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13 03:19:14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북중미카리브/2차예선/B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북중미카리브/2차예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fff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9px 10px;
'''[[아시아 축구 연맹|{{{#fff 아시아[br](AFC)}}}]]'''
<colbgcolor=#fff> 지역예선 <colbgcolor=#ffffff,#191919>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3차예선 (A조 · B조 · C조 · 평가)
PO GS (A조 · B조)
PO KS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7px 10px;
'''[[아프리카 축구 연맹|{{{#fff 아프리카[br](CAF)}}}]]'''
지역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PO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7px 10px;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fff 북중미카리브[br](CONCACAF)}}}]]'''
지역예선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최종예선 (A조 · B조 · C조)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남미 축구 연맹|{{{#fff 남미[br](CONMEBOL)}}}]]'''
지역예선 2023년 · 2024년 · 2025년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fff 오세아니아[br](OFC)}}}]]'''
지역예선 1차예선
2차예선 (A조 · B조)
최종예선
대륙간PO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6px 10px;
'''[[유럽 축구 연맹|{{{#fff 유럽[br](UEFA)}}}]]'''
지역예선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PO
조 추첨 }}}}}}}}}}}}


1. 개요2. 각 팀간 전적3. 경기 기록
3.1. 2024년
3.1.1. 1경기 트리니다드 토바고 2 : 2 그레나다3.1.2. 2경기 코스타리카 4 : 0 세인트키츠 네비스3.1.3. 3경기 바하마 1 : 7 트리니다드 토바고3.1.4. 4경기 그레나다 0 : 3 코스타리카3.1.5. 5경기 세인트키츠 네비스 1 : 0 바하마
3.2. 2025년
3.2.1. 6경기 그레나다 6 : 0 바하마3.2.2. 7경기 트리니다드 토바고 6 : 2 세인트키츠 네비스3.2.3. 8경기 바하마 0 : 8 코스타리카3.2.4. 9경기 세인트키츠 네비스 2 : 3 그레나다3.2.5. 10경기 코스타리카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4. 3차예선 진출팀

1. 개요

<rowcolor=#fff>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4 4 0 0 17 1 +16 12 최종예선 진출
2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4 2 1 1 16 7 +9 7 최종예선 진출
3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4 2 1 1 11 7 +4 7 예선 탈락
4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4 1 0 3 5 13 -8 3 예선 탈락
5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4 0 0 4 1 22 -21 0 예선 탈락
<rowcolor=#000,#fff> 최종예선 진출 | 탈락


1강 2중 2약쯤으로 볼 수 있다. 최근 하향세였던 코스타리카가 코파 아메리카 본선 진출 등 점차 흐름을 다시 가져오고 있고, 객관적인 전력 상에서도 이 조에서 1위를 하지 못한다면 그것 자체가 비상으로 여겨질 만 하다. 2위는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유력한데, 네이션스 리그 토너먼트에서도 미국을 잡는 등 선전하며 전력이 만만치 않다는 평가다. 그레나다, 세인트키츠 네비스가 복병으로 꼽히지만 코스타리카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비해선 약체인 것이 확실하고, 바하마는 최하위를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2. 각 팀간 전적

3. 경기 기록

3.1. 2024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4. 06. 06.(목) 08:30 트리니다드 토바고 2 : 2 그레나다 해슬리 크로포드 스타디움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
2024. 06. 07.(금) 11:30 코스타리카 4 : 0 세인트키츠 네비스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산호세)
2024. 06. 09.(일) 06:30 바하마 1 : 7 트리니다드 토바고 SKNFA 테크니컬 센터
(세인트키츠 네비스, 바스테르)
2024. 06. 10.(월) 06:00 그레나다 0 : 3 코스타리카 키라니 제임스 스타디움
(그레나다, 세인트조지스)
2024. 06. 12.(수) 05:00 세인트키츠 네비스 1 : 0 바하마 워너 파크 스포팅 컴플렉스
(세인트키츠 네비스, 바스테르)

