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17:21:54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D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fff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9px 10px;
'''[[아시아 축구 연맹|{{{#fff 아시아[br](AFC)}}}]]'''
<colbgcolor=#fff> 지역예선 <colbgcolor=#ffffff,#191919>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3차예선 (A조 · B조 · C조 · 평가)
PO GS (A조 · B조)
PO KS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7px 10px;
'''[[아프리카 축구 연맹|{{{#fff 아프리카[br](CAF)}}}]]'''
지역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PO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7px 10px;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fff 북중미카리브[br](CONCACAF)}}}]]'''
지역예선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최종예선 (A조 · B조 · C조)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남미 축구 연맹|{{{#fff 남미[br](CONMEBOL)}}}]]'''
지역예선 2023년 · 2024년 · 2025년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fff 오세아니아[br](OFC)}}}]]'''
지역예선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최종예선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6px 10px;
'''[[유럽 축구 연맹|{{{#fff 유럽[br](UEFA)}}}]]'''
지역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PO
조 추첨 }}}}}}}}}}}}


1. 개요2. 전력 분석3. 경기 기록
3.1. 1차전
3.1.1. 1경기 카보베르데 0 : 0 앙골라3.1.2. 2경기 카메룬 3 : 0 모리셔스3.1.3. 3경기 에스와티니 0 : 1 리비아
3.2. 2차전
3.2.1. 1경기 모리셔스 0 : 0 앙골라3.2.2. 2경기 리비아 1 : 1 카메룬3.2.3. 3경기 에스와티니 0 : 2 카보베르데
3.3. 3차전
3.3.1. 1경기 리비아 2 : 1 모리셔스3.3.2. 2경기 앙골라 1 : 0 에스와티니3.3.3. 3경기 카메룬 4 : 1 카보베르데
3.4. 4차전
3.4.1. 1경기 카보베르데 1 : 0 리비아3.4.2. 2경기 앙골라 1 : 1 카메룬3.4.3. 3경기 모리셔스 2 : 1 에스와티니
3.5. 5차전
3.5.1. 1경기 카보베르데 1 : 0 모리셔스3.5.2. 2경기 리비아 1 : 1 앙골라3.5.3. 3경기 에스와티니 0 : 0 카메룬
3.6. 반환점3.7. 6차전
3.7.1. 1경기 앙골라 1 : 2 카보베르데3.7.2. 2경기 카메룬 3 : 1 리비아3.7.3. 3경기 에스와티니 3 : 3 모리셔스
3.8. 7차전
3.8.1. 1경기 앙골라 0 : 1 리비아3.8.2. 2경기 모리셔스 0 : 2 카보베르데3.8.3. 3경기 카메룬 3 : 0 에스와티니
3.9. 8차전
3.9.1. 1경기 카보베르데 1 : 0 카메룬3.9.2. 2경기 앙골라 3 : 1 모리셔스3.9.3. 3경기 리비아 2 : 0 에스와티니
3.10. 9차전
3.10.1. 1경기 모리셔스 vs 카메룬3.10.2. 2경기 리비아 vs 카보베르데3.10.3. 3경기 에스와티니 vs 앙골라
3.11. 10차전
3.11.1. 1경기 카보베르데 vs 에스와티니3.11.2. 2경기 모리셔스 vs 리비아3.11.3. 3경기 카메룬 vs 앙골라
4. 총평

1. 개요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8 6 1 1 10 5 +5 19
2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8 4 3 1 15 5 +10 15
3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8 4 2 2 9 7 +2 14
4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8 2 4 2 7 6 +1 10 직행 실패
5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8 1 2 5 7 15 -8 5 예선 탈락
6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8 0 2 6 4 14 -10 2 예선 탈락
<rowcolor=#000,#fff> 본선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2026 FIFA 월드컵의 아프리카 지역예선 D조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전력 분석

A조와 마찬가지로 2강(카메룬·카보베르데)-1중(앙골라)-3약(리비아·에스와타니·모리셔스)의 편성이다.[1]

