1% 3,800,000 2.7% 54,000
2019 57,238,700 8.0% 3,850,000 1.3% 58,000
2020 53,402,000 -6.3% 3,000,000 -22.1% 61,000
US 오픈의 상금 규모는 2009년에서 2019년까지 10년 사이에 총상금은 2.59배 정도, 우승상금은 2.40배 정도로 증가하였다. 2020년 대회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인한 무관중 경기 등의 영향으로 총상금이 감소하였다.

6. 역대 결승전

6.1. 남자 단식

US 오픈이 프로 테니스 선수 출전을 허용한 것은 1968년이지만 4대 그랜드슬램 대회 모두가 프로 테니스 선수 출전을 허용한 1969년 남자 단식 결승전부터 표시한다.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1969 파일:호주 국기.svg 로드 레이버 파일:호주 국기.svg 토니 로체 7-9, 6-1, 6-2, 6-2
1970 파일:호주 국기.svg 켄 로즈월 파일:호주 국기.svg 토니 로체 2-6, 6-4, 7-6, 6-3
1971 파일:미국 국기.svg 스탠 스미스 파일:체코 국기.svg 얀 코데시 3-6, 6-3, 6-2, 7-6
1972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일리에 너스타세 파일:미국 국기.svg 아서 애시 3-6, 6-3, 6-7, 6-4, 6-3
1973 파일:호주 국기.svg 존 뉴컴 파일:체코 국기.svg 얀 코데시 6-4, 1-6, 4-6, 6-2, 6-3
1974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파일:호주 국기.svg 켄 로즈월 6-1, 6-0, 6-1
1975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마누엘 오란테스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6-4, 6-3, 6-3
1976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비외른 보리 6-4, 3-6, 7-6, 6-4
197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기예르모 빌라스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2-6, 6-3, 7-6, 6-0
1978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비외른 보리 6-4, 6-2, 6-2
1979 파일:미국 국기.svg 존 매켄로 파일:미국 국기.svg 비타스 게룰라이티스 7-5, 6-3, 6-3
1980 파일:스웨덴 국기.svg 비외른 보리 7-6, 6-1, 6-7, 5-7, 6-4
1981 파일:스웨덴 국기.svg 비외른 보리 4-6, 6-2, 6-4, 6-3
1982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파일:체코 국기.svg 이반 렌들 6-3, 6-2, 4-6, 6-4
1983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코너스 6-3, 6-7, 7-5, 6-0
1984 파일:미국 국기.svg 존 매켄로
1985 파일:체코 국기.svg 이반 렌들 파일:미국 국기.svg 존 매켄로 7-6, 6-3, 6-4
1986 파일:체코 국기.svg 미로슬라프 메치르시 6-4, 6-2, 6-0
1987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츠 빌란데르 6-7, 6-0, 7-6, 6-4
1988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츠 빌란데르 파일:체코 국기.svg 이반 렌들 6-4, 4-6, 6-3, 5-7, 6-4
1989 파일:독일 국기.svg 보리스 베커 파일:체코 국기.svg 이반 렌들 7-6, 1-6, 6-3, 7-6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러스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6-4, 6-3, 6-2
199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테판 에드베리 파일:미국 국기.svg 짐 쿠리어 6-2, 6-4, 6-0
1992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테판 에드베리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러스 3-6, 6-4, 7-65, 6-2
1993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러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드릭 피올린 6-4, 6-4, 6-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티히 6-1, 7-65, 7-5
1995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러스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6-4, 6-3, 4-6, 7-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러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창 6-1, 6-4, 7-63
1997 파일:호주 국기.svg 패트릭 래프터 파일:영국 국기.svg 그렉 루세드스키 6-3, 6-2, 4-6, 7-5
1998 파일:호주 국기.svg 패트릭 라프터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필리포시스 6-3, 3-6, 6-2, 6-0
1999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마틴 6-4, 6-75, 6-72, 6-3, 6-2
2000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라트 사핀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러스 6-4, 6-3, 6-3
2001 파일:호주 국기.svg 레이튼 휴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러스 7-64, 6-1, 6-1
2002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샘프러스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6-3, 6-4, 5-7, 6-4
2003 파일:미국 국기.svg 앤디 로딕 파일:스페인 국기.svg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6-3, 7-62, 6-3
2004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파일:호주 국기.svg 레이튼 휴이트 6-0, 7-63, 6-0
2005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애거시 6-3, 2-6, 7-61, 6-1
2006 파일:미국 국기.svg 앤디 로딕 6-2, 4-6, 7-5, 6-1
2007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7-64, 7-62, 6-4
2008 파일:영국 국기.svg 앤디 머리 6-2, 7-5, 6-2
200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3-6, 7-65, 4-6, 7-64, 6-2
2010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6-4, 5-7, 6-4, 6-2
201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6-2, 6-4, 6-73, 6-1
2012 파일:영국 국기.svg 앤디 머리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7-610, 7-5, 2-6, 3-6, 6-2
2013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6-2, 3-6, 6-4, 6-1
2014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마린 칠리치 파일:일본 국기.svg 니시코리 케이 6-3, 6-3, 6-3
2015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저 페더러 6-4, 5-7, 6-4, 6-4
2016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탠 바브린카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6-71, 6-4, 7-5, 6-3
2017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케빈 앤더슨 6-3, 6-3, 6-4
2018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6-3, 7-6, 6-3
2019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파엘 나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닐 메드베데프 7-5, 6-3, 5-7, 4-6, 6-4
20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도미니크 팀 파일:독일 국기.svg 알렉산더 즈베레프 2-6, 4-6, 6-4, 6-3, 7-66
20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닐 메드베데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6-4, 6-4, 6-4
2022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 알카라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카스퍼 루드 6-4, 2-6, 7-61, 6-3
202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노박 조코비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닐 메드베데프 6-3, 7-65, 6-3
20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야닉 시너 파일:미국 국기.svg 테일러 프리츠 6-3, 6-4, 7-5