3.1.1. 1경기 트리니다드 토바고 2 : 2 그레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1경기}}}]][br]{{{#fff 2024년 6월 6일(목) 08:30 (UTC+9)}}}'''
해슬리 크로포드 스타디움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
주심: 마리오 에스코바르 (과테말라)
관중: 5,150명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협회 엠블럼.png
2 : 2 파일:Grenada_FA_Logo.png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rowcolor=#373a3c,#dddddd> 43' 라이언 텔퍼 (A. 노아 파우더)
74' 레온 무어 (A. 라이언 텔퍼)
파일:득점 아이콘.svg 24'(PK), 28' 마일스 히폴리트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유튜브 로고.svg CONCACAF 영어 해설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승리가 유력해보인다.
전반전 약팀 그레나다가 선제골을 포함해 한골을 추가로 넣으면서 이변이 일어날뻔 했으나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후반전 2골을 넣어 가까스로 무승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단초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가벼운 승리가 예상되었으나 무승부를 기록했으니 이것도 충분히 이변이라고 볼 수 있다.

3.1.2. 2경기 코스타리카 4 : 0 세인트키츠 네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2경기}}}]][br]{{{#fff 2024년 6월 7일(금) 11:30 (UTC+9)}}}'''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산호세)
주심: 훌리오 루나 (과테말라)
관중: 15,700명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svg
4 : 0 파일:attachment/001_4.png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rowcolor=#373a3c,#dddddd> 40', 49' 오를란도 갈로
(A. 40' 헤페르손 브레네스 로하스, 49' 만프레드 우갈데)
82' 요시마르 알코세르
84' 안디 로하스 (A. 조엘 캠벨)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유튜브 로고.svg CONCACAF 영어 해설

미국, 캐나다, 멕시코가 빠진 월드컵 예선에서 파나마와 함께 2강인 코스타리카의 승리가 유력하다. 최근 골드컵 본선에 진출하면서 상승세인 세인트키츠 네비스지만 체급의 차이가 클 것으로 보인다.
경기 결과, 코스타리카가 4:0으로 압승하였다.

3.1.3. 3경기 바하마 1 : 7 트리니다드 토바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3경기}}}]][br]{{{#fff 2024년 6월 9일(일) 06:30 (UTC+9)}}}'''
SKNFA 테크니컬 센터 (세인트키츠 네비스, 바스테르)
주심: 마르코 오르티스 (멕시코)
관중: 165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hamas_FA.png 1 : 7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협회 엠블럼.png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rowcolor=#373a3c,#dddddd> 87' 피터 줄미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6', 66' 말콤 쇼 (A. 6' 칼 무케트, 66' 레온 무어)
14'(PK) 앨빈 존스
43', 45' 칼 무케트 (A. 43' 레온 무어, 45' 말콤 쇼)
56' 레온 무어 (A. 스테판 예이츠)
84' 나다니엘 제임스 (A. 단타예 길버트)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파일:유튜브 로고.svg CONCACAF 영어 해설

트라니다드 토바고의 승리가 예상된다.
경기 결고 토바고가 7대1로 압살하였다. 바하마는 87분에 골을 넣어 영패는 면하였다.

3.1.4. 4경기 그레나다 0 : 3 코스타리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4경기}}}]][br]{{{#fff 2024년 6월 10일(월) 06:00 (UTC+9)}}}'''
키라니 제임스 스타디움 (그레나다, 세인트조지스)
주심: 스테픈 데와르 (자메이카)
관중: 2,780명
파일:Grenada_FA_Logo.png 0 : 3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svg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9' 만프레드 우갈데 (A. 브란돈 아길레라)
34' 알바로 사모라 (A. 만프레드 우갈데)
70' 제랄드 테일러 (A. 만프레드 우갈데)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파일:유튜브 로고.svg CONCACAF 영어 해설

코스타리카가 완승을 거두었다.

