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 {{{#002D56,#8d704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8d704f | |||
역사(임원) | 학부 | 재단 | |
대학원 | 상징 | ||
학풍(사회 진출) | 학사제도 | ||
출신 인물 | |||
입학 | 이야깃거리 | 사건사고 | |
교통 | 행사(역동전) | HIMUN | |
외대어학원 | FLEX | ||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
HUFS International Model United Nations
한국외국어대학교 모의국제연합
1. 개요
한국외국어대학교가 개최하는 모의 유엔 대회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역사를 갖고 있는 모의 유엔이다. 학술회 개념인 HIMUN 총회(HUFS International Model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공개 프로그램을 해마다 열고 있으며, 매년 정부 부처와 각종 국제기구, 연구원, 대사관, 기업 등의 후원 및 협찬을 받고 있다. 국내외 정부 기관 장관에서부터 각국의 대사까지 사회 각층의 협조를 받아 유지되고 있다. 1995년 부터 외교부 산하 법인 유엔한국협회와 공동으로 모의유엔을 개최하고 있다.실제 UN 회의와 가장 유사한 UN4MUN 의사진행규칙을 사용한다. 가장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위해,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 절차 규칙을 사용한다. 따라서 HIMUN 안전보장이사회를 설치해 운영중에 있다. 많은 모의 유엔이 채택하고 있는 "Point of Information to the Speaker," "Point of Parliamentary Inquiry", "Point of Personal Privilege"는 거의 생략한다. 실제 유엔 회의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절차이기 때문이다. 해당 절차로 얻을 수 있는 사실들은 실제 회의장에서는 회의 시작 이전에 미리 준비되는게 대부분이다. 또한 1,200명 대중에게 모의 유엔 회의 과정을 모두 공개하는 공개방식으로 진행된다. 주요 국가의 고위직 외교관들이 매회 참석해 HIMUN을 관람한다. 2020년 HIMUN은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에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2019년 HIMUN은 UNESCAP ENEA(국제연합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 동북아사무소) 대표, 주한 프랑스대사관 부대사, 주한 인도대사관의 Ms 스리프리야 랑가나탄 대사[1]가 참석해 HIMUN을 관람하였다.
2. 역사
1958 | 한국외국어대학교 모의국제연합 창설 |
1959 | 한국외대에서 ‘UN군축’을 의제로 국내 최초 외국어학술행사 개최 |
1960 ~ 1962 |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집회 불허로 휴회 |
1971 ~ 1972 | 계엄령과 위수령으로 휴회 |
1984 ~ 1988 | 학내 사정[2]으로 중단 |
1989 | 제13차로 기구 부활 및 전통 계승 결의 |
1992 | 임시적 성격의 기구에서 상설화로 자리 매김 |
1993 | 본래 명칭인 Mock United Nations에서 Model United Nations로 개칭 |
2005 | 기구의 영문 명칭을 HUFS International Model United Nations(이하 HIMUN)로 개칭 |
2015 | 하버드 대학교와 ‘The 24th Session Harvard World MUN Seoul 2015’ 공동주최 |
2018.8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질서 안정을 위한 다자협력 방안 모색’을 의제로 제42차 모의UN총회 개최 |
2019.1 | 제43차 안전보장이사회 출범 |
2019.8 | '4차 산업혁명시대, 신 디지털 통상규범 모색'을 의제로 제43차 모의UN총회 개최 |
2020.1 | 제44차 안전보장이사회 출범 |
2020.9 | '신 기후체제 하, 미래 산림을 위한 국제적 거버넌스 마련'을 의제로 제44차 모의UN총회 개최 |
2021.1 | 제45차 안전보장이사회 출범 |
2021.8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식량안보를 위한 다자협력 모색'을 의제로 제44차 모의UN총회 개최 |
2.1. 역대 공동주최
제30차 2006 | 환경부(Ministry of Environment) |
제31차 2007 | 한국국제협력단(KOICA) |
제32차 2008 | 에너지관리공단(KEMCO) |
제33차 2009 | 한국수력원자력(KHNP) |
제34차 2010 | 한국산업인력공단(HRD KOREA) |
제35차 2011 | 산림청(Korea Forest Service) |
제36차 2012 |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 조직위원회(The Korean Organizing Committe for 2012 WCC) |
제37차 2013 | 해양수산부(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제38차 2014 | 환경부(Ministry of Environment), 산업통상자원부(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
제39차 2015 | 통일부(Ministry of Unification) |
제40차 2016 | 한국수력원자력(KHNP) |
제41차 2017 | 한국무역협회(KITA) |
제42차 2018 | 외교부(Ministry of Foreign Affairs, 공식후원) |
제43차 20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Ministry of Science and ICT, 공식후원) , 외교부(Ministry of Foreign Affairs, 공식후원) |
제44차 2020 | 산림청(Korea Forest Service) |
