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4:38:58

Pillar Chase 2


파일:필체_로고.png
괴물 {{{+5 {{{#ffffff ·}}}}}}


파일:Roblox 아이콘.svg

파일:piller2.webp

Pillar Chase 2
@The_BladeNinja 파일:Roblox 개발자 인증 배지.svg
파일:1px 투명.svg

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파일:1px 투명.svg
제작 날짜
{{{#000 최근 업데이트 날짜
}}}
{{{#000 최대 플레이어 수
15명
}}}
{{{#000 플랫폼
#!wiki style="margin-top:2px''
[[PC|{{{#000 PC}}}]] / [[휴대 전화|{{{#000 모바일}}}]] / [[콘솔|{{{#000 콘솔}}}]]
}}}
{{{#000 커뮤니케이션
#!wiki style="margin-top:2px''
[[파일:Roblox 카메라 아이콘.svg|width=25]] 카메라 / [[파일:Roblox 마이크 아이콘.svg|width=15]] 마이크
}}}
{{{#000 장르
서바이벌 / 일대다 게임
}}}
{{{#000 수위
보통[1]
}}}
SNS

1. 개요2. 특징3. 조작법4. 시스템
4.1. 코인4.2. 토큰4.3. 스태미나4.4. 프로필
4.4.1. 배너
4.5. 리더보드4.6. 임무4.7. 모드4.8. 레벨4.9. 스킨
5. 진영
5.1. 생존자5.2. 괴물
6. 아이템7. 8. 플레이팁
8.1. 공용8.2. 생존자8.3. 괴물들
9. 평가10. 사건사고
10.1. 디스코드 커뮤니티 비활성화 관련10.2. Sandi 개발팀 하차 관련
11. 기타

[clearfix]

1. 개요

Pillar Chase 2 is a horror game in which 1 player is a monster vs multiple human players, you must survive or kill all of the players to win.
Pillar Chase 2는 한명의 괴물과 다수의 생존자들이 경쟁하는 호러 게임입니다. 당신은 이기기 위해 살아남거나 모든 플레이어를 처치해야합니다.
The_BladeNinja가 제작한 로블록스의 공포, 생존 및 탈출 장르의 체험이다. Pillar Chase의 후속작이다.

서브컬쳐 매체에 돌아다니는 기괴한 캐릭터 혹은 크리피파스타 등의 캐릭터들이 되어 시간 안에 다른 모든 생존자들을 죽이거나 몬스터들을 따돌리며 아이템을 모아 정해진 시간동안 살아남는 체험이다.

국내에서는 주로 직역해서 기둥추격2라는 해괴한 이름으로 불린다.[2][3] 다만 그냥 필라 체이스 2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으며, 약칭으로 필체2라고도 불린다.

2. 특징

DEAD BY DAYLIGHTPROJECT: PLAYTIME 등과 같은 공포 술래잡기 게임과 비슷한 요소가 있는 게임이며 생존자들과 괴물들을 플레이 할 수 있다.[4] 하지만 개발자는 DEAD BY DAYLIGHT 대신 헤일로: 리치의 커스텀 게임 모드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3. 조작법

W, A, S, D 이동
LMB 아이템 사용[생존자], 공격[괴물]
RMB 인칭 전환[괴물]
E 상호작용
Q 아이템 떨구기
Space 점프[MX_한정]
Shift 달리기
G 이모트 사용하기
1 ~ 9 아이템 선택[생존자], 능력 사용[괴물]

4. 시스템

4.1. 코인

Coin

본 체험의 기본 재화이다. 코인으로 괴물, 아이템, 스킨 등등을 구매할 수 있다. 코인은 라운드에 참여하거나 로벅스를 지불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아무래도 괴물들이나 그들의 좋은 퀄리티의 몇몇 스킨을 모두 구매하면 할게 없는 지, 많이 쌓아두고 있는 유저도 찾아볼 수 있다. 최대 한도는 18000 코인까지이다.

4.2. 토큰

기본적으로 라운드마다 리셋되는 코인 토큰과 계속해서 괴물로 선택될 때까지 증가되는 몬스터 토큰이 있다.

4.3. 스태미나

체험 내에서 단연코 가장 중요한 요소. 화면 좌측 하단에서 스태미나 게이지를 볼 수 있다. 생존자나 괴물이 뛸 수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 짓는다. 생존자는 100[19], 괴물은 저마다 다른 양의 스태미나를 가진다. 생존자는 괴물보다 일방적으로 스태미나 재생력이 높은 편이다. 0으로 떨어지면 거친 숨소리를 내며 스태미나를 재생할 때까지 매우 긴 딜레이가 생긴다. 괴물은 0으로 떨어져도 바로 재생하나, 스태미나가 10 이하인 상태에서는 달릴 수 없다. 또한 생존자는 '골절' 디버프가 걸리면 그 즉시 10 스테미나가 감소하고 달리기 속도도 줄어든다.[20]

4.4. 프로필

파일:PC2_U프로필.png
프로필은 유저가 체험을 플레이하며 쌓아온 수치들을 보여준다.