3.1.5. 5경기 세인트키츠 네비스 1 : 0 바하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5경기}}}]][br]{{{#fff 2024년 6월 12일(수) 05:00 (UTC+9)}}}'''
워너 파크 스포팅 컴플렉스 (세인트키츠 네비스, 바스테르)
주심: 왈테르 로페스 (과테말라)
관중: 539명
파일:attachment/001_4.png 1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hamas_FA.png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rowcolor=#373a3c,#dddddd> 12' 에단 브리스토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44' 장 틸로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국내 중계
파일:FIFA+로고.png FIFA 영어 해설
파일:유튜브 로고.svg CONCACAF 영어 해설

세인트키츠 네비스가 전반 12분 빠른 선제골을 넣고 그후로 양팀 득점 없이 1대0으로 끝났다.

3.2. 2025년

<rowcolor=#fff> 경기 일정(UTC+9) 홈팀 경기 결과 원정팀 경기장
2025. 06. 05.(목) 08:00 그레나다 6 : 0 바하마 키라니 제임스 애슬레틱스 스타디움
(그레나다, 세인트조지스)
2025. 06. 07.(토) 08:30 트리니다드 토바고 6 : 2 세인트키츠 네비스 해슬리 크로포드 스타디움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
2025. 06. 08.(일) 08:00 바하마 0 : 8 코스타리카 윌디 터프
(바베이도스, 브리지타운)
2025. 06. 11.(수) 04:00 세인트키츠 네비스 2 : 3 그레나다 워너 파크 스포팅 컴플렉스
(세인트키츠 네비스, 바스테르)
2025. 06. 11.(수) 10:00 코스타리카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산호세)

3.2.1. 6경기 그레나다 6 : 0 바하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6경기}}}]][br]{{{#fff 2025년 6월 5일(목) 08:00 (UTC+9)}}}'''
키라니 제임스 애슬레틱스 스타디움 (그레나다, 세인트조지스)
주심: 셔빈 그린 (가이아나)
관중: 2,235명
파일:Grenada_FA_Logo.png 6 : 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hamas_FA.png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rowcolor=#373a3c,#dddddd> 15' 저메인 프랜시스 (A. 리건 찰스쿡)
36' 대리어스 존슨 (A. 리건 찰스쿡)
58' 케이숀 프랑스와 (A. 저메인 프랜시스)
72' 조슈아 아이작 (A. 제이드 더글러스)
77' 케이든 해랙
90' 세이드럴 루이스 (A. 로먼 찰스쿡)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섀번 존브라운 (GRE)
바하마가 그레나다를 상대로 단 한골도 넣지 못하며 대패해 탈락이 확정됐다.

3.2.2. 7경기 트리니다드 토바고 6 : 2 세인트키츠 네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7경기}}}]][br]{{{#fff 2025년 6월 7일(토) 08:30 (UTC+9)}}}'''
해슬리 크로포드 스타디움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
주심: 내털리 사이먼 (미국)
관중: 20,353명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협회 엠블럼.png
6 : 2 파일:attachment/001_4.png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rowcolor=#373a3c,#dddddd> 9' 레비 가르시아
29', 66' 댄테이 실리 (A. 29', 66' 레비 가르시아)
48' (PK) 케빈 몰리노
85' 아자니 포춘 (A. 너새니얼 제임스)
89' 너새니얼 제임스 (A. 타이리스 스파이서)
파일:득점 아이콘.svg 27' 그본 에이머리 (A. 타이리스 심프슨)
45' 티쿼니 윌리엄스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댄테이 실리 (TRI)
전반전은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세인트키츠 네비스가 주고받는 양상이었지만 후반전에는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네골을 넣고 세인트키츠 네비스를 격침시켰다.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최종예선 진출에 유리해지긴 했지만 마지막 코스타리카전에 지고 그레나다가 세인트키츠 네비스와의 경기에서 큰 점수차로 이긴다면 골득실에서 밀릴 가능성도 있다.