카메룬은 카보베르데의 도전을 확실히 이겨내야 본선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룬이 뱅상 아부바카, 칼 토코 에캄비 등의 활약으로 극적으로 월드컵에 진출한 후 최종전에서 브라질을 1:0으로 꺾는 등[2] 지난 월드컵 이후로 상승세를 타고 있었으나, 2023년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나미비아에 1무 1패라는 성적을 거두며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이 불투명해진 상태이다. 그래도 멕시코에 2:2 무승부를 거두는 등 월드컵의 전력은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카메룬이 2연속 본선 진출을 노리는 가운데,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포르투갈의 마이너 버전인 카보베르데와 앙골라가 아성에 도전하는 형태이다. 카보베르데는 최근 국제 대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기에 상승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20년만의 본선 재진출에 도전하는 앙골라는 엘데르 코스타, 루카스 주앙 같이 포르투갈 출신 선수들을 확실히 대표팀에 붙들 수 있다면 더 높은 곳을 바라보는 것도 꿈은 아닐 것이다. 이래저래 양 팀의 팀 컬러가 겹치는데, 두 팀 간의 결과를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리비아는 자국 리그는 나름 수준이 높은 편이지만 카다피 시절의 트라우마로 해외파가 부재하다는 것 때문에 앙골라와 카보베르데의 벽을 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에스와타니는 지난 월드컵 예선에서 나쁘지 않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그 나쁘지 않은 성적이 1차예선 석패이기에 의미있다고 보기 어렵다.

모리셔스는 지난 대회에서 예선부터 부진했기에 가장 약체가 될 것이며 모리셔스에게 지거나 비기는 나라는 앞으로 예선에 적신호가 켜질 전망이다.

==# 각 팀간 전적 #==



3. 경기 기록

3.1. 1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3. 11. 17.(금) 04:00 카보베르데 0 : 0 앙골라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드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2023. 11. 17.(금) 22:00 에스와티니 0 : 1 리비아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봄벨라)
2023. 11. 18.(토) 04:00 카메룬 3 : 0 모리셔스 자포마 스타디움
(카메룬, 두알라)

3.1.1. 1경기 카보베르데 0 : 0 앙골라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드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주심: 유세프 가무 (알제리)
관중: -명
파일:Cape_Verde_FA_(2020).png 0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공방전 끝에 양팀 모두 득점을 기록하지 못하며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3.1.2. 2경기 카메룬 3 : 0 모리셔스

자포마 스타디움 (카메룬, 두알라)
주심: 아흐마드 아라지가 (탄자니아)
관중: 25,000명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rowcolor=#373a3c,#dddddd> 45+2' 브리앙 음뵈모
87' 조르주-케빈 은쿠두
90+2' 프랑크 마그리 (A. 다를랭 용과)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3.1.3. 3경기 에스와티니 0 : 1 리비아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봄벨라)
주심: 오마르 압둘카디르 아르탄 (소말리아)
관중: 200명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0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53' 아메드 에크라와 (A. 재파르 아드리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에스와티니는 전반전은 무실점으로 마쳤지만 후반 8분 아메드 에크라와의 선제골이 터지며 리비아가 앞서나갔다. 이후 득점은 나오지 않았고 리비아가 신승을 거두었다.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3.2. 2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3. 11. 21.(화) 23:15 에스와티니 0 : 2 카보베르데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봄벨라)
2023. 11. 22.(수) 01:00 모리셔스 0 : 0 앙골라 코트도르 내셔널 스포츠 컴플렉스
(모리셔스, 생피에르)
리비아 1 : 1 카메룬 베니나 순교자 스타디움
(리비아, 벵가지)

3.2.1. 1경기 모리셔스 0 : 0 앙골라

코트도르 내셔널 스포츠 컴플렉스 (모리셔스, 생피에르)
주심: 고드프리 은카낭가 (말라위)
관중: 3,700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0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앙골라가 졸전을 선보이며 조 최약체 모리셔스에게 비기는 이변이 발생했다. 한편 모리셔스는 귀중한 승점을 얻으면서 에스와티니를 제치고 조 5위에 올랐다.
여담으로 앙골라 대표팀은 이 두 경기로 인해 강제로 아프리카 횡단(...)을 하게 되었다.

3.2.2. 2경기 리비아 1 : 1 카메룬

베니나 순교자 스타디움 (리비아, 벵가지)
주심: 아디사 압둘 라피우 리갈리 (베냉)
관중: 13,450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1 : 1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rowcolor=#373a3c,#dddddd> 43' 압둘무넴 알레이얀 (A. 아흐메드 에크라와) 파일:득점 아이콘.svg 34' (PK) 올리비에 은참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리비아가 탑시드 카메룬과 비기는 소소한 이변이 터졌다.

