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7 11:45:37

포뮬러 3

GP3에서 넘어옴
포뮬러 3
Formula 3
파일:FIA_Formula_3.png
정식명칭 FIA 포뮬러 3 챔피언십
영문명칭 FIA Formula 3 Championship
창설년도 2010년~2018년 (GP3)
2019년~ (현재 F3)
컨스트럭터 달라라(Dallara)
엔진 공급업체 메카크롬(Mecachrome)[1]
타이어 공급업체 피렐리
최근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 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 (브라질 / 2023)
최근 팀 챔피언 프레마 레이싱 (이탈리아 / 2023)
공식 웹사이트 홈페이지
공식 매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804E386A-5F14-43FE-A1CF-C9224237DB71.jpg

1. 개요2. F1화수분
2.1. 역사와 차량 변화
3. FIA 포뮬러 3 챔피언십
3.1. 공식 규정3.2. 2024 F3 시즌 참가 팀 & 드라이버3.3. 역대 챔피언3.4. 포뮬러 1 진출자3.5. 이 외 기타 인물
4. 포뮬러 리저널
4.1. 포뮬러 리저널 외의 F3 계승자들
5. 창원 대회(1999~2004)6. 기타

[clearfix]

1. 개요

F1과 같은 온로드 서킷 오픈휠(Open-Wheel) 형식의 포뮬러 자동차 경주 대회이다.

이 대회는 FIA가 국제적으로 공인한 포뮬러 자동차 경주 대회 중에 가장 급이 낮은 대회이다. 하지만, 많은 예비 포뮬러 원 운전자에게 중요한 입문 코스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포뮬러 3 경주용 자동차는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음에도, 포뮬러 원 자동차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자동차 제작자 입장에서도 F3는 고성능의 경주용 자동차를 제작하기 위한 관문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포뮬러 3부터는 본격적으로 F1 진출을 가시권에 두게 된다. 레이스카도 본격적인 포뮬러 레이스카임으로 F3에서 보여주는 실력이 F1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포뮬러 2와 마찬가지로 포뮬러 3에서 챔피언했다고 다 F1에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자리도 고작 20자리 밖에 안되고 F3 드라이버들의 마지막 관문인 포뮬러 2에서 좋은 실력을 보여야 겨우 참가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대회 특성 상, 돈이 많이 들어가므로 대다수의 선수들은 부유층 자제를 제외하고 기업 스폰서 지원없이는 포뮬러 카테고리에서 계속 살아남기가 힘들다. [3]

2. F1화수분

F1 드라이버가 되고 싶은 아마추어 드라이버들의 정석적인 테크트리는 카트F4[4]→F3→F2F1이다. 그리고 이 테크트리를 보통 로얄 로드 라고 부른다. 가장 왕도적인 F1 입성 루트.[5] 물론 키미 라이코넨 같은 예외의 경우도 있다. 하지만 아무래도 거쳐가는 과정이라는 의식이 많은 대회이므로 F3에는 나이가 어린 드라이버가 많다. 한가지 예로 2014년 FIA European Formula Three Championship의 챔피언은 에스테반 오콘[6]으로 무려 1996년생(우승당시 만 18세)이다. F1 드라이버가 되기 위한 과정을 알고 싶으면 이를 잘 묘사한 일본에서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카페타를 참고할 것.

2019년 이전까지는 F1처럼 F1 이름아래 단일 대회로 치러지는 형식이 아니라, FIA European Formula Three Championship, British Formula Three Championship, All-Japan Formula Three Championship 등 8개의 국가/권역에서 개별적으로 치러지는 형식으로 개최되었었다. 한때 마카오에서 매년 열리는 마카오 그랑프리에서 각 권역별 챔피언들이 참가해서 자웅을 겨루기 때문에 Macau Grand Prix의 우승자가 F3 전세계 챔피언으로 취급받은 적이 있었다. F1은 실력만으로 드라이버로 뽑히는 세계가 아닌지라[7] Macau Grand Prix 우승자나 각 권역별 F3 우승자라 하더라도 F1 드라이버가 되기 힘들지만, F1이나 다른 유수의 대회 드라이버로 선정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므로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다. Macau Grand Prix 챔피언 출신으로 유명한 선수로는 F1 챔피언으로 유명한 미하엘 슈마허, 아일톤 세나 등이 있다.

많은 영드라이버들이 전세계 여러 카트리그에서 재능을 확인한다면 바로 여기서부터 두각을 보이는 선수들이 F1을 가시권에 잡게 된다. F3에서 좋은 성적을 보이면 보통은 F2로 클래스업을 할 수 있고 여기서 특출난 성적을 거둔다면 남들보다 한 템포 빠르게 F1 시트를 보장받거나 테스트 드라이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때문에 F3 부터는 경쟁의 강도가 상상을 초월하게 되며 극단적인 피라미드 모양의 F1 까지의 길 중에서 F1의 극한의 경쟁 모드를 미리 훈련하는 곳이기도 하다.