제45차 2021 |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Korea Food Security Research Foundation) |
제46차 2022 | 국제백신연구소(IVI) |
제47차 2023 | 서울대학교 AI 연구원(AIIS, 공식후원) |
제48차 2024 | 국제구조위원회(International Rescue Committee) |
2.2. 역대 의제
제2차 1963 | 중공 UN 가입 The Entry of Red China into the UN |
제3차 1964 | 한국 UN 가입 The Entry of Korea into the UN |
제4차 1965 | 케시미르 전쟁 The International Dispute of Cassimir |
제5차 1966 | 한반도 통일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
제6차 1967 | 중동분쟁 The International Dispute of Middle-East Asia |
제7차 1968 | 체코분쟁 The Czechoslovakia Program |
제8차 1969 | 월남분쟁 The Vietnam War |
제9차 1970 | 중동문제 The Middle-East Asia Program |
제10차 1973 | 남북한 UN동시가입 The Simultaneous Entry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into the UN |
제11차 1982 | 국제테러 International Terrorism |
제12차 1983 | 핵확산방지와 평화적 이용 Non-Proliferation of Nucleus and its Peaceful Use |
제13차 1989 | 핵무기 감축과 세계 평화 Nuclear Weapon Disarmament and World Peace |
제14차 1990 | 환경파괴와 인류의 위기 Environment Disruption and Human Crisis |
제15차 1991 | 신 국제질서와 지역통합 The New International Order and Regional Integration |
제16차 1992 |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South-North Cooperation for Global Environment Preservation |
제17차 1993 | 21세기 UN의 역할과 평화 기능 The Role of UN & Peace Function |
제18차 1994 | WTO의 출범과 신 국제질서의 모색 The Beginning of WTO & the Advance NIEO |
제19차 1995 | 인간 안보와 국제사회 정의의 실현 Human Secur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ustic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
제20차 1996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질서 재편 The Rearrangement of Order in Asia-Pacific Region |
제21차 1997 | 21세기 지역블록화와 UN의 역할 변화 Emerging Regional Blocs in the 21st Century and the Changing the Role of the UN |
제22차 1998 |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신 해양질서 확립 Establishment of New Maritime Ord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제23차 1999 | 21세기 시민사회건설을 위한 NGO의 위상과 역할 The Phase and the Role of the NGOs for Construction of the 21st Century Civil Society |
제24차 2000 | 인류의 평화와 공존을 위한 신안보체제의 확립 Establishment of the New Dimensions of Security for Peace and Coexistence of Human Race |
제25차 2001 | 새로운 정보질서 확립을 통한 문명 간의 대화 Communication among Civilizatio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of Information |
제26차 2002 | 진정한 의미의 세계평화와 유엔의 역할 UN, As the True Leader for the World Peace |
제27차 2003 | 난민에 관한 국제 사회의 협력증진 The Advancement of Global Cooperation on Refugees |
제28차 2004 | 무역 자유화를 위한 국제협력증진 Promoting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rade Liberalization Efforts |
제29차 2005 | 중동평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역할과 노력 The Role and Effort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Peace in the Middle East |
제30차 2006 | 기후변화협약과 국제사회의 책임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Responsibility of International Society |
제31차 2007 | MDGs 달성을 향한 ODA: 개발도상국 발전을 위한 뉴 파트너십 ODA for Achieving the MDGs: A New Partnership for th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
제32차 2008 | Post-2012 기후변화체제를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과 역할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a Post-2012 Climate Change Framework |