3.2.3. 3경기 에스와티니 0 : 2 카보베르데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봄벨라)
주심: 파둘 사브리 무함마드 (수단)
관중: -명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0 : 2 파일:Cape_Verde_FA_(2020).pn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17' 히앙 멘드스 (A. 개리 호드리게스)
38' 자미로 몬테이로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악천후로 인해 해당 경기가 1시간 15분 가량 지연되었다.

전반전 카보베르데가 두골을 넣으며 앞서나갔다. 후반전은 에스와티니가 주도하며 무서운 공격력을 보여줬으나 아쉬운 결정력으로 득점을 기록하지 못하며 카보베르데의 승리로 끝났다.

3.3. 3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4. 06. 07.(금) 01:00 리비아 2 : 1 모리셔스 베니나 순교자 스타디움
(리비아, 벵가지)
2024. 06. 08.(토) 01:00 앙골라 1 : 0 에스와티니 이스타디우 11 드 노벰브로
(앙골라, 루안다)
2024. 06. 08.(토) 22:00 카메룬 4 : 1 카보베르데 아마두 아히조 스타디움
(카메룬, 야운데)

3.3.1. 1경기 리비아 2 : 1 모리셔스

베니나 순교자 스타디움 (리비아, 벵가지)
주심: 브라이튼 치메네 (짐바브웨)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2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rowcolor=#373a3c,#dddddd> 20' (PK) 파이칼 알 바드리
40' 아메드 에크라와 (A. 파델 알리 살라마)
파일:득점 아이콘.svg 34' 케빈 브루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3.3.2. 2경기 앙골라 1 : 0 에스와티니

이스타디우 11 드 노벰브로 (앙골라, 루안다)
주심: 힐러리 함바바 (잠비아)
관중: 30,000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1 : 0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rowcolor=#373a3c,#dddddd> 2' 크리스토방 파시엔시아 마불룰로 (A. 젤송 달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전반 2분 크리스토방 마불룰로의 선제골로 앙골라가 앞서나갔다. 전반 6분 에스와티니의 슈팅은 골대를 살짝 벗어났고 전반 28분 중거리슛은 앙골라 골키퍼 네블루의 선방에 막혔다. 이후 후반전은 앙골라가 몰아붙였으나 아쉬운 결정력과 에스와티니의 수비에 막히며 득점을 기록하지는 못했다. 특히 후반 19분 젤손 달라의 멋진 오버헤드킥이 있었으나 사벨로 은지니사가 골대 바로 앞에서 머리로 걷어냈다. 이후 양팀 모두 득점 없이 1:0 앙골라의 승리로 경기가 종료됬다. 앙골라는 귀중한 승점 3점을 따냈고 에스와티니는 좋은 경기력을 보여줬으나 아쉽게 패배했다.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3.3.3. 3경기 카메룬 4 : 1 카보베르데

아마두 아히조 스타디움 (카메룬, 야운데)
주심: 무스타파 고르발 (알제리)
관중: -명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 : 1 파일:Cape_Verde_FA_(2020).png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rowcolor=#373a3c,#dddddd> 13' 미카엘 은가두은가쥐 (A. 니콜라 무미 은가말뢰)
25', 44' (PK) 뱅상 아부바카르 (A. 25' 니콜라 무미 은가말뢰)
54' 누후 톨로 (A. 미카엘 은가두은가쥐)
파일:득점 아이콘.svg 37' 자미루 몬테이루 (A. 베베)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네이션스컵 이후 이 경기가 I조의 말리-가나를 제치고 1포트와 2포트 사이의 피파랭킹 차이가 가장 작은 경기가 되었다.

카메룬은 연초에 열린 네이션스컵에서 16강에 그쳤지만 카보베르데는 무려 8강까지 갔으므로 팽팽한 경기가 예상되던 와중 경기 약 2주 전, 카메룬은 사무엘 에투 축구협회장이 마르크 브리스 감독을 말다툼 후 경질했다가 사과하는 해프닝까지 있었을 정도로 분위기가 뒤숭숭했기 때문에 카보베르데에겐 이보다 더 좋은 기회는 없을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팽팽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카메룬이 체급차를 보여주며 일방적으로 카보베르데를 압도하고 승점 3점을 챙겼다.