6.2. 여자 단식

US 오픈이 프로 테니스 선수 출전을 허용한 것은 1968년이지만 4대 그랜드슬램 대회 모두가 프로 테니스 선수 출전을 허용한 1969년 여자 단식 결승전부터 표시한다.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1969 파일:호주 국기.svg 마거릿 코트 파일:미국 국기.svg 낸시 리치 6-2, 6-2
1970 파일:호주 국기.svg 마거릿 코트 파일:미국 국기.svg 로즈메리 카살스 6-2, 2-6, 6-1
1971 파일:미국 국기.svg 빌리 진 킹 파일:미국 국기.svg 로즈메리 카살스 6-4, 7-6
1972 파일:미국 국기.svg 빌리 진 킹 파일:호주 국기.svg 케리 멜빌 6-3, 7-5
1973 파일:호주 국기.svg 마거릿 코트 파일:호주 국기.svg 이본 굴라공 7-6, 5-7, 6-2
1974 파일:미국 국기.svg 빌리 진 킹 3-6, 6-3, 7-5
1975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5-7, 6-4, 6-2
1976 6-3, 6-0
1977 파일:호주 국기.svg 웬디 턴불 7-6, 6-2
1978 파일:미국 국기.svg 팸 슈라이버 7-5, 6-4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트레이시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6-4, 6-3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파일:체코 국기.svg 하나 만들리코바 5-7, 6-1, 6-1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트레이시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6, 7-64, 7-61
1982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파일:체코 국기.svg 하나 만들리코바 6-3, 6-1
1983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6-1, 6-3
1984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버트 4-6, 6-4, 6-4
1985 파일:체코 국기.svg 하나 만들리코바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7-63, 1-6, 7-62
1986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파일:체코 국기.svg 헬레나 수코바 6-3, 6-2
1987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7-64, 6-1
1988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6-3, 3-6, 6-1
1989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3-6, 7-5, 6-1
199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6-2, 7-64
1991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모니카 셀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7-61, 6-1
1992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모니카 셀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6-3, 6-3
1993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파일:체코 국기.svg 헬레나 수코바 6-3, 6-3
1994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프 그라프 1-6, 7-63, 6-4
1995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파일:미국 국기.svg 모니카 셀레스 7-66, 0-6, 6-3
1996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피 그라프 파일:미국 국기.svg 모니카 셀레스 7-5, 6-4
1997 파일:스위스 국기.svg 마르티나 힝기스 파일:미국 국기.svg 비너스 윌리엄스 6-0, 6-4
1998 파일:미국 국기.svg 린지 데이븐포트 파일:스위스 국기.svg 마르티나 힝기스 6-3, 7-5
1999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마르티나 힝기스 6-3, 7-64
2000 파일:미국 국기.svg 비너스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린지 데이븐포트 6-4, 7-5
2001 파일:미국 국기.svg 비너스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6-2, 6-4
2002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비너스 윌리엄스 6-4, 6-3
2003 파일:벨기에 국기.svg 쥐스틴 에냉 파일:벨기에 국기.svg 킴 클리스터스 7-5, 6-1
2004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데멘티예바 6-3, 7-5
2005 파일:벨기에 국기.svg 킴 클리스터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메리 피어스 6-3, 6-1
2006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샤라포바 파일:벨기에 국기.svg 쥐스틴 에냉 6-4, 6-4
2007 파일:벨기에 국기.svg 쥐스틴 에냉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6-1, 6-3
2008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옐레나 얀코비치 6-4, 7-5
2009 파일:벨기에 국기.svg 킴 클리스터스 파일:덴마크 국기.svg 카롤리네 보즈니아키 7-5, 6-3
2010 파일:벨기에 국기.svg 킴 클리스터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베라 즈보나레바 6-2, 6-1
2011 파일:호주 국기.svg 서맨사 스토서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6-2, 6-3
2012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빅토리아 아자렌카 6-2, 2-6, 7-5
2013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빅토리아 아자렌카 7-6, 6-78, 6-1
2014 파일:덴마크 국기.svg 카롤리네 보즈니아키 6-3, 6-3
20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플라비아 페네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베르타 빈치 7-64, 6-2
2016 파일:독일 국기.svg 안젤리크 케르버 파일:체코 국기.svg 카롤리나 플리스코바 6-3, 4-6, 6-4
2017 파일:미국 국기.svg 슬로안 스티븐스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키스 6-3, 6-0
2018 파일:일본 국기.svg 오사카 나오미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6-2, 6-4
2019 파일:캐나다 국기.svg 비앙카 안드레스쿠 파일:미국 국기.svg 세레나 윌리엄스 6-3, 7-5
2020 파일:일본 국기.svg 오사카 나오미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빅토리아 아자렌카 1-6, 6-3, 6-3
2021 파일:영국 국기.svg 에마 라두카누 파일:캐나다 국기.svg 레일라 페르난데스 6-4, 6-3
2022 파일:폴란드 국기.svg 이가 슈피온텍 파일:튀니지 국기.svg 온스 자베르 6-2, 7-65
2023 파일:미국 국기.svg 코코 가우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아리나 사바렌카 2-6, 6-3, 6-2
2024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아리나 사바렌카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카 페굴라 7-5, 7-5