가장 오래 사용한 괴물, 죽은 횟수와 처치 횟수, 플레이 시간등 기본적인 것들부터 특정 괴물들에게서만 할 수 있는 행위의 횟수까지 자세하게 기록된다.[21] 하단에 있는 배너 상점에서 배너를 골라 구매, 혹은 장착할 수 있다.

특정한 수치를 달성함으로서 얻는 이득이 없는 체험의 특성상 유저들끼리 서로 자랑하는 것에 잦게 쓰인다.

4.4.1. 배너

4.5. 리더보드

일반 리더보드하곤 사뭇 다르다. 항상 화면 상단에서 볼 수 있다. 유저의 사진이 나열된 바의 모습이다. 모습이다. 유저의 라운드의 진영과 생사와 참여 유무를 사진의 테두리 색깔을 통해 따라 알 수 있다. 괴물로 플레이중인 유저는 유저의 사진 대신 괴물의 프로필을 보여준다. 유저의 사진에 커서를 가져다대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괴물과 그 괴물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마지막 생존자에게의 대사는 덤.

4.6. 임무

생존자는 각 맵마다 주어지는 임무를 수행하여 타이머를 줄이고[24], 라운드 종료 보상 코인 토큰과 몬스터 토큰을 증가 시킬 수 있다.[25] 코인은 몰라도 몬스터 토큰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괴물이 빨리 되고 싶으면 이 임무들을 죽더라도 끝내는 것이 중요하다. 임무는 쓰레기 치우기, 불 밝히기, 수집하기 등등 다양하며, 최근 업데이트로 키보드로 특정한 키워드를 입력하고 마우스로 클릭하여 수행하는 임무들의 비중이 높아졌다.

4.7. 모드

총 4가지 모드가 있지만, 공용 서버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모드는 2개이다. 나머지는 VIP 서버에서 투표로 경험해볼 수 있다.

4.8. 레벨

괴물들에게만 한정되는 요소. 괴물들은 생존자에게 공격을 성공하거나 처치, 혹은 특정 능력을 발동함으로서 경험치를 모을 수 있다. 충분한 경험치를 모으면 레벨이 오르며 레벨이 오를 수록 필요로 하는 경험치의 양도 높아진다. 특정 레벨에 도달하면 새로운 랭크로 표기된다. 레벨을 올림으로서 랭크 보상 스킨과 마지막 생존자에게의 새로운 대사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28] 특정 레벨 이상이 되면 1만 이상의 경험치를 요구하는 정신나간 요구량을 볼 수 있다. 최대 레벨은 100이다.
랭크 필요로 하는 레벨
브론즈 10
실버 20
골드 55
다이아몬드 100

4.9. 스킨

코인을 모으거나 로벅스, 혹은 이벤트에 참가함으로서 괴물의 스킨을 얻을 수 있다. 항시적으로 살고 있는 스킨들과 한정된 기간에만 살 수 있는 스킨인 리미티드 스킨들이 있다. 레벨과 마찬가지로 스킨들도 특유의 등급이 있다.

5. 진영

생존자 진영과 괴물 진영으로 나뉜다.

생존자는 제한 시간이 0이 될 때까지 살아남아야하고, 괴물은 제한 시간이 0이 되기 전에 생존자 진영 모두를 처치해야한다.

5.1. 생존자

Survivor

5.2. 괴물


파일:필체_로고.png
괴물들
<col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플레이 가능한 괴물들
파일:바이퍼_프로필.png 파일:로즈마리_프로필.png 파일:아오_오니_프로필.png 파일:포그본_프로필.png 파일:EXE_프로필.png
바이퍼 로즈마리 아오오니 포그본 EXE
파일:발디_프로필.png 파일:엉샘_프로필.png 파일:스프링트랩_프로필.png 파일:MX_프로필.png 파일:포킹_프로필.png
발디 샘소나이트 삼촌 스프링트랩 MX 숲의 왕
파일:wyst_프로필.png 파일:닐로_프로필.png 파일:미믹_프로필.png 파일:후왓티_프로필.png 파일:잉크펠_프로필.png
WYST 닐로티쿠스 비타 미믹 후왓티 잉크펠
파일:PCX_프로필.webp 파일:제프_프로필.webp 파일:발렘_프로필_2.webp 파일:좀비_프로필_PC2.webp 파일:물음표(틀).webp
PCX 제프리 우드 발렘 좀비 미출시
미출시 괴물들
개발자 독점 괴물
개발 중단된 괴물
기타 괴물
}}}}}}}}} ||
Monsters

괴물들. 때때로 '술래'나 '킬러'로도 불린다.