3.4. 4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4. 06. 11.(화) 22:00 모리셔스 2 : 1 에스와티니 코트도르 내셔널 스포츠 컴플렉스
(모리셔스, 생피에르)
2024. 06. 12.(수) 01:00 카보베르데 1 : 0 리비아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드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2024. 06. 12.(수) 04:00 앙골라 1 : 1 카메룬 이스타디우 11 드 노벰브로
(앙골라, 루안다)

3.4.1. 1경기 카보베르데 1 : 0 리비아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드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주심: 이브라힘 칼리두 트라오레 (코트디부아르)
관중: -명
파일:Cape_Verde_FA_(2020).png 1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rowcolor=#373a3c,#dddddd> 10' 디네이 (A. 케빙 레니니)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3.4.2. 2경기 앙골라 1 : 1 카메룬

이스타디우 11 드 노벰브로 (앙골라, 루안다)
주심: 모하메드 아델 엘사이드 (이집트)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1 : 1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rowcolor=#373a3c,#dddddd> 54' (OG) 미카엘 은가두은가쥐 파일:득점 아이콘.svg 11' 브라이언 음뵈모 (A. 크리스티앙 바소고)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아직 예선 초반이라 이른 예측이라 할 수 있겠으나, 두 팀의 전력을 생각했을때 이 경기는 조 1위 결정전이 될 수도 있다.
두팀다 한골을 주고받으며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3.4.3. 3경기 모리셔스 2 : 1 에스와티니

코트도르 내셔널 스포츠 컴플렉스 (모리셔스, 생피에르)
주심: 모하메드 아투마니 (코모로)
관중: 4,000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2 : 1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rowcolor=#373a3c,#dddddd> 17' 마이크 가스파르
43' 린제이 로즈 (A. 케빈 브루)
파일:득점 아이콘.svg 67' 주니어 마가굴라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전반전 모리셔스가 2골을 넣으며 2:0으로 앞서나갔다. 이후 후반전 에스와티니가 멋진 프리킥으로 만회골을 기록하며 추격했고 후반 막판 매서운 공세를 펼쳤으나 골키퍼의 선방에 막히며 동점을 만들지는 못했다. 이후 경기가 종료되며 모리셔스가 2:1 승리를 거두었다. 모리셔스는 예선 첫 승리를 따냈고 에스와티니도 좋은 경기력을 보였으나 아쉽게 1점차로 패배했다.

3.5. 5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5. 03. 20.(목) 01:00 에스와티니 0 : 0 카메룬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넬스프루트)
2025. 03. 21.(금) 01:00 카보베르데 1 : 0 모리셔스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드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2025. 03. 21.(금) 04:00 리비아 1 : 1 앙골라 베니나 순교자 경기장
(리비아, 벵가지)

3.5.1. 1경기 카보베르데 1 : 0 모리셔스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드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Cape_Verde_FA_(2020).png 1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rowcolor=#373a3c,#dddddd> 84' 야니크 세메두 (A. 히앙 멘드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카보베르데는 최근 네이션스컵 예선 탈락으로 주춤해진 팀 분위기를 약체 모리셔스를 잡아서 추스릴 필요가 있다. 또한 리비아, 앙골라 간 치열한 순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할 것이다.

카보베르데가 승리하면서 전반부 종료 시점 조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3.5.2. 2경기 리비아 1 : 1 앙골라

베니나 순교자 경기장 (리비아, 벵가지)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1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rowcolor=#373a3c,#dddddd> 74' 무아이드 엘라피 A. 무함마드 살리흐 알리 파일:득점 아이콘.svg 90+3' 프레디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선전하고 있는 리비아랑 중흥기를 맞이한 앙골라가 맞붙게 되었다. 만약 앙골라가 이긴다면 리비아를 역전할 수 있다.

양 팀이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1위부터 4위까지 팽팽한 간격이 유지되었다.

3.5.3. 3경기 에스와티니 0 : 0 카메룬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넬스프루트)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0 : 0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조금이라도 삐끗하는 순간 순위경쟁에서 크게 밀릴 수 있는 시점에서 카메룬은 다행히 전반기 최종전으로 D조 최약체인 에스와티니를 만나게 되었는데..

카메룬이 경악스러운 경기력으로 자국 축구사에 남을 수준의 졸전을 펼치며 0-0 무승부를 거두고 말았다. 이로써 카메룬은 순식간에 1위에서 예선 탈락권으로 내려앉게 되었다.

