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3:12:50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

FF7 REBIRTH에서 넘어옴
파일: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로고.svg파일: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0%;"
{{{#!folding [ 메인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0;"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XII
XIII XIV XV XVI
IV 시리즈 IV · 달의 귀환
VII 컴필레이션 VII · ADVENT CHILDREN · BEFORE CRISIS · CRISIS CORE (REUNION) · DIRGE of CERBERUS · EVER CRISIS
VII 리메이크 프로젝트 VII 리메이크 · VII 리버스
X 시리즈 X · X-2
XII: 이발리스 얼라이언스 XII · 레버넌트 윙
XIII: 파불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XIII · XIII-2 · 라이트닝 리턴즈
XV 유니버스 XV 유니버스 작품 목록
}}}
}}}
}}}
[ 외전 시리즈 ]
||<table width=100%><table bgcolor=white,#191919><colcolor=#000><bgcolor=#BBBBBB> 택틱스 ||FFT · FFTA · FFTA2 봉혈의 그리모어 · FFT: 사자전쟁 ||
디시디아 디시디아 · 유니버설 튜닝 · 듀오데심 · 디시디아 NT · 오페라 옴니아
CC 크리스탈 크로니클 · 링 오브 페이트 · 작은 임금님과 약속의 나라 · 에코즈 오브 타임 · 빛과 어둠의 희군과 세계정복의 탑 · 크리스탈 베어러
외전 성검전설 · 미스틱 퀘스트 · 빛의 4전사 · TYPE-0 · 시아트리듬 · 월드 오브 FF · 스트레인저 오브 파라다이스
모바일 디멘션즈 · 에어본 브리게이드 · ATB · 픽트로지카 · 레코드 키퍼 · 뫼비우스 · 그랜드마스터즈 · FFBE · FFBE 환영전쟁
오프라인 TCG · MTG
오리지널 영상 언리미티드 · 더 스피릿 위딘 · 빛의 아버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letter-spacing: -1px; font-size: 0.9em"<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bgcolor=#fff,#1c1d1f> 파일:Final-Fantasy-VII-Remake-Meteor-removebg-preview.png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프로젝트
FINAL FANTASY VII REMAKE PROJECT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Final Fantasy 7 Remake logo.png
파이널 판타지 Ⅶ 리메이크
파일:Final Fantasy 7 Rebirth logo.png
파이널 판타지 Ⅶ 리버스
파일:nhD5sNkcC7THqdPY4Xt5R-removebg-preview.png
파이널 판타지 Ⅶ 리메이크 파트 3 (가제)
분할 판매 관련 | 메인 동료 | 등장인물
리메이크 - 발매 전 정보 | 게임 관련 정보 | 원작과의 차이점
리버스 - 발매 전 정보
파트 3(가제) - 발매 전 정보
}}}}}}}}} ||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VII REBIRTH
FINAL FANTASY VII REBIRTH
파일:Final Fantasy 7 Rebirth logo.png
<colbgcolor=#222222><colcolor=#22A2A2> 개발 SQUARE ENIX
CREATIVE BUSINESS UNIT 1
유통 SQUARE ENIX
플랫폼 PlayStation 5[1] | Windows
ESD PSN |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장르 ARPG
출시 PS5
2024년 2월 29일
PC
2025년 1월 23일
엔진 언리얼 엔진 4
한국어 지원 자막 한국어화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
공식 사이트
[[일본|]][[틀:국기|]][[틀:국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미국|]][[틀:국기|]][[틀:국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스토어 링크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놉시스4. 등장인물
4.1. 파티 캐릭터4.2. 서브 캐릭터
5. 시스템
5.1. 월드
5.1.1. 월드 에어리어5.1.2. 월드 레포트5.1.3. 필드 컨텐츠5.1.4. 필드 이동수단5.1.5. 골드 소서의 이벤트와 미니게임
5.2. 배틀
5.2.1. 배틀의 기본5.2.2. 연계 액션 / 연계 어빌리티5.2.3. 소환수5.2.4. 배틀모드와 난이도
6. 평가
6.1. 호평6.2. 혹평6.3. 호불호
7. 흥행8. 사건 사고
8.1. 패키지 디스크의 인쇄 오류8.2. 패치 업데이트 이후 버그
9. PC 버전
9.1. 시스템 요구 사항
10. 기타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프로젝트 3부작 중 2번째 작품. 3부작 중 첫번째인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의 후속작에 해당한다.

