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fff> | 2025 포뮬러 2 [[틀:포뮬러 2 드라이버|{{{#033961 참가 드라이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 | ||||||
FOR No. 1 레오나르도 포나롤리 | JMA No. 3 페페 마르티 | GOE No. 5 올리버 괴테 | BRO No. 7 루크 브라우닝 | MON No. 9 세바스티안 몬토야 | CRA No. 11 잭 크로포드 | |
STA No. 2 로만 스타넥 | LIN No. 4 아비드 린드블라드 | VER No. 6 리처드 페르쇼어 | BEG No. 8 디노 베가노비치 | MIN No. 10 가브리엘레 미니 | MAI No. 12 쿠쉬 마이니 | |
| ||||||
VMA No. 14 빅토르 마르탱 | COR No. 16 아모리 코르딜 | DUR No. 20 조슈아 뒤르크센 | VAN No. 22 라우런스 판 회펀 | BEN No. 24 존 베넷 | ||
MIY No. 15 미야타 리토모 | DUN No. 17 알렉스 던 | SHI No. 21 시안 실즈 | STE No. 23 마르티니우스 스텐스후네 | VIL No. 25 라파엘 비야고메스 |
2026 포뮬러 3 참가 팀 및 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6 시즌 | |||||||
소속 | 국적 | 성명 | No.[1] | |||||
| | 우고 우고추쿠 | 1 | |||||
| 테오필 나엘 | 2 | ||||||
| 에르네스토 리베라 | 3 | ||||||
| | 노아 스트룀스테드 | 4 | |||||
| 마테오 데 팔로 | 5 | ||||||
| 프레디 슬레이터 | 6 | ||||||
| | 알레상드로 쥐스티 | 7 | |||||
| 투카 타포넨 | 8 | ||||||
| 마티아 콜나기 | 9 | ||||||
| | 리 카나토 | 10 | |||||
| 마치에이 그와디쉬 | 11 | ||||||
| 미정 | 12 | ||||||
| | 브루노 델 피노 | 14 | |||||
| 야마코시 히유 | 14 | ||||||
| 헤세 카라스케도 주니어 | 16 | ||||||
| | 브란도 바도어 | 17 | |||||
| 크리스천 호 | 18 | ||||||
| 페드로 클레로 | 19 | ||||||
| | 제임스 와튼 | 20 | |||||
| 루이스 샤프 | 21 | ||||||
| 엔초 델리니 | 22 | ||||||
| | 마이클 신 | 23 | |||||
| 나카무라 진 | 24 | ||||||
| 피온 맥러플린 | 25 | ||||||
| | 브래드 베나비데스 | 26 | |||||
| 페르난도 바리첼로 | 27 | ||||||
| 예반 데이비드 | 28 | ||||||
| | 미정 | 29 | |||||
| 미정 | 30 | ||||||
| 미정 | 31 |
[1] 차량 번호는 지난 시즌 팀 포인트 순위대로 결정되기에 이미 번호 배정은 끝났지만, 드라이버별로 어떤 번호를 사용할지는 발표되지 않았으므로 공식 엔트리 리스트 발표 전까지 팀 내 연장자 순으로 서술한다.
}}}}}}}}} ||
트라이던트 모터스포트 Trident Motorsport | ||
<nopad> | ||
국적 |
| |
설립년도 | 2006년 | |
설립자 | | |
본부 |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밀란 | |
팀 프린시펄 | | |
드라이버 | F2 | 22. 23. |
F3 | -. -. -. | |
FRECA | 2. | |
팀 챔피언십 | 포뮬러 3 (2021) | |
드라이버 챔피언십 | | |
링크 | |
1. 개요
이탈리아의 레이싱 팀이다. 특이하게도 f3에서는 상위권 팀이지만 f2에서는 포인트를 벌기도 힘들 정도로 꼴찌를 전전하는 중하위권 팀이다.2. 연혁
2.1. 포뮬러 2
시즌 종료 전인 2025년 9월 13일, 상호 합의에 의해 사미 메게투니프와 맥스 에스터슨과 결별하였다. 이에 따라 라우런스 판 회펀과 마르티니우스 스텐스후네가 바쿠전 한정으로 출전 예정이다.#2.2. 포뮬러 3
2.3. F4 이탈리아 챔피언십
2025년 6월 9일, 2026년부터 F4 이탈리아 챔피언십에 출전하는 것이 발표되었다.#2.4. 포뮬러 리저널 유러피언 챔피언십
2.4.1. 2026 시즌
핀란드 국적의 루카 사말리스토 선수가 명칭이 바뀌는 2026 시즌 부터 출전 예정이다.#이탈리아의 안드리야 코스틱 선수도 출전 예정이다.#
3. 둘러보기
2025 포뮬러 리저널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팀 및 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 시즌 | |||||||
소속 | 국적 | 성명 | No. | |||||
| | 류루이치 | 5 | |||||
| 난다붓 비롬바크디 | 7 | ||||||
| 마테오 데 팔로 | 8 | ||||||
| | 리 카나토 | 19 | |||||
| 카토 타이토[1] | 89 | ||||||
| 에반 질테어 | 95 | ||||||
| | 야마코시 히유 | 6 | |||||
| 페드로 클레로 | 22 | ||||||
| 디온 고우다[R][3] | 55 | ||||||
| | 라시드 알 다헤리 | 14 | |||||
| 프레디 슬레이터 | 27 | ||||||
| 도리안 핀 | 28 | ||||||
| 잭 비튼 | 45 | ||||||
| | 니키타 베드린[4] | 10 | |||||
| 팀 게르하르즈[R] | 50 | ||||||
| 야로슬라프 베셀라호 | 96 | ||||||
| | 마세오 카피에토 | 9 | |||||
| 발레리오 리니첼라 | 12 | ||||||
| 마이클 벨로프[6] | 20 | ||||||
| 재커리 데이비드 | 미정 | ||||||
| | 에두아르드 보르냐[R] | 2 | |||||
| 아르튀르 에게터[R] | 3 | ||||||
| 카츠페르 슈투카 | 35 | ||||||
| | 아디티야 쿨카르니[9] | 15 | |||||
| 사케르 알 마오셰르지[R] | 16 | ||||||
| | 미정 | 미정 | |||||
| 미정 | 미정 | ||||||
| | 나카무라 진 | 11 | |||||
| 엔초 델리니 | 23 | ||||||
| 아크샤이 보라 | 31 | ||||||
| | 예루이헝 | 21 | |||||
| 엔조 푸조 | 74 | ||||||
| 조반니 마스키오 | 99 |
[1] 카토는 일본 국적이지만, 프랑스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R] 루키 트로피 대상자[3] 고우다는 인도 국적이지만, 영국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4] 베드린은 러시아 국적이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 국적 선수의 참가가 금지되어 이탈리아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R] [6] 벨로프는 러시아 국적이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 국적 선수의 참가가 금지되어 키르기스스탄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R] [R] [9] 쿨카르니는 인도 국적이지만, 영국 라이선스로 출전하고 있다.[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