카메룬의 다음 상대는 리비아인데, 카메룬은 리비아 원정에서 무승부를 거두었고, 리비아의 경기력이 4포트 치고는 좋은 수준이기에 홈에서 리비아를 맞이함에도 안심할 수 없게 되었다. 에스와티니는 최근 들어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더니 D조 최대 강호 카메룬과 비기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3.6. 반환점

아프리카 지역이 얼마나 치열한지 보여주는 중 하나이다.

1위인 카보베르데 부터 4위인 앙골라까지 승점 4점차로 매우 팽팽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5위인 모리셔스도 뒤쳐지긴 했지만 아직 가능성은 존재하는 상황이다.

3.7. 6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5. 03. 23.(일) 22:00 에스와티니 3 : 3 모리셔스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넬스프루트)
2025. 03. 26.(수) 01:00 앙골라 1 : 2 카보베르데 11월 11일 경기장
(앙골라, 탈라토나)
2025. 03. 26.(수) 04:00 카메룬 3 : 1 리비아 스타드 아마두 아히죠
(카메룬, 야운데)

3.7.1. 1경기 앙골라 1 : 2 카보베르데

11월 11일 경기장 (앙골라, 탈라토나)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1 : 2 파일:Cape_Verde_FA_(2020).png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rowcolor=#373a3c,#dddddd> 50' 젤송 달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45+2', 63' 다일론 리브라멘토
(A. 45+2' 조반 카브랄, 63' 와그너 피나)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포르투갈 스타일 축구를 구사하는 두 팀이 맞붙었다. 골을 주고받은 끝에 카보베르데가 원정에서 2:1로 승리하며 카메룬과의 선두 경쟁으로 순위표를 끌고 가게되었다.

3.7.2. 2경기 카메룬 3 : 1 리비아

스타드 아마두 아히죠 (카메룬, 야운데)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rowcolor=#373a3c,#dddddd> 27' (PK), 61' 뱅상 아부바카 (A. 브라이언 음뵈모)
35' 브라이언 음뵈모 (A. 카를로스 발레바)
파일:득점 아이콘.svg 63' 에제딘 엘 마레미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에스와티니에 졸전을 벌였던 카메룬은 다소 까다로운 상대였던 리비아와 홈에서 3:1로 승리하며 우선 선두 경쟁 상대를 카보베르데로 좁히게 되었다.

3.7.3. 3경기 에스와티니 3 : 3 모리셔스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봄벨라)
주심: 유누사 카마라 (기니)
관중: -명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3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rowcolor=#373a3c,#dddddd> 13', 18' 필라니 음콘트포
(A. 13' 음솔리시 음콘토, 18' 바넬레 시콘제)
75' 마이봉궤 마부자
파일:득점 아이콘.svg 47' 린지 로즈
50' 야닉 아리스티드
90+1' 에마뉘엘 뱅상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최하위 에스와티니가 모리셔스를 잡을뻔하였으나, 결국 3:3 무승부로 끝났다. 모리셔스는 에스와티니를 잡지 못하며 예선 통과가 사실상 어려워졌다. 에스와티니 또한 확정되지 않았을 뿐이지 사실상 예선 탈락이 불가피해졌다.[3]

3.8. 7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5. 09. 05.(금) 01:00 모리셔스 0 : 2 카보베르데 국립종합운동장 제1경기장
(모리셔스, 모카)
앙골라 0 : 1 리비아 11월 11일 경기장
(앙골라, 탈라토나)
2025. 09. 05.(금) 04:00 카메룬 3 : 0 에스와티니 스타드 아마두 아히죠
(카메룬, 야운데)

3.8.1. 1경기 앙골라 0 : 1 리비아

11월 11일 경기장 (앙골라, 탈라토나)
주심: 피에르 장 응기엔 (콩고 공화국)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0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48' 에제딘 엘 마레미 (A. 파델 알리 살라마)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중위권에 위치한 두 팀의 대결이다. 이 경기에서 패배하는 팀은 사실상 예선 레이스를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
앙골라가 홈에서 리비아에 패배하며 그대로 조 1위 불가가 확정되고 말았다. 리비아는 예선 3승을 올리며 카보베르데-카메룬의 뒤를 추격하는 추진력을 얻었다.