상점에서 코인으로 여러 괴물들을 구입할 수 있다.

각 괴물들은 각자의 개성 넘치는 능력과 디자인을 가졌으며, 몇몇 괴물은 저작권으로 인해 다른 디자인과 설정을 가진 경우도 있다. 또한 일부 괴물들은 자신만의 능력으로 제한 시간을 늘릴 수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illar Chase 2/괴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괴물 애칭 #====
기본적으로 괴물들의 애칭은 괴물들의 생김새에 따라 유저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6. 아이템

맵에서 자체적으로 수급하거나 로비 밑의 피닉스핀치의 상점에서 코인을 소모하여 살 수 있으며, 로비에서는 최대 3개의 아이템까지만 살 수 있다.
네 주변을 작게 밝혀주는 형광봉이야.
피닉스핀치의 설명
가격은 2 코인. 항상 녹색으로 빛나며, 좁은 범위를 밝혀준다. 다른 조명 기구들과 다르게 배터리를 소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꽤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조명 기구들에 비해 밝혀주는 범위가 너무나도 좁고, 꽤나 밝아 괴물의 눈에 띌수 있어 자주 채용되지는 않는다. 다른 조명 기구들에 비해 스폰 비율이 높다. 의외로 던지는 건 불가능하다.
네가 마주보고 있는 방향을 약하게 밝혀주는 손전등이야.
피닉스핀치의 설명
가격은 5 코인. 배터리를 소모하여 마주보고 있는 방향을 밝혀준다. 후술할 울트라 손전등에 비해 배터리 전력량이 너무나도 작기에 체험에 처음 입문하는 유저를 제외하면 사용하는 이를 찾기 어렵다.
손전등보다 더 강한 밝기를 가진 손전등이야.
피닉스핀치의 설명
가격은 10 코인. 노란색 손전등의 모습이다. 다른 아이템에 비해 스폰 비율이 낮다. 일반적인 손전등보다 2배나 더 많은 배터리 전력량을 자랑하며, 심지어 손전등보다 더 강하게 밝혀준다. 이런 강점 때문에 여러 유저들이 애용한다.
자가치료를 할 수 있는 구급상자야. 하지만 달리면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무겁더라고.
피닉스핀치의 설명
가격은 7 코인. HP가 소모된 상태에서 좌클릭을 꾹 눌러 65 HP를 치료할 수 있다. 치료 중에는 스태미나가 재생되지 않는다. 멀리서도 옅은 붉은 색으로 빛나기에 찾기 쉽다. 체력 회복이 가능해 귀한 아이템 중 하나. 어쩔 땐 아예 스폰하지 않아 직접 상점에서 구매하는 유저도 있다.
스테파노는 일정 주기마다 계속 괴물의 위치를 보여줄거야. 다만 그 주기 사이에 시간이 좀 있는 편이야.
피닉스핀치의 설명
가격은 18 코인. 암네시아 오리지널 커스텀 시리즈 나오는 그 조각상이 맞다. 스테파노를 들고 있는 동안에는 가까이 있는 괴물을 잠시 동안 해골 아이콘으로 위치를 표시해준다. 2초의 쿨타임이 있다. 다만 들고 있는 상태에서 괴물의 공격에 피격 당할 경우, 스테파노를 떨구니 주의.
둠피스트의 건틀렛이야. 괴물을 멀리 날려버릴 수 있지만 착용 중에 달릴 수 는 없어.
피닉스핀치의 설명
가격은 18 코인. 좌클릭으로 짧은 선딜 뒤에 약간 돌진하며 전방을 강타한다. 만약 괴물이 맞았을 경우, 벽에 박을 때까지 괴물을 멀리 날려보낸다. 총 2번 사용할 수 있으며, 다 사용한 뒤에는 건틀렛이 무력화되며 땅에 떨어진다. 떨어진 건틀렛은 더 이상 다른 생존자가 주워 사용할 수 없다. 듣기만 하면 매우 쉽고 유용한 아이템인 것처럼 보이나, 범위가 꽤 좁고 괴물이 벽에 박을 경우 스턴 없이 바로 공격할 수 있기에 의외로 사용이 매우 어려워 많은 경험을 요구한다.[36] 괴물에게 쫒기는 생존자를 괴물을 밀어서 도와주는 일도 가능하다.
이걸 괴물에게 던지면 잠시동안 괴물의 시야를 방해할거야.
피닉스핀치의 설명
가격은 22 코인. M84 섬광수류탄의 모습을 띈다. 던져서 괴물을 맞출 경우, 약 5초 동안 괴물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한다. 실명 상태에서는 오라로 생존자를 찾는 것도 불가능하다. 단 괴물에게 피해는 입을 수 있다.
아니.
피닉스핀치의 설명
가격은 350 코인. 착용하면 착용자의 거리에 상관없이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효과음 후에 착용자를 괴물 진영의 좀비로 바꾼다.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괴물이랑은 경험치를 공유하지 않는다. 정말 가끔 자연으로 스폰하기도 한다. 아이템 모델은 SCP 재단SCP-035의 모습을 띄며, 개발자의 말로는 SCP-035와 Lethal CompanyMasked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7.

