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나 사바렌카 관련 틀 | |||||
{{{#!folding ▼ | 역대 호주 오픈 여자 단식 우승자 | ||||
2022년 | → | 2023년 - 2024년 | → | 2025년 |
| ||||
역대 US 오픈 여자 단식 우승자 | ||||
2023년 | → | 2024년 - 2025년 | → | 2026년 미정 |
<nopad> | |
아리나 샤르헤예우나 사바렌카 (Aryna Siarhiejeuna Sabalenka | Арына Сяргееўна Сабаленка) | |
생년월일 | 1998년 5월 5일 ([age(1998-05-05)]세) |
국적 |
|
출신지 | 벨라루스 민스크 |
거주지 |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
프로데뷔 | 2015년 |
신장 | 182cm |
사용 손 | 오른손 (두손 백핸드) |
WTA 싱글 랭킹 | 최고 1위 / 현재 1위 |
WTA 더블 랭킹 | 최고 1위 / 현재 ?위 |
개인전 통산 성적 | 305승 160패 (65.6%) |
복식 통산 성적 | 87승 66패 (56.9%) |
개인전 타이틀 획득 | 20회 |
복식 타이틀 획득 | 6회 |
통산 상금 획득 | $34,499,838 |
후원 | 나이키, 윌슨, Audemars Piguet, Whoop, Oakberry |
SNS | |
1. 개요
벨라루스의 여자 테니스 선수. 단/복식에서 모두 활약한 선수다.2. 테니스 성적
그랜드슬램 최고 성적- 호주 오픈 : 우승 - 2023, 2024
- 롤랑가로스(프랑스 오픈) : 준우승 - 2025
- 윔블던 : 4강 - 2021, 2023
- US 오픈 : 우승 - 2024, 2025
기타 대회
- WTA 파이널스 : 준우승 - 2022
- WTA 1000 : 우승 9회, 준우승 4회
- WTA 500 : 우승 5회, 준우승 7회
- WTA 250 : 우승 2회, 준우승 3회.
빅 타이틀 우승 기록
<rowcolor=#000> 아리나 사바렌카 빅 타이틀 우승 기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접기】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마드리드 오픈 챔피언 | ||||
이가 시비옹텍 (2024) | → | 아리나 사바렌카 (2025) | → | 미정 (2026) | |
마이애미 오픈 챔피언 | |||||
다니엘 콜린스 (2024) | → | 아리나 사바렌카 (2025) | → | 미정 (2026) | |
우한 오픈 챔피언 | |||||
캐롤라인 가르시아 (2017) | → | 아리나 사바렌카 (2018,2019,2024) | → | 미정 (2025) | |
US 오픈 챔피언 | |||||
코코 고프 (2023) | → | 아리나 사바렌카 (2024) | → | 미정 (2025) | |
신시내티 오픈 챔피언 | |||||
코코 고프 (2023) | → | 아리나 사바렌카 (2024) | → | 미정 (2025) | |
마드리드 오픈 챔피언 | |||||
온스 자베르 (2022) | → | 아리나 사바렌카 (2023) | → | 이가 시비옹텍 (2024) | |
호주 오픈 챔피언 | |||||
애슐리 바티 (2022) | → | 아리나 사바렌카 (2023,2024) | → | 매디슨 키스 (2025) | |
마드리드 오픈 챔피언 | |||||
키키 베르턴스 (2019) | → | 아리나 사바렌카 (2021) | → | 온스 자베르 (2022) | |
아부다비 오픈 챔피언 | |||||
| 아리나 사바렌카 (2021) | → | 벨린다 벤치치 (2022) |
2.1. 역대 메이저 대회 단식 성적
<rowcolor=#ffffff> 연도 | 호주 | 프랑스 | 윔블던 | US |
2017년 | 불참 | 불참 | 2라운드 | 불참 |
2018년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4라운드 |
2019년 | 3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2라운드 |
2020년 | 1라운드 | 3라운드 | 취소[1] | 2라운드 |
2021년 | 4라운드 | 3라운드 | 4강 | 4강 |
2022년 | 4라운드 | 3라운드 | 참가불가[2] | 4강 |
2023년 | 우승 | 4강 | 4강 | 준우승 |
2024년 | 우승 | 8강 | 불참 | 우승 |
2025년 | 준우승 | 준우승 | 4강 | 우승 |
3.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리나 사바렌카/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리나 사바렌카/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타 선수들과의 상대 전적
5. 플레이스타일
아리나 사발렌카는 강력한 서브와 파워풀한 그라운드 스트로크를 중심으로 하는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그녀의 첫 서브는 매우 빠르고 강력하여 많은 에이스를 기록하며, 이를 통해 서브 게임에서 큰 우위를 점한다. 포핸드와 백핸드 모두 강력하고 깊게 들어가 상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며, 특히 포핸드는 강력한 회전과 속도로 상대를 흔든다. 사발렌카는 기회가 생기면 베이스라인에서 네트로 빠르게 접근해 발리를 시도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포인트를 획득한다. 182cm의 신장을 활용하여 코트 전체를 넓게 커버하며, 높은 타점에서 강하게 내려치는 샷은 상대에게 큰 압박을 준다. 이러한 전반적인 플레이 스타일은 사발렌카가 공격적이고 파워풀한 선수로 평가받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6. 여담
- 왼팔 안쪽에 호랑이 얼굴 모양 문신이 있다.
- 2024년 중반부터 사바렌카의 남자친구는 사바렌카의 스폰서 중 하나인 OAKBERRY의 CEO인 Georgios Frangulis이다.
- 아버지는 아이스하키 선수였으며, 2019년에 사망하였다.
- 아버지가 아이스하키 선수였던 영향이 있었는지 현재 남자친구를 만나기전에 사발렌카의 남자친구들은 모두 아이스하키 선수였다.
- 사발렌카가 출전할때 국적이 보이지 않는데, 이는 사발렌카의 국적인 벨라루스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공개적으로 지지함을 밝혔기 때문이다. 매한가지 이유로 다닐 메드베데프[3]의 국적도 나오지 않는다.
- 2025년 롤랑가로스 결승전 패배 후 기자회견에서 코코 가우프를 향한 무례한 태도를 보였고 5살 어린 가우프보다 멘탈적으로 어린 모습을 보여 팬들에게 비난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