3.8.2. 2경기 모리셔스 0 : 2 카보베르데

국립종합운동장 제1경기장 (모리셔스, 모카)
주심: 모하메드 게디 (지부티)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0 : 2 파일:Cape_Verde_FA_(2020).pn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22' 조반 카브랄
70' 디네이 (A. 시드니 카브랄)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카보베르데가 2 대 0으로 이기며 조 1위를 유지했다. 반면 모리셔스는 2위마저 불가능하게되며 그대로 탈락하게 되었다.

3.8.3. 3경기 카메룬 3 : 0 에스와티니

스타드 아마두 아히죠 (카메룬, 야운데)
주심: 다하네 베이다 (모리타니)
관중: -명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0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rowcolor=#373a3c,#dddddd> 6' (OG) 기프트 가메제
25' 조르주케빈 은쿠두 (A. 브라이언 음뵈모)
28' 아서 아봄 (A. 뱅상 아부바카)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카메룬은 자신한테 고춧가루을 뿌린 에스와티니를 홈에서 만난다. 에스와티니는 이 경기에서 패배하면 남은 경기를 전부 이겨도 2위 차지가 불가능하므로 탈락이 확정된다.

카메룬이 3:0으로 대승하며 자신에게 고춧가루를 뿌렸던 에스와티니에게 직접 복수했다. 에스와티니는 탈락이 확정되었다. 그러나 카보베르데도 이날 같이 승리해 카메룬은 1위 탈환에는 실패했다.

3.9. 8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5. 09. 09.(화) 04:00 리비아 2 : 0 에스와티니 3월 28일 경기장
(리비아, 벵가지)
2025. 09. 10.(수) 01:00 카보베르데 1 : 0 카메룬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드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2025. 09. 10.(수) 04:00 앙골라 3 : 1 모리셔스 11월 11일 경기장
(앙골라, 탈라토나)

3.9.1. 1경기 카보베르데 1 : 0 카메룬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드 카보베르데 (카보베르데, 프라이아)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Cape_Verde_FA_(2020).png 1 : 0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rowcolor=#373a3c,#dddddd> 54' 다일론 리브라멘토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진흙탕 싸움으로 번질 뻔했던 D조도 월드컵 직행 유력팀이 이제는 카보베르데와 카메룬이 후보로 좁혀지고 있는 가운데, 이 경기가 양 팀간의 본선 진출을 결정짓는 경기임에는 물론 D조의 향방을 결정하는 최대 빅매치가 되었다.

카메룬은 에스와티니 원정에서 무승부를 거두는 등 원정 경기만 나가면 전혀 힘을 쓰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카보베르데는 홈에서 3경기 2득점으로 만족할만 한 공격력을 보여주고 있지 못하다. 양 팀간 첫 경기였던 카메룬의 홈에서는 카메룬이 일방적으로 두들기며 3점차 대승을 거두었는데, 카보베르데는 이 경기를 이기면 카메룬과 승점이 4점 차이나 본선 진출이 거의 확정되고 비기기만 해도 충분히 월드컵 직행을 노려볼 수 있기에[4] 카메룬이 공격적으로 나서고 카보베르데가 수비적으로 나서는 형태의 경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전력상으로는 카메룬이 좀 더 강력하다고 평가받지만 카보베르데도 최근 전력이 상승했고 카보베르데는 홈에서 무패이며 심지어 무실점까지 지키고 있기에 카메룬이 카보베르데의 수비를 뚫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카메룬으로서는 추격하는 입장이고 원정 경기이기 때문에 유리한 입장이 아니지만, 월드컵 진출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경기다.[5] 한편 전날 리비아의 승리로 인해 무승부가 나온다면 양 팀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는 아닐 것이다.

전반 7분 카보베르데의 질손 타바레스가 빠른 돌파 이후 1대1 찬스에서 슛팅을 했으나 안드레 오나나 골키퍼의 선방에 막혔다. 전반 추가시간 카메룬이 날린 헤딩은 보지냐 골키퍼의 선방에 막혔다. 그리고 후반 9분 카보베르데의 리브라멘토가 엄청난 돌파 이후 강력한 슈팅으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이후 후반 추가시간 카보베르데는 추가골 기회를 얻었으나 첫번째 슈팅은 오나나 골키퍼의 선방에 막혔고 세컨볼에서 윌리 세메두에게 결정적인 찬스가 나왔으나 옆그물을 때리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마지막까지 카메룬의 공격이 번번히 무산되면서 그대로 카보베르데의 승리로 종료되었다.