키타세 요시노리가 2019년 E3 비공개 프레젠테이션에서 처음으로 존재를 밝혔으며 스토리는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의 미드가르 탈출 직후부터 원작 파이널 판타지 VII Disc 1의 마지막 부분이었던 잊혀진 도시까지를 다룬다.

2.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발매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트레일러 #===
발표 트레일러
Summer Game Fest 2023 트레일러
발매일 공지 트레일러
테마송 발표 기념 트레일러
테마송 발표 기념 트레일러(short ver.)
DESTINED FOR REBIRTH
파이널 트레일러
게임 플레이 소개 영상

3. 시놉시스

파일:FFVII 리버스 메인 비주얼(가로).jpg

별에서 태어나 별로 돌아가는 생명의 사이클── 《라이프 스트림》.
별을 순환하는 생명 에너지를 빨아들여 《마황》으로 소비하는 신라 컴퍼니.

전직 솔저인 클라우드와 동료들은 마황도시 미드가르에서의 장렬한 싸움을 마치고 방대한 세계로 발을 내딛는다.
초코보를 타 초원을 달리고, 미지의 길을 찾으며, 별을 둘러싼 여행이 시작된다.

한편 솔저 1st 잭스는 미드가르로 이어지는 황야를 걷고 있었다.
마황중독 상태인 친구 클라우드를 업고 상처투성이인 몸을 이끌어가며.
사선을 넘어선 너머에서 올려다본 하늘에 펼쳐진 꺼림칙한 균열.

우타이 임시 정부가 이끄는 새로운 세력 《반신라연락회》의 선전포고.
하늘에서 내려온 재앙 《제노바》의 유체를 옮기는 검은 망토를 두른 자들.
별의 위기를 느끼고 라이프 스트림 속에서 깨어난 수호자 《웨폰》.

숙적 세피로스에 의해 운명은 교차하며, 새로이 재탄한다.


파일:FFVII 리버스 메인 비주얼 어나더 타입(가로).jpg

4. 등장인물

4.1. 파티 캐릭터

파티 캐릭터
파일:클라우드(리버스).jpg 파일:에어리스(리버스).jpg 파일:바레트(리버스).jpg 파일:티파(리버스).jpg 파일:레드XIII(리버스).jpg
클라우드 에어리스 바레트 티파 레드 XIII
파일:유피(리버스).jpg 파일:캐트시(리버스).jpg 파일:빈센트(리버스).jpg 파일:시드(리버스).jpg 파일:Final Fantasy 7 Rebirth logo.png}}}
유피 캐트시 빈센트 시드

4.2. 서브 캐릭터

서브 캐릭터
파일:잭스(리버스).jpg 파일:세피로스(리버스).jpg 파일:루퍼스 신라(리버스).jpg 파일:청(리버스).jpg 파일:Final Fantasy 7 Rebirth logo.png}}}
잭스 세피로스 루퍼스 신라
파일:레노(리버스).jpg 파일:루드(리버스).jpg 파일:일리나(리버스).jpg 파일:로체(리버스).jpg 파일:호조(리버스).jpg
레노 루드 이리나 로체 호조
파일:채들리(리버스).jpg 파일:브로드(리버스).jpg 파일:치토프 선장(리버스).jpg 파일:조니(리버스).jpg 파일:시론 의사(리버스).jpg
채들리 브로드 티토프 선장 조니 시론 의사
파일:디오(리버스).jpg 파일:다인(리버스).jpg 파일:시스네(리버스).jpg 파일:부겐하겐(리버스).jpg 파일:잔간(리버스).jpg
디오 다인 시스네 부겐하겐 잔간
(몇몇 캐릭터는 일어명칭과 영어명칭이 다르다)

5. 시스템

5.1. 월드

파일:FF7R2 월드맵.png

심리스 오픈필드로 구현되어 있으며 완전한 오픈월드는 아니나 ps1 시절 이후 시리즈가 포기해 가던 고전 JRPG의 월드구성을 현대적 스케일로 재현하였다.[3]
구름에 가려진 지역이나 월드맵에서 안보이는 지역들은 파트3에서 등장할것으로 보이는데 월드맵 맨 왼쪽은 우타이 지역인데 니블헤임 바닷가에서 서쪽으로 바라보면 희미하게 무언가의 대륙이 보이기도 한다. 월드맵 남쪽부분 섬 지역들도 등장할것으로 보이고 무엇보다 구름에 가려진 로켓타운 지역과 좀더 북쪽인 아이시클 지역, 대공동은 파트3에서 등장할것으로 보인다.