세인트키츠 네비스는 탈락이 확정되었다.

3.2.3. 8경기 바하마 0 : 8 코스타리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8경기}}}]][br]{{{#fff 2025년 6월 8일(일) 08:00 (UTC+9)}}}'''
바베이도스 축구협회 잔디구장 (바베이도스, 윌디)
주심: 리언 레이딕스 (그레나다)
관중: -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hamas_FA.png 0 : 8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svg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rowcolor=#373a3c,#dddddd> - 파일:득점 아이콘.svg 20' 알론소 마르티네스 (A. 만프레드 우갈데)
37' 조셉 모라 (A. 알레한드로 브란)
45+2' 알레한드로 브란
48' 오를란도 갈로 (A. 알론소 마르티네스)
51' 만프레드 우갈데 (A. 알론소 마르티네스)
64', 79' 와렌 마드리갈 (A. 79' 요시마르 알코세르)
90' 알바로 사모라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오를란도 갈로 (CRC)

코스타리카는 이 경기를 승리한다면 무조건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골폭죽을 터뜨린 코스타리카는 여유롭게 최종예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3.2.4. 9경기 세인트키츠 네비스 2 : 3 그레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9경기}}}]][br]{{{#fff 2025년 6월 11일(수) 04:00 (UTC+9)}}}'''
워너 파크 스포팅 컴플렉스 (세인트키츠 네비스, 바스테르)
주심: 크리스토페르 코라도 (과테말라)
관중: 700명
파일:attachment/001_4.png 2 : 3 파일:Grenada_FA_Logo.png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rowcolor=#373a3c,#dddddd> 34' 타이리스 심프슨 (A. 로메인 소이어스)
90+4' 로메인 소이어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49' 리건 찰스쿡 (A. 케이든 해랙)
76' 저메인 프랜시스 (A. 리건 찰스쿡)
90+1' 대리어스 존슨 (A. 저메인 프랜시스)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그레나다는 이 경기에서 무조건 큰 점수차로 이겨야 한다. 큰 점수차로 이긴다면 코스타리카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경기 결과에 따라 골득실로 2위가 될 가능성이 희미하게 남아 있었음에도 세인트키츠 네비스에 2골을 얻어맞고 3:2 1점차 승리라는 결과를 얻는데 그치며 골득실에 밀려 최종예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그레나다 축구 역사상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역대 최고 성적으로 월드컵 지역 예선을 마무리했다.

3.2.5. 10경기 코스타리카 2 : 1 트리니다드 토바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2026 FIFA 월드컵|[[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width=35]]]][br]'''[[2026 FIFA 월드컵|{{{#fff 2026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2차예선 B조 10경기}}}]][br]{{{#fff 2025년 6월 11일(수) 10:00 (UTC+9)}}}'''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산호세)
주심: 다니엘 킨테로 (멕시코)
관중: 17,000명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svg
2 : 1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협회 엠블럼.png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rowcolor=#373a3c,#dddddd> 23' 제일란드 미첼 (A. 프란시스코 칼보)
38' 와렌 마드리갈 (A. 알레한드로 브란)
파일:득점 아이콘.svg 58' 레비 가르시아 (A. 케빈 몰리노)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76' 앨빈 존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이름 (국적)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이 경기에서 패하지만 않는다면 최종예선 진출이다.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이경기에서 지고 그레나다가 마지막 경기에서 이긴다면 골득실에서 뒤집힐 가능성도 있지만 골득실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대패하지만 않으면 지더라도 최종예선 진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수비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원정에서 고전하며 1:2로 패배했으나, 그레나다와의 골 득실차가 여유가 있었던 관계로 골 득실에서 앞서 조 2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4. 3차예선 진출팀

3차예선 진출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코스타리카 트리니다드 토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