경기 종료 후 카보베르데 현지는 역시나 바로 축제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경기가 끝난 직후 경기장에 관중들이 난입해 서로 기쁨을 나눴다. 카보베르데는 이 경기를 승리하며 이제 한경기만 더 승리하면 자력으로 월드컵 본선 진출이 확정되는 매우 유리한 상황이 되었고, 불과 50만 인구의 작은섬나라 국가가 월드컵에 진출하는게 이젠 코앞으로 다가온 순간이 되었다. 반면 카메룬은 이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월드컵 직행이 사실상 무산되었고, 그나마 다행인점은 플래이오프권은 아직 자력으로 진출이 가능하다는점이다.

3.9.2. 2경기 앙골라 3 : 1 모리셔스

11월 11일 경기장 (앙골라, 탈라토나)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3 :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rowcolor=#373a3c,#dddddd> 17' 음발라 은졸라 (A. 에디 아폰소)
57' 프레디 (A. 안토니오 카바사)
63' 안토니오 카바사 (A. 페드루 본두 프란시스쿠)
파일:득점 아이콘.svg 21' 윌리엄 조셉 프랑수아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앙골라는 9월 2연전을 모두 홈에서 치르게 되어 다행이지만, 조 1위 불가가 확정된 이상 승리에 대한 동기 부여가 적을 것이다. 또한, 이 경기를 이기지 못하면 탈락이 확정된다.
앙골라는 모리셔스를 3:1로 이기면서 탈락 확정은 면했다.

3.9.3. 3경기 리비아 2 : 0 에스와티니

3월 28일 경기장 (리비아, 벵가지)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2 : 0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rowcolor=#373a3c,#dddddd> 8' 무아드 에이사이
19' 에제딘 엘 마레미 (A. 파델 알리 살라마)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리비아는 이 경기를 승리하여 카메룬-카보베르데 경기 결과에 따라 2위로 쳐지는 팀과의 순위 경쟁을 이어나가야 했고, 어떻게든 승리하면서 2위 자리에 대한 마지막 희망을 잡을 수 있게 되었다.

3.10. 9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5. 10. 08.(수) 22:00 모리셔스 # : # 카메룬 코트도르 내셔널 스포츠 컴플렉스
(모리셔스, 생피에르)
리비아 # : # 카보베르데 6월 11일 경기장
(리비아, 트리폴리)
에스와티니 # : # 앙골라 솜롤로 경기장
(에스와티니, 로밤바)

3.10.1. 1경기 모리셔스 vs 카메룬

코트도르 내셔널 스포츠 컴플렉스 (모리셔스, 생피에르)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 : #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카보베르데와의 맞대결에서 패배를 당해 격차가 승점 4점까지 벌어지며 직행 가능성이 적어진 카메룬은 오히려 이 경기를 그르치면 3위 리비아에게 2위 자리마저 위협받게 된다. 카보베르데-리비아 경기에서 리비아가 승리하면 카메룬으로서는 좋은 일이 아니기 때문에 이 경기를 무조건 잡고 봐야 한다. 또한 조 2위로 플레이오프 진출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서도 최대한 큰 점수차로 승리해야한다. 카메룬이 이 경기에서 승점 3점을 얻지 못한다면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다행인 점은 모리셔스는 약체인데다 탈락이 확정돼 동기부여가 적으며, 카메룬이 이 경기를 승리하고 리비아가 카보베르데에게 패하면 2위를 확보한다는 것이다.

카메룬의 입장에서는 본인들이 모두 이겨야 함은 물론이고 운도 많이 따라줘야 하는데 카보베르데가 한 번이라도 이기면[6] 카메룬의 본선 직행은 불가능하게 된다.

3.10.2. 2경기 리비아 vs 카보베르데

6월 11일 경기장 (리비아, 트리폴리)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 : # 파일:Cape_Verde_FA_(2020).png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카보베르데는 이 경기에서 승리하면 자국 역사상 처음으로 본선 진출이 확정된다. 무승부가 나온다 한들, 동시간대에 카메룬이 승리하지 못하면 마찬가지로 본선 진출을 확정짓으며 이 경기를 패배해도 마지막 상대인 최약체 에스와티니에게 승리하면 바로 본선 진출을 확정짓는 매우 유리한 상황이라 볼 수 있다. 한편 반대로 리비아는 이 경기를 승리하면 카메룬과의 플레이오프 경쟁에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룬-모리셔스 경기에서 카메룬이 승리하지 못할 시 최종전의 결과에 따라 1위에 등극하는 경우의 수도 고려할 수 있는 위치에 오른다.[7] 하지만 이 경기를 패배하면 카메룬이 승리를 거둘시 탈락이 확정되고 비겨도 카메룬이 승리를 거두면 골득실에서 불리해진다. 카메룬을 제치고 조 2위에 오르려는 리비아와 본선 진출을 이 경기에서 확정짓고자 하는 카보베르데의 치열한 경기가 예상된다.