5.1.1. 월드 에어리어

5.1.2. 월드 레포트

이 세계에 대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채들리의 조사 의뢰에 협력하여 각 에어리어의 정보를 모으자. 정보를 모으는 것으로 새로운 탐구거점이 해방되어 가며, 모험의 목적지가 크게 넓어져간다.

5.1.3. 필드 컨텐츠

여행이 펼쳐지는 곳에는 수많은 퀘스트와 컨텐츠가 기다리고 있다. 모험 도중에 샛길로 빠져 일행을 기다리는 적에게 대항할 수 있는 아이템이나 여행길에 흥취를 더하는 즐거운 요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5.1.4. 필드 이동수단

본작에서는 여행지의 지형에 따라 다양한 이동수단이 준비되어있다. 자유로운 이동방법으로 세계의 구석구석까지 탐색하자.

5.1.5. 골드 소서의 이벤트와 미니게임

5.2. 배틀

5.2.1. 배틀의 기본

5.2.2. 연계 액션 / 연계 어빌리티

5.2.3. 소환수

5.2.4. 배틀모드와 난이도

6.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파일:메타크리틱 MP.svg
PlayStation 5
메타크리틱 MUST-PLAY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4-10-05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final-fantasy-vii-rebirth/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final-fantasy-vii-rebirth/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4-12-12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 평론가 평점
93 / 100
평론가 추천도
99%
유저 평점
90 / 100


원작에서도 본격적으로 다양한 컨텐츠와 스토리가 진행되는 시점을 다루는 작품인만큼 기대와 더불어 우려 또한 많았으나, 93점이라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로서는 상당히 오랜만에 받는 90점 이상의 점수를 받으면서 XII 이후 18년만에 90점을 이상을 기록한 넘버링 타이틀이 되었고[4][5], 게임성, BGM, 컨텐츠 등 모든 것을 통틀어 역대 최고의 파이널 판타지 중 하나라는 호평을 받게 되었다.

6.1. 호평



결과적으로는 음악상만 수상받았으나 2024년의 강력한 GOTY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었다. 또한 평소에 스퀘어 에닉스에 대한 비판을 꾸준히 해온 일본 대형 유튜버 및 사이트(나카이도(ナカイド), 캬베츠노히토(キャベツの人), IGN japan 등) 사이에서도 호평이 쏟아진 것이 굉장히 인상적인 부분이다.

6.2. 혹평

6.3. 호불호

7. 흥행

매우 높은 평가와 관심도와는 다르게 패키지 판매량은 전작에 비해 일본 판매량은 63%나 감소하고 영국 판매량도 30% 감소하는 등 판매량은 생각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다만 영국같은 경우 어디까지나 리메이크보다 34% 감소한 것이며 바로 전작인 파이널 판타지 16보다는 오히려 6% 더 증가했다고 한다.#

일본 기준 초동 판매량은 26만 장으로 전작 리메이크 70만 장에서 63% 감소, 파이널 판타지 16의 33만 장에서 21% 감소했다. 일본에서는 답지 않게 직설적으로 폭사했다고 표현하고 있다.[11]

2월 PS 스토어의 다운로드 랭킹에선 일본 1위, 북미, 유럽에서는 2위를 차지하며 헬 다이버즈 2 바로 뒤에 안착했다.

2024년 3월 28일 일본 내 패키지 판매량 30만장을 돌파했다.

결국 발매 2달 만에 스퀘어 에닉스는 본작은 기대 이하의 성적을 냈다고 밝혔으며#[12], 수익 감소 때문에 독점 발매를 그만 두고 출시 플랫폼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8. 사건 사고

8.1. 패키지 디스크의 인쇄 오류

아시아 패키지판은 Play Disc, Data Disc 두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두장의 인쇄가 서로 바뀐 채 불량품으로 출시되었다. 소니 보도자료 관련 게시물

소니의 잘못이라 본래 유통사 측에서 자체적인 환불, 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워낙에 찍은 양이 많고 구동에 문제가 없어서인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가 8개월만에 교환 접수를 받기 시작했다. 11월 29일까지 양식을 작성하고 게임 패키지와 인적사항이 적힌 메모지를 지정 택배사를 통해 착불로 보내면 된다.