2.1. 역사와 차량 변화

F1 드라이버를 만들기 위한 하위 클래스의 존재는 예전부터 필요했으며, 1950년대의 F3는 500cc 오토바이 엔진을 얹은 간소한 레이스에서 시작했다.

유러피언 챔피언십 (1975~1984)가 과거에도 있었던 정도로, F3 유로 시리즈 이전에는 F3는 각국의 로컬 레이스로 진행되어왔다.

독일 F3 챔피언십 (1950~2014) 및 프랑스 F3 챔피언십 (1964~2002)가 합병하여 F3 유로 시리즈 (2003~2012) 가 되었다.
영국에서는 별도의 F3 시리즈(1951~2014)가 있었다.

GP3 시리즈(2010~2018)는 GP2 의 파생형으로 만들어진 경기였다. GP3 에서 많은 F1 드라이버가 탄생하였음을 생각하면 중요한 경기다.
2010-2012에는 르노 2.0 터보 280마력 엔진을 사용했다.
2013-2015에는 AER P57 자연흡기 3.4리터 V6 400마력 엔진을 사용했다.
2016년부터 Mecachrome V634 3,396cc 엔진을 적용했으며, 2024년 현재의 F3 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후 F3 유로 시리즈와, 영국 F3를 묶어 FIA Formula 3 유러피언 챔피언십(2012~2018년)으로 통합되었다. 이 대회에서 엔진은 2리터 자연흡기에 7,400rpm 으로 제한되어 약 240hp를 내는데 그치고 있었다.

2019년 현재의 국제적인 FIA Formula 3 챔피언십이 태동하여 2024년까지 이르고 있다.
위의 F3 유러피언 챔피언십과 GP3 시리즈와 통합하였다.
엔진은 Mecachrome V634 3,396cc 엔진이다. F2 에 쓰이는것과 기본적으로 같지만, F3는 터보가 삭제되어 400~380마력 정도를 낸다.
샤시는 2019년~2024년동안 달라라 F3 2019 샤시를 사용했다. 헤일로 및 DRS가 도입되어 있다.
2025년부터 차량의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3. FIA 포뮬러 3 챔피언십

3.1. 공식 규정

파워트레인은 메카크롬 V6 3.4L 자연흡기 엔진과 전진6단 후진1단의 시퀀셜 자동화 수동변속기를 사용하며, 차체는 달라라 F3 2019 차량을 원메이크로 사용한다. 엔진 출력은 400마력이며, 무게는 673kg 이상이여야 한다.
그리고 한 팀에 두 명까지만 출전 가능한 포뮬러 1, 포뮬러 2와 달리, 포뮬러 3에선 한 팀에서 세 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3.2. 2024 F3 시즌 참가 팀 & 드라이버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FIA_Formula_3.png
2024 포뮬러 3 챔피언십
팀명 국적 드라이버
프레마 레이싱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 파일:스웨덴 국기.svg 디노 베가노비치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가브리엘레 미니
3. 파일:영국 국기.svg 아비드 린드블라드
트라이던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레오나르도 포나롤리
5. 파일:프랑스 국기.svg 사미 메게투니프
6. 파일:멕시코 국기.svg 산티아고 라모스
MP 모터스포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7. 파일:독일 국기.svg 팀 트람니츠
8. 파일:폴란드 국기.svg 카츠퍼 추카
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알렉스 던
캄포스 레이싱 파일:스페인 국기.svg 10. 파일:독일 국기.svg 올리버 괴테
1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세바스티안 몬토야
12.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리 보야
하이테크 펄스-에이트 파일:영국 국기.svg 14. 파일:영국 국기.svg 루크 브라우닝
1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마티니우스 스텐스호른
16.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언 실즈
옌저 모터스포트 파일:스위스 국기.svg 1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찰리 부르츠
18.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 에스터슨
19. 파일:페루 민간기.svg 마티아스 자가제타
반 아메르스푸르트 레이싱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 파일:멕시코 국기.svg 노엘 레온
21. 파일:독일 국기.svg 소피아 플뢰르슈
22. 파일:호주 국기.svg 토미 스미스
ART 그랑프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23. 파일:호주 국기.svg 크리스티안 만셀
2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라우렌스 반 회펜
25.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니콜라 촐로프
PHM AIX 레이싱 파일:독일 국기.svg 26. 파일:태국 국기.svg 타사나폴 인트라푸바삭
2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1] 니키타 베드린
2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조슈아 두펙
로딘 모터스포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9. 파일:영국 국기.svg 칼럼 보이진
30. 파일:폴란드 국기.svg 피오트르 비시니츠키
31. 파일:영국 국기.svg 조셉 로크

[1] 베드린은 러시아 국적이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 국적 선수의 참가가 금지되어 이탈리아 라이선스로 출전한다.