라운드가 진행되는 맵이 여럿 있으며, 저마다 고유한 임무와 구조를 가진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illar Chase 2/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플레이팁

플레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팁들을 서술하는 문단.

8.1. 공용

8.2. 생존자

8.3. 괴물들

9. 평가

10. 사건사고

10.1. 디스코드 커뮤니티 비활성화 관련

본 체험의 공식 디스코드 서버의 커뮤니티가 비활성화되고 일반 유저가 활동할 수 있는 모든 채널을 닫은 사건이다.

개발진들의 입장에서는 공식 디스코드를 커뮤니티가 아닌, 일반적으로 개발중인 것들을 보여주는 개발 전용 채널로 개조할 생각을 전에도 해왔으며 그것을 지금 실행해 옮겼다는 입장이다.

본 사건으로 일반 유저들의 체험 내의 활동량이 0가 되는 가까워지는 참사 아닌 참사가 일어났다. 따라서 일반 유저들의 비공식 커뮤니티 서버가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10.2. Sandi 개발팀 하차 관련

11. 기타


[1] 유혈 (현실적/경미함), 폭력 (보통/반복적)[2] 상점 주인도 아예 대놓고 "Have fun for chasing pillars!" 라는 이해하기 어려운 말을 한다.[3] 번역하면 "기둥들을 쫓으면서 재미있게 놀아!".[4] 단, 데바데랑 달리 진영 선택이 불가능하다.[5] 굳이 협력이라고 한다면 한명이 어그로를 끌고 나머지 사람들이 임무를 최대한 밀어서 제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아님 서로 아이템을 나눠줄 수도 있다.[6] 괴물 정보에 크레딧이 적혀져있다.[생존자] [괴물] [괴물] [MX_한정] MX가 괴물인 라운드에만 사용 가능하다.[생존자] [괴물] [13] 보너스 코인은 5에서 10까지의 수에서 무작위로 정해진다.[생존자] [공용] [생존자] [생존자] [괴물] [19] '위험이 2배' 모드이거나 '러너' 업그레이드 사용 시, 110.[20] 이 '골절' 상태에서는 웬만하면 괴물이 당신을 죽일려고 할 것이므로 편히 포기하자. 가끔 살려달라고 괴물에게 각종 표현을 하면 살려주는 괴물도 가끔 있다.[21] '탈출 횟수'는 VIP 서버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는 '수집' 모드에서만 해당됨으로 수치가 높은 유저들을 보기 쉽지 않다.[아오오니_한정] [23] 구버전에서는 자신의 사진이 아오오니로 보여졌다.[24] 예외로 숨바꼭질 맵은 기억 조각들을 Mr. 핑키에게 넘겨줄때마다 기억 조각 1개당 시간을 감소 시킨다.[25] 다만 임무 횟수가 많으면 한번 임무를 수행할 때 차는 코인 토큰이 조금 낮다.[VIP_서버] [VIP_서버] [28] 마지막 생존자에게의 대사는 레벨 요구 조건이 높을수록 대사 내용이 위협적이거나 자신의 힘을 과시하는 듯한 대사들이다.[29] 리미티드는 900.[30] 리미티드는 1,350.[31] 리미티드는 2,950.[32] 예시로 샘소나이트 삼촌의 전설 리미티드 스킨인 스트리머 스킨은, 외형과 대사는 물론 플레이어들의 외형을 햄버거로 바꾼다.[33] 리미티드는 스킨에 따라 다르다. 다만 모두 공통적으로 3,000 코인은 거뜬히 넘는다.[34] 실제로 바이퍼는 인게임 이동속도가 스프링트랩과 함께 공동 2위로 느리다.[35] 익숙한 다른 살인마가 생각나는 건 기분탓이다.[36] 매우 드물게 괴물을 벽에 박히게 하거나 맵 밖으로 튕기게 하는 버그가 일어난다.[37] 관련 유튜브 영상 조회수를 비교해보았을 때, 해외는 거의 적어도 1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반면에 한국은 많아야 2천회라는 상대적으로 안쓰러운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38] 다만 짧은 주기로 인해 업데이트의 질이 낮아질 것 같다는 의견도 존재한다.[39] 아마 농담 삼아 고의적으로 그런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