8.2. 패치 업데이트 이후 버그

3월 22일 업데이트 패치를 통해 퍼포먼스 모드 그래픽을 조금 향상시켰지만 이번 패치로 인하여 12챕터 놀이꾼의 도전장 서브퀘스트 중 G바이크 32000점 이상 기록하면 이벤트 진행이 되어야 하는데 버그로 인하여 32000점 이상 기록해도 진행이 불가한 오류가 나왔다. 관련 영상

4월 3일 기준 다운로드 버전은 현재 해결 방법이 없지만 패키지 버전은 진행한 부분까지 저장한 다음 삭제 후 플레이스테이션 설정에서 인터넷 접속 해제를 하고 설치 CD를 다시 삽입하여 설치를 진행하면 해결이 가능하다.

4월 11일 1.03 업데이트, 11월 4일 1.0.5 업데이트를 통해 몇몇 버그를 수정하고 안정성을 개선했다.

9. PC 버전

PC 버전 발표 트레일러

9.1. 시스템 요구 사항

<colcolor=#22A2A2> 시스템 요구 사항
<colbgcolor=#222222><rowcolor=#22A2A2>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울트라 사양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Windows 11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3-8100
AMD Ryzen 5 1400
Intel Core i7-8700
or i5-10400

AMD Ryzen 5 5600
or Ryzen 7 3700X
Intel Core i7-10700K
AMD Ryzen 7 5700X
메모리 16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RTX 2060
AMD Radeon RX 6600
Intel ARC A580
NVIDIA GeForce RTX 2070
AMD Radeon RX 6700 XT
NVIDIA GeForce RTX 4080
AMD Radeon RX 7900 XTX
API DirectX 12 Ultimate
그래픽 설정 30 FPS / 1080P
그래픽 설정 "하"
60 FPS / 1080P
그래픽 설정 "중"
60 FPS / 2160P
그래픽 설정 "상"
저장 공간 155 GB SSD
추가 사항 Shader Model 6.6, 그 이후 버전을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
DirectX 12 Ultimate를 지원하는 OS
4K 모니터 사용 시
12GB 이상의 VRAM 필요
4K 모니터 사용 시
16GB 이상의 VRAM 필요

우선 발매 시점에서의 최적화는 상당히 잘 되어 있다. 파판 16과 다르게 스팀덱에서의 정상 작동을 보장할 정도로 사양이 그렇게 높지 않으며, PS5 버전 대비 고해상도의 텍스처 및 향상된 광원 사용 등 그래픽적인 향상점이 많다. 다만 파판 16과 정 반대로 업스케일링 기술을 DLSS만 지원한다는 것이 지적되었는데, 그마저도 AA 옵션을 사용하기 위한 부분적인 옵션이라 최소/최대 해상도를 따로 설정해야한다. 그나마 라데온은 드라이버 내 자체 업스케일링과 프레임 보간 기술인 RSR과 AFMF2을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만 RSR은 게임 내 해상도를 아예 낮춰서 업스케일링을 하기 때문에 글자가 흐릿하게 보이는 약점이 있는 편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모드를 통해서 FSR3.1과 XeSS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이렉트 스토리지도 구버전을 사용해서 최적화 부분에서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버그로 블랙스크린도 나오는 문제도 있다. 따로 최신 버전을 모드로 올렸으니 받아서 설치하면 된다.

사실 이보다는 셰이더 6.6 모델 이상을 지원하지 않는 그래픽 카드, 즉 NVIDIA RTX 20 시리즈와 AMD RX 6000번대 미만의 GPU는 아예 실행조차 안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13] 물론 현재 몇몇 최신 AAA 게임에서 이러한 기조가 계속해서 늘고 있기 때문에 비단 리버스만의 문제는 아니다.

발매 초, 진행중에 간헐적으로 맵에 무한 로딩이 걸려 필드가 투명벽에 막히며 메뉴창에 진입하면 검은 화면이 뜨는 버그가 있다. 현재는 안정화 시키는 모드를 사용해야한다.#

듀얼센스와 엣지 둘다 지원하며 듀얼센스등이 두개 연결된 PC라면 안쓰는 패드의 소리설정에서 소리를 꺼야 한다. 안그러면
진동와 음성이 두패드 왔다갔다한다.