7. 여담

8. 참고 링크



[2024] [2024] [3] 뉴욕 지하철 7호선플러싱-메인가역{Flushing-Main Street}방향과 롱아일랜드 철도의 포트 워싱턴 지선을 이용해 갈 수 있다. 메츠-윌레츠 포인트역{Mets-Willets Point}에서 하차하면 된다. 참고로 7호선 한정으로 US Open 기간에는 경기장 방향의 철문이 개방되므로(비대회 기간동안에는 폐쇄) 하차 후 경기장으로 직행이 가능하다. 7호선은 42가 타임스 스퀘어{42nd Street-Times Square}에서 탑승, 롱아일랜드 철도는 펜스테이션{Penn Station}에서 탑승한다.[4] 아서 애시 스타디움이 건립되기 전까지는 바로 옆의 '루이 암스트롱 스타디움(Louis Armstrong Stadium)'이 주 경기장 역할을 했다.[5] 정확히 말하면 동일한 것은 아니다. 같은 유형의 하드 코트라고 하여도 US Open에서는 DecoTurf를, 호주 오픈에서는 Plexicushion을 사용하고 있으며, US Open 쪽의 하드 코트가 비교적 잔디 코트와 더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6] 윔블던이 잔디 코트를 채택중인데 1년 내내 관리에만 수많은 돈과 시간을 지출한다. 당장 골프를 하는데 필요한 돈이 많이 드는 이유중 하나가 장비는 대여를 하거나 중고품, 저가형을 사서 아낄수 있지만 잔디 관리 비용으로 인해 코스를 도는데 필요한 비용이 높아서이다.[7] 가장 큰 비용이 드는 골프채 플세트의 경우 중고로 살 경우 프로선수들이 쓰는 장비가 100만원대 초반, 초급자용은 10만원대후반~20만원대 초반 이면 살수 있다.[8] 미국은 공원문화가 한국보다 매우 발달해 있으며, 많은 공원들이 사이즈는 한국과 차원이 다르고, 테니스 코트가 있는 곳도 많다. 테니스 코트가 있는 곳은 보통 한번에 4~12개의 코트를 같이 짓는 편이다. 일부 회사 관리 코트(iTennis 등, 보통 시간당 $5)를 제외하면 거의 100% 무료인건 덤. FCFS(First Come First Serve)이다. 대기자가 있을 경우 한시간 사용규칙이 있는 경우가 많으나, 앞에 있는 사람이 나오기 전까진 못들어 가는 것은 암묵적인 룰이다.[9] 중남미 혼혈이다. 이 선수는 2019년 호주오픈 여자단식에서 백투백또(?) 우승을 하였다.[10] 공동 4위 존 매켄로, 라파엘 나달, 노박 조코비치(4회)[11] 공동 2위 이반 렌들, 피트 샘프러스(8회)[12] 2위 노박 조코비치(13회)[13] 2위 로저 페더러(89승)[14] 3위는 슈테피 그라프의 5회[15] 2위는 크리스 에버트의 9회[16] 2위는 크리스 에버트의 101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