3.10.3. 3경기 에스와티니 vs 앙골라

솜롤로 경기장 (에스와티니, 로밤바)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본선 진출에 실패한[8] 두 팀의 맞대결이다. 앙골라의 승리가 예상되는 경기로 앙골라는 이 경기에서 승리하지 못하면 탈락이 확정되고 승리해도 카메룬이나 리비아 둘중 한팀이 한번이라도 승리를 거두면 탈락이 확정되는 전망이 어두운 상황이다.

3.11. 10차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5. 10. 13.(월) 22:00 카보베르데 # : # 에스와티니
2025. 10. 13.(월) 22:00 모리셔스 # : # 리비아
2025. 10. 13.(월) 22:00 카메룬 # : # 앙골라

3.11.1. 1경기 카보베르데 vs 에스와티니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Cape_Verde_FA_(2020).png # : #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현재 본선진출 9부 능선을 넘은 카보베르데가 직전 경기에서 리비아 원정에서 패하고 카메룬이 승리한다면, 이 경기에서 무조건 이겨야 월드컵 진출을 자력으로 확정한다.

3.11.2. 2경기 모리셔스 vs 리비아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by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리비아는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꼭 이겨야하는 경기이다.

3.11.3. 3경기 카메룬 vs 앙골라

경기장 (국가, 도시)
주심: 이름 (국적)
관중: -명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cao_Angolana_de_Futebol.png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직전 경기까지 봐야겠지만 카메룬은 승점에서 4점이나 뒤진 카보베르데를 따라잡기 위해 마지막까지 무조건 사활을 걸고 이겨야 한다. 운도 따라줘야 하는데 카메룬은 다 이기고 카보베르데가 한 번도 이기지 못해야 카메룬이 본선에 직행한다.

4. 총평


[1] 그러나 A조와는 달리 2포트 카보베르데와 3포트 앙골라 모두 2023년 네이션스컵에서 8강에 진출하고 정작 1포트 카메룬은 16강에서 탈락하며 이 조도 죽음의 조 냄새가 풍기기 시작했다.[2] 이 때 가린샤 클럽의 새로운 멤버가 배출되는 불명예도 겪었다.[3] 에스와티니에게 남은 1위 경우의 수는 1) 전승을 하고 2) 카메룬-카보베르데가 경기가 무승부로 끝나고 3) 두 팀이 이외 경기를 전패하여 4) 카보베르데와 승점 14점 동률이 된 가운데 카보베르데에 골득실로 앞서는 것이다. 상기한 모든 조건이 성립된다면 리비아, 모리셔스는 최소 승점 11점, 앙골라는 최소 승점 10점을 얻게 되므로 5) 리비아와 모리셔스가 상대 간 대전과 앙골라와의 경기에서 총 승점 3점 이하를 얻어야 하며, 6) 앙골라가 리비아, 모리셔스 경기에서 총 승점 4점 이하를 얻어야 한다.[4] 카메룬에 앞선 순위를 유지하면서 남은 경기 동안 이 격차를 유지할 경우 월드컵 본선 자력 진출이 가능하다.[5] 물론 카메룬 입장에서는 지금까지 패하지는 않은 덕에 조 2위에 머물러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플레이오프로 떨어지면 토너먼트 2경기를 모두 승리해야 하며, 여기서 승리해도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본선행 여부가 갈린다. 카메룬으로서는 플레이오프로 떨어지는 것은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6] 카보베르데는 한 번만 이기면 승점 22, 카메룬은 남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승점 21점이다.[7] 물론 자력으로 본선 진출을 바로 눈 앞에 둔 카보베르데가 마지막 경기에서 에스와티니를 이기지 못할 가능성은 현저히 적기에 직행 가능성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8] 앙골라는 아직 확정은 아니나 전망이 매우 어두운 상태인것은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