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0:47:18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관리공단에서 넘어옴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국립공원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환경보전원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전KPS 한전KDN
한전MCS 한국전력기술 전력거래소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전기안전공사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
한국에너지공단
Korea Energy Agency (KEA)
파일:한국에너지공단 로고.svg
정식 명칭 한국에너지공단
한자 명칭 韓國에너지公團
영문 명칭 Korea Energy Agency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80년 7월 4일[1]
설립목적 에너지이용합리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시키고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45조
업종명 기타 산업진흥 행정업
대표자 이상훈
주무기관 기후에너지환경부
기업 분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748명(2023년 2분기 기준)
미션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태계 구축으로 국민행복에 기여
비전 국민에게 신뢰받는 에너지 리더
위치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323 (우정동)
홈페이지 홈페이지 · 혁신인재육성실
공식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네이버블로그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인스타그램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트위터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페이스북
공식 캐릭터
파일:한국에너지공단 마스코트 세세.svg
마스코트 '세세(SeSe)'
관련 전화번호
대표전화: 052-910-0114
파일:한국에너지공단 본사.jpg
1. 개요2. 연혁3. 사업4. 역대 이사장5. 논란 및 사건 사고6. 노동조합 현황7. 여담

1. 개요

▲ 한국에너지공단 공식 홍보영상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45조(한국에너지공단의 설립 등)
① 에너지이용 합리화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한국에너지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에너지이용합리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시키고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는 기관.

한국에너지재단과의 통폐합이 검토되고 있다. # 공단과 재단으로 나눠진 에너지 복지사업을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재정부는 통합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라고. #

2. 연혁

3. 사업

한국에너지공단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57조).

4. 역대 이사장

5. 논란 및 사건 사고

6. 노동조합 현황

7. 여담

관련업계에서는 슈퍼 갑의 위치에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와의 협업 체제를 공고히 하고 있다.

유사명칭 사용금지 규정에 불구하고 '한국에너지공사'라는 상호의 민간기업이 버젓이 존재한다. 심지어 기자들이 한국에너지공단에 관한 보도를 내면서 한국에너지공"사"로 잘못 쓰는 예도 드물지 않은데, 한국에너지공단은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설립근거가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어서 실무에서는 헷갈리기가 힘들다.

업무도 많고 사업영역이 워낙 넓다 보니, KOTRA 등 타 공공기관과 같이 해외로 나가기도 한다. 다만 국제감축사업, 산업계 지원사업의 경우 KOTRA와 일부 영역이 겹치기도 하며 환경부와도 같이 일하기도 한다.

또한 본사가 있는 울산우정혁신도시노잼도시로 악명이 높아서, 경상권 출신이 아닌 직원들은 금요일 오후에는 서울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으며 서울에서 내려온 협력업체 직원들은 30분당 1대씩 있는 울산역행 버스 대신 그냥 택시를 타는 경우가 많다.
[1] 2015년 7월 28일, '에너지관리공단'에서 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