제33차 2009 | 대체에너지 보급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와 역할분담 International Forum on Global Society's Roles concern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Development Cooperation |
제34차 2010 |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국제협력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
제35차 2011 |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역할과 노력 The Role and Effort of International Society to Combat Desertification |
제36차 2012 |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제 협력방안 모색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
제37차 2013 | 세계 해양질서 확립을 위한 국제 협력방안 모색 The Cooperative Effort between Nations to Establish International Maritime Order |
제38차 2014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제39차 2015 | 북한인권 증진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방안 모색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 in DPRK |
제40차 2016 | 원자력 에너지의 평화적 사용과 개발을 위한 국제적 협력방안 모색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Peaceful Use and Development of Nuclear Energy |
제41차 2017 | 보호무역주의 흐름의 대두에 따른 신 국제질서 모색 Seeking a New International Order in the Rise of Protectionism Flow |
제42차 2018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질서 안정을 위한 다자협력 방안 모색 Promoting Multilateral Cooperation for the Stabilization of Asia-Pacific Regions |
제43차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 신 디지털 통상규범 모색 4th Industrial Revolution, Searching for New Digital Trade Standard |
제44차 2020 | 신 기후체제 하, 미래 산림을 위한 국제적 거버넌스 마련 Establishing International Governance for Future Forests under the New Climate System |
제45차 2021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식량안보를 위한 다자협력 모색 The Post-Covid Era, Seeking Multilateral Cooperation for Food Security |
제46차 2022 | Covid-19 이후, 글로벌 보건안보 거버넌스 확립을 위한 다자협력 모색 Seeking Global Governance for Health Security in the Post-Covid Era |
제47차 2023 | 인간과 인공지능에 대한 국제적 차원에서의 논의 Discussion at the International Level of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제48차 2024 | 난민과 이주민 문제에 대한 국제적 논의 Discussion at the International Level of Refugees and Migrants |
3. 특징
실제 유엔 총회 형식을 그대로 재현하는 모의 UN 총회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안전보장이사회, 사무국, 통역이사회도 두고 있다. HIMUN에 선발된 각 대표단은 자국의 언어로 발언하는 특징을 가지며, 통역사가 UN 공식 6개 언어(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 중국어)를 한국어 중심으로 릴레이 통역한다.공동주최 기관들이 굉장히 빵빵하다. 매년 정부부처와 각종 국제기구, 연구원, 대사관, 기업 등으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다.
2012년에는 한국외대를 방문한 버락 오바마 미합중국 대통령이 HIMUN 총회를 참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본회를 관람하기도 했으며, 2015년에는 'The 24th Session Harvard World Mun Seoul 2015'라는 이름으로 하버드 대학교와 세계대학생 모의유엔대회인 월드문을 공동개최했다.
29차, 31차, 40차 총회에서는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의 축사를 받기도 했다.
4. 그 외
4.1. Model European Union Korea : 모의유럽연합
한국외국어대학교 장 모네 EU센터가 운영하는 한국의 모의유럽연합이다. 고려대, 연세대, 한국외대가 3자 공동개최 하는 한국의 모의유럽연합으로, 주한 유럽연합 대표부의 후원을 받고 있다. 한국에 유학 온 유럽연합 소속 국가 유학생들도 참여한다. 학생들의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한국외대 총장상과 유럽연합 대사상, EU센터장 최우수상을 수상한 학생들은 주한 EU 대표부가 후원하는 해외연수 특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고상을 수상한 3명의 학생들은 벨기에 유럽연합 본부 견학, 벨기에 소재 대학교에서의 국제 연수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다.모의유럽연합은 유튜브에서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공개방식으로 치러진다.
한국대학신문: 2021 모의 유럽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