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2 02:22:48

BYD K9

BYD e버스-12에서 넘어옴
1. 개요2. 상세
2.1. K9 (2010~현재)
2.1.1. 파워트레인
2.2. 국내 운용 (eBus-12)
3. 여담4. 둘러보기


BYD K9 / eBUS-12

1. 개요

중국 BYD에서 생산한 순수 전기버스다.

2. 상세

2.1. K9 (2010~현재)

파일:BYD K9A.png파일:BYD K9B.png
BYD K9A 버스 BYD K9B 버스
2010년 9월 30일 중국 창사 지역 공장에서 생산됐으며, BYD가 개발한 리튬 인산철 배터리[1]를 사용한다. 리튬이온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아 부피가 크고 무거운 것이 단점이지만, 폭발이나 화재위험이 거의 없어 중국 배터리 제조사들이 주력으로 밀고 있다. 1회 충전 시 250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BYD에서 BYD F3DM, BYD F6DM, BYD e6 이후 생산된 전기차이다.

길이는 약 12m며, 중량은 18t이라고 한다. 가격은 옵션에 따라 200만 위안[2]에서 300만 위안[3] 사이라고 한다.

중국 이외에도 홍콩, 미국, 독일, 영국, 네덜란드, 폴란드, 칠레, 콜롬비아, 태국, 일본, 대만, 대한민국 등에서 시험 주행했으며 생산은 중국 창사, 다롄, 난징, 톈진에서, 대만 먀오리에서, 미국 랭커스터 지역에서 담당하고 있다.

BYD에서 공개한 공식 성능을 보면, 최고 속도는 96 km/h이며, 충전 시간은 정상충전 시 6시간, 급속충전 시 3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밤새 충전할 경우 100kW 배터리 중 60kW를 충전할 수 있으며, 총 5시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최대 주행거리는 155~186마일(약 249~299km)이고, 좌석 수는 31석(운전석 1석 포함)이다.

K9 외에도 K9A, K9B 등의 변형 차량이 있다. 도어가 2개인 버스는 중국 선전시, 창사, 시안시, 청더, 샤오관, 홍콩 등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대만에서는 신주시, 타이중시, 먀오리, 윈린, 자이, 가오슝시, 타이난시 등에서, 일본에서는 교토시, 나하시, 고후시, 모리오카시, 치바시에서, 한국에서는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수원시, 고양시, 성남시, 용인시, 화성시, 양산시, 창원시, 인천광역시 등에서, 인도네시아에서는 자카르타에서 운행 중이다. 3도어 차량은 중국 선전시와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운행 중이라고 한다.

2020년 7월 싱가포르에서 5대의 BYD K9이 데뷔했다. 현재 11월 4일 기준으로 총 15대가 있으며 10대는 연말에 운행 예정이라고 한다.

싱가포르, 영국, 일본, 홍콩, 인도네시아 등 좌측통행 국가에 수출하기 위한 우핸들 모델도 있다.

안전 장비는 ABS+ASR,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휠체어 보호 장치 등이 구비됐다.

2023년에 후속 모델인 B12가 출시되었으나 K9도 병행판매중이다.

2.1.1. 파워트레인

위에서 언급한 BYD 자사의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최대 출력은 90kWx2, 최대 토크는 550Nmx2라고 한다. 차량 일부에는 태양 전지도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2.2. 국내 운용 (eBus-1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YD eBus(K시리즈)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에서는 K9이라는 이름 대신 eBus-12로 이름이 바뀌어서 썬코어, 이지웰페어를 거쳐 현재는 GS글로벌에서 수입한다. 한국에 들어올 때 이름이 바뀐 건 이름이 겹치는 승용차 때문이다.

K9의 후속 모델 B12가 공개됐지만 아직까지 eBus-12는 K9 기반으로 판매중이다. 중형급인 eBus9이 이미 B10 기반으로 풀체인지 된 것과 대조적이다. 그러나 B12 기반 eBus11이 2024년 4월 말에 환경부 소음/배출가스 인증을 취득하면서 풀체인지를 거쳤으며, 8월 경에 세종시에 처음으로 후속 차량이 인도되었다.

3. 여담

뉴욕 MTA에서는 K9 차량을 2개월 간 시험 주행을 해 보고 2014년 1월 29일에 이 차량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했는데, 차량의 평가는 우수한 편이었다고 한다.

일본 시장에 정식으로 수출된 첫 중국산 버스이지만 수출된 차내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되는 등의 홍역을 치른 바 있다. 한국에서 이 이슈를 알고있는 버스 동호인들은 그 영향으로 인해 BYD 차량에 "발암디"라는 멸칭을 붙이기도 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2D2F34><tablealign=center>
파일:비야디 자동차 BI.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경차 Seagull F0 · 플라이어
소형차 돌핀 · e2 F3 · e5 · F3DM · e3
준중형차 · 디스트로이어 05 L3 · G3
중형차 씰/Atto 4 F5 슈리 · G5 · G6 · F6 · F6DM
준대형차 · 씰 DM-i -
스포츠카 - S8
소형 SUV 위안/Atto 3 -
준중형 SUV 송/Seal U S6 · S7
중형 SUV · 송 L · Frigate 07 -
중형 픽업트럭 샤크
MPV 송 맥스 · D1 M6 · e6
LCV T3 · -
버스 K6 · K7 · K8 · K9(eBus-12) · K10 · K11 · C6(eBus-7) · B10(eBus9) · B12(eBus11) · C8 · C9 · C10 · J6 -
트럭 T4K · T5 · T7 · T8 · T9 · Q1M -
}}}}}}}}} ||


[1] 화학식으로는 LiFePO4라고 한다.[2] 원화가치 약 3억 6천만원[3] 원화가치 약 5억 5천만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