3.3. 역대 챔피언

연도 이름 소속 팀 국적 포인트 비고
2010년 에스테반 구티에레즈 ART 그랑프리 멕시코 88 첫번째 GP3 챔피언
2011년 발테리 보타스 로터스 ART 핀란드 62 최저 득점 챔피언
2012년 미치 에반스 MW 아르덴 뉴질랜드 151.5
2013년 다닐 크비얏 러시아 168
2014년 알렉스 린 칼린 영국 207
2015년 에스테반 오콘 ART 그랑프리 프랑스 253 최고 득점 챔피언
2016년 샤를 르클레르 모나코 202
2017년 조지 러셀 영국 220
2018년 앙투안 유베르트 프랑스 214 마지막 GP3 챔피언
2019년 로베르트 슈와츠먼 프레마 레이싱 러시아 212 첫 번째 F3 챔피언
2020년 오스카 피아스트리 오스트레일리아 164
2021년 데니스 하우게르 노르웨이 205
2022년 빅토르 마르탱 ART 그랑프리 프랑스 139
2023년 가브리에우 보르툴레투 트라이던트 브라질 164

3.4. 포뮬러 1 진출자

F3(구 GP3 및 포뮬러 3 유럽 챔피언십) 출신 F1 드라이버 (괄호 안에 F1 출전 경력, F3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1 선수는 볼드체로 표시)

3.5. 이 외 기타 인물

F3(구 GP3 및 포뮬러 3 유럽 챔피언십) 출신 F2(구 GP2) 드라이버 (괄호 안에 F2{구 GP2} 출전 경력, F3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2 선수는 볼드체로 표시)

4. 포뮬러 리저널

FIA 포뮬러 3가 GP3를 합병한 국제(=유럽)대회가 되기는 했는데, 카트를 탄 선수가 포뮬러 4에서 2019년의 포뮬러 3로 올라가기에는 포뮬러 3의 퍼포먼스가 지나치게 고성능이었다. 기존의 F3가 240hp였는데 2019년 이후의 F3는 400마력이라 지나치다. FIA 그레이드 상 출력-중량비로 봐도 기존의 F3는 약 2kg/ps대였는데 2019년 이후의 F3는 1.7kg/ps대라 요구하는 출력의 수준이 한단계를 건너 뛰게 된다.

샤시도 엔진도 유럽제만 쓰는 신규 F3는 비용 부담이 너무 큰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FIA는 공식적으로 기존의 F3와 유사한 스펙의 포뮬러 리저널을 발표하고, 해당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한 차체나 엔진을 만들어낸다면 그것을 허용해주는 시스템으로 가게 되었다.

4.1. 포뮬러 리저널 외의 F3 계승자들

포뮬러 리저널이 FIA가 인정하는 유일한 F3의 계승자이고, FIA 슈퍼 라이선스 포인트도 포뮬러 리저널 대회에만 부과되지만, 각 지역의 대회 특성상 포뮬러 리저널로 합병을 달갑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F3가 4개 엔진이 경합하고 있었는데, 포뮬러 리저널은 엔진과 샤시를 통일해야 해서 이러한 변화가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이런 경우 F3를 벗어나 그와 유사한 급의 대회가 생기는 경우가 많이 생겼고, 아래는 그 예시들이다.

5. 창원 대회(1999~2004)

99년부터 2004년까지 창원에서 F3 코리아 슈퍼프리가 열렸으나, 현재는 주민들의 소음 관련 항의로 인해 모든 시가지 도로와 이어서 사용하던 서킷을 전부 철거한 상태이다. 의외로 대회 자체는 흑자였다고.

6.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과거 1979년부터 F1에서 르노 스포트 F1 팀 엔진을 생산했던 적이 있으며, 다수의 컨스트럭터 팀을 월드 챔피언으로 이끌었다. F3 이전 GP3 시절 2016년부터 공급하였다.[2] 정식 채널이 없어서 F2와 F3 같은 대부분의 영상은 F1 유튜브에 올라온다. 한마디로 한솥밥 먹는 셈이다.[3] 부자집 출신 드라이버의 대표적 사례로는 이 분을 꼽을 수 있다.[4] 2014년부터 개최되었으며 글로벌 챔피언쉽은 없다. 때문에 드문 경우지만 F4를 건너뛰고 가족중에 인맥을 통해서 팀에 낙하산으로 들어가서 F3로 바로 올라가는 케이스도 있다.[5] 하지만 동시에 가장 험난한 루트이기도 한데 저 단계를 다 뚫고 오는데도 10년 가까이 걸리지만 결국에 F1에 데뷔하는 건 일 년에 아주 많아야 둘에서 셋이고 그 마저도 실력은 기본에 운이 어느정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 루트를 타는 드라이버들은 이미 F2 즈음 되면 실력이 정점을 찍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드라이버들간 실력 차이가 정말 미세해져버린다.[6] 현재는 알핀 F1 팀 소속 드라이버이다.[7] 과거 실력미달이지만 일본 컨스트럭터빨로 일본인 F1 드라이버를 배출한 일본의 사례나, 실력이 충분한데도 스폰서를 얻지 못해 2013년 F1에 출전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 고바야시 카무이 등의 사례가 있다.[8] 과거에는 스패니시 F3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름이 바뀐 지금도 F3 규격을 사용하며, 슈퍼포뮬러 라이츠와 같은 섀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