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0:06:38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파일:온게임넷 스타리그 로고.svg 역대 온게임넷 스타리그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Gillette 스타리그 2004
EVER 스타리그 2004 IOPS 스타리그 04~05 EVER 스타리그 2005
So1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Daum 스타리그 2007
EVER 스타리그 2007 박카스 스타리그 2008 EVER 스타리그 2008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BATOO 스타리그 08~09 박카스 스타리그 2009
EVER 스타리그 2009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진에어 스타리그 2011 tving 스타리그 2012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2013 WCS Korea Season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왕중왕전
2000 온게임넷 왕중왕전 2002 KT배 온게임넷 왕중왕전 신한은행 마스터즈
}}}}}}}}}}}} ||

파일:OSL_00_2nd_poster.jpg
리그 앰블럼

1. 개요2. 사용 맵3. 온게임넷의 출범4. 가을의 전설의 시작

[clearfix]

1. 개요


자세한 대진은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대진표를 참고.

2. 사용 맵

파일:OSL_00_2nd_poster.jpg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맵
파일:attachment/BlazeOSL.jpg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33_Jungle%20Story_thumbnail.jpg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50_Avant%20Garde.jpg
파일:스페이스 오디세이(스타크래프트).jpg
파일:DARK STONE.jpg
블레이즈 정글 스토리 아방가르드 스페이스 오디세이 다크 스톤

3. 온게임넷의 출범

2000년 하나로통신배 스타리그에서 열악한 환경에도 흥행에 성공하면서 드디어 주관한 스타리그.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타이틀을 가진 최초의 리그이다.[11]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의 흥행에 힘입어 드디어 2000년 7월 24일 온게임넷이 개국, 투니버스에서 독립된 스타리그는 그 개국일에 맞추어 리그가 시작되었다.[12]

4. 가을의 전설의 시작

스타리그 1회 진출자이며 프로토스인 김동수가 당시 아트록스, 킹덤 언더 파이어 등의 여러 게임 리그에서 활약했던 봉준구를 결승전에서 세트 스코어 3:0 이기고 우승[13]하며 후에 온게임넷에서 뼛골까지 우려먹는 로얄로드가을의 전설 떡밥을 낳은 리그이기도 하다.[14]

다만 24강 체제가 굉장한 논란이 됐었는데 와일드 카드전까지 치르려니 리그가 두 배 정도 길어지는 바람에 전 대회들과 비교해 여러모로 실패한(?) 리그란 인식이 짙다. 더군다나 저그 유저의 비중이 너무 높아 저저전이 다수 진행된것도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토스가 우승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가을의 전설이 된 리그.[15] 또한 이후 스타1 양대 리그,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팀리그, 위너스 리그, KT-KTF 프리미어 리그 등 주요 대회에서의 언제나 개최되었던 외부 장소에서의 결승전 진행도 이 대회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다만 해당 결승전은 생방송이 아닌 하루전 녹화로 진행되었다.

리그 종료 이후 우승자가 아닌 99 PKO하나로통신배 스타리그, 프리챌배 스타리그의 입상자들을 모아 왕중왕전을 개최, 이 대회의 우승자에게 차기리그 시드를 배정해 시드 배정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 또 왕중왕전의 우승자 또한 스타리그 우승자와 같이 대우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많은 이견이 있었으나 결국 온게임넷에서 왕중왕전을 단순한 이벤트전으로 정의하며 왕중왕전에 대한 논란은 일단락되었다.[16]


[1] 결승전은 방송 전날에 경기가 진행된다.[2] 신주영, 변성철, 쌈장 이기석의 매니저로 알려진 임영수 등과 함께 소설 스타크래프트를 집필한 적이 있다. (2권만 담당)[3] 정일훈 캐스터의 회사로, VOD 서비스로 유명하였다. 이후 이 회사가 프리챌로 인수되면서 자동으로 바뀐 것.[4] 16강부터 변경[5] 이후 EVER 스타리그 2008에서 오랜만에 재현된다.[6] 반대편 피디팝 MSL에서도 테란이 8강에 단 한 선수도 진출하지 못했지만 그래도 16강까지는 진출했었다.[7] 다만 위에 언급된 것처럼 결승전 2경기에서는 봉준구가 프로토스로 플레이를 했기에 순수한 프로토스 vs 저그 기록은 아니다.[8] MSL에서는 3.3 혁명이 유일하다.[9] 다만, 결승전 중계은 수요일에 녹화방영했다.[10] 각 라운드별 재경기와 결승전의 VOD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볼 수 