10. 기타

11. 둘러보기

파일:COFF7 LOGO.png
컴필레이션 오브 파이널 판타지 Ⅶ
파이널 판타지 VII
----
REMAKE PROJECT
SNOWBOARDING
THE FIRST SOLDIER



[1] PS5 기간 독점, 적응형 트리거 및 햅틱 피드백 지원[2] 여러모로 데빌 메이 크라이의 리부트판 단테와 닮은 모습이다.[3] 일견 떨어져있는 것처럼 보여도 고장난 타이니 브롱코를 조종하게 되는 종반엔 원작처럼 연결된 하나의 월드맵이란걸 알 수 있다. 작중 제한적으로 멀쩡한 비행기를 몰 수 있는 장면이 짧게 있는데 원작처럼 파트3에선 비공정 시스템을 시도하려는 추측이 강하다. 제작진 인터뷰에서 노무라가 비공정때문에 파트3에서 어떻게 할지 고민중이라고도 하기도 했고 아마 좀더 보완돼서 구현될 것으로 보인다.[4] 온라인 게임인 XIV에서 90점을 넘긴 확장팩이 나오기는 했지만, 본편이 90점 이상을 기록한 건 XII 이후로 최초이다.[5] 또한 본작품의 원작인 VII의 메타크리틱 점수를 넘어선 점수이다.[6] 이전작들과는 비교조차 안될 정도로 환골탈태한 요소 중 하나로써 미니게임과 오픈필드 탐색 요소를 곁들인 미션이 상당히 많으며 단순한 몬스터 사냥, 부품 수집인 줄 알았던 퀘스트도 VII 리메이크의 NPC와 이어지거나, FF7 세계관을 짧게 표현하거나, 해당 NPC의 스토리를 보여주거나, 아무 의미도 없는 사이드 퀘스트가 없다.[7] 미니게임을 합해서 시간 단위로 넘어가려면 사이드로 빠지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8] 실제 현실은 단 하나고 진행을 혼란스럽게하던 평행세계는 실제 평행세계가 아니라 라이프 스트림이 구현한 투영이며 그 존재도 세피로스가 세퍼 세피로스로 각성하기 위한 에너지 환원시켜 소비해 잭스와 빅스가 생존해있던 현실도 처음부터 여러 모순된 사실들이 난립해 위화감을 조성하다 잭스를 제외하면 존재가 전부 말소당했다.[9] 작품 외적으로 이런 역사를 에너지화해 성장하는 보스, 별의 위기에 사망하거나 다른 가능성의 인물 소환같은 추가 요소가 기존의 파판보다는 마치 페이트 그랜드 오더같다는 평이 있다.[10] 예를 들어 리메이크 마지막에 생존한 빅스를 보여주며 떡밥이 있을거 처럼 연출했지만 실은 잭스를 혼란시키는 요소로 잠시 얼굴을 비추기 위한 것일 뿐이었다. 본작의 빅스도 파판7의 기본 설정대로 다른 동료들과 함께 라이프스트림 속에 잠든 것을 서브퀘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11] 당장 위의 평가에서 호평을 했던 나카이도도 추가 영상에서 썸네일에 폭사라고 써놨을 정도.[12] 정확히는 본작과 파판 16, FOAMSTARS 전부 성적이 기대 이하였다고 밝혔다.[13] 구체적인 예시로 NVIDIA 그래픽 카드 기준 RTX 20 시리즈의 한단계 아래급인 GTX 1650, GTX 1660 이하급의 그래픽 카드로 게임 플레이를 시도하면 “DirectX 12가 컴퓨터에서 실행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다만 예시로 든 GTX 16 시리즈는 20 시리즈 기반이기 때문에 편법을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가능하다.참고 그 이하의 GPU는 하드웨어 상의 문제라 편법 조차 사용할 수 없다.[14] 모기업인 스퀘어 에닉스에서 소니와의 파트너쉽을 강화함에 따라 최근 출시되거나 출시될 예정인 파이널 판타지 게임들은 플레이스테이션독점이거나 기간독점으로 출시되고 있다.[15] 그나마 전작이 그랬듯 기간 독점이 끝나면 PC로는 출시될 가능성이 있었으며, 2025년 1월 23일에 출시가 확정되었다.[16] 리버스에서는 옷장을 열려고 하는 시점에 티파가 그게 진짜냐며 놀라고 여기에서 농담이라고 얼버무리면 바렛트가 '세상이 변했다고...'라며 메타발언을 한다.[17] 더구나 본작에서는 유희왕의 상징 중 하나인 카이바 세토 역의 츠다 켄지로 또한 다인 역으로 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