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22 23:59:31

AHS 크릴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 '''[[폴란드군|
폴란드 공화국군 (1990~현재)
Siły Zbrojne Rzeczypospolitej Polskiej
]]'''
기타전차 <colbgcolor=#FFF> '''[[경전차|
경전차
]]'''
PL-01 | WPB 안데르스 | PT-76B
'''[[주력 전차|
MBT
]]'''
'''[[1세대 전차|
1세대
]]'''
T-55AM 메리다 | T-55(A/L/AD-1/AD-2) | T-54(A/AD/AM)
'''[[2세대 전차|
2세대
]]'''
T-72(M/M1/M1D)
'''[[3세대 전차|
3세대
]]'''
PT-91(MA/MA1) 트바르데 | 레오파르트 2(A4/A5) | M1A1 FEP 에이브람스
3.5세대 {K-2PL} | K-2GF | M1A2 SEP v3 에이브람스 | 레오파르트 2PL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KTO 로소막 | AMZ 보버-3 | 바란 | 헤론 | M-ATV | 쿠거 H | BRDM-2 | SKOT-(1A/2A/2AP) | BTR-40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CBWP 사업} | BWP 보르숙 | LPG | BWP-2000 | BWP-1(D) | BWP-2(D) | TOPAS | MT-LB
차량 '''
초소형
'''
ATV
폴라리스 스포츠맨 | 혼다 TRX-300 | 봄바디어 아웃랜더 | 아크틱 캣 400
소형
IMV
K-153 레그완 | LPU 비루스 4 | PWA 아에로 | 투막 | 샌드캣 | 벤츠 G클래스 | 혼커 | 랜드로버 디펜더 | WD-43
민수형
포드 레인저 XTL · 트랜짓 | VW 크래프터 · 트랜스포터 | MAN TGE | 피아트 두카토
트럭
군용
스타 266 · 660 · 944 · 1466 | 옐츠 442 · 642 · 662 · 842 · 862 · 882 | FMTV | 벤츠 유니목 · 제트로스 | 타트라 T-815 | ZiL-131 · 157 | GAZ-66
상용
스타 200 · 244 | 벤츠 1017A · 악트로스 |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유로카고 · 유로트래커 | 볼보 FM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K-9PL} | K-9A1 | AHS 크라프 | 2S1(M/T) 고즈지크 | wz. 1977 다나-T | 2S7 피보니아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M120 라크 | TOPAS-2AP
다연장로켓 호마르-K | 호마르-A | WR-40 랑구스타 | RM-70/85 | BM-24 | BM-21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ZSU-23-4MP 비아와 | LSPZRA 소펠 | PZA 루아르-A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참고: 틀:현대전/폴란드 유도무기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 M88A2 허큘리스 | WZT-3M | WZT-2
공병차량 MID 비존-S | 보제나-5 무인 지뢰제거차
교량차량 M1110 JAB | MS-20 다글라지아
기타 PTS-M 수륙양용 운반차
갈색 글자: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개발 취소 차량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파일:Kryl-poligon.jpg
AHS Kryl

1. 개요2. 제원3. 기타

1. 개요

폴란드군이 2011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2016년에 배치를 시작하고 있는 155mm 차륜형 자주곡사포. 기존의 소련제 2S7 곡사포, 2S7 자주포와 같은 소련제 포병화기들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형태로 보인다. 현재 폴란드군은 폴란드형 K-9 자주곡사포AHS 크라프와 함께 배치를 서두르고 있는 물건으로 폴란드군이 기존의 동유럽권 포병에서 거의 완전한 서방권 포병체계로 탈바꿈하려고 하고 있는 형태의 하드웨어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013년 폴란드는 자체개발을 포기하고 프랑스의 넥서스 사와 이스라엘의 엘빗사와 공동개발 입찰을 통하여 이스라엘의 엘빗사를 선정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빨리 개발을 할 수 있었다. 덕분에 현재 이 시스템은 WR-300 호마르라는 추가적인 계열화 사업이 진행되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2. 제원

제원
전장 10.3m
전폭 2.55m
전고 3.44m
중량 23t
주무장 L52 155mm 곡사포 x1
엔진 MTU 6R106TD21 디젤엔진 326hp
최대속력 85km/h
최대이동거리 500km
유효사정거리 40km
운용인력 5명
이동플랫폼 Jelcz 663.32 6x6
출처 출처1

3. 기타

차륜형 곡사포라는 특징상 장전속도는 상대적으로 조금 느리지만 기존의 곡사포에 비하여 방열이나 전개등의 성능은 당연히 높아졌다. 게다가 NBC 대응도 갖춘 것으로 생존성이 향상되었다.[1] 그러나 전망이 밝다고만 생각하기 어려운 것이 현재 폴란드군의 자주포 사업과 더불어서 인력문제 및 국방비 문제를 감안하여 대규모 배치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자주포에 대비하여 값이 싸다고만 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보니 현재 자주포 세력의 보조전력의 화력지원으로서 운용될 가능성이 높은 화포체계로 추정된다.


[1] 한국군의 K105HT 차륜형자주포에는 이 기능이 있는지 여부가 불명이라 유사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한계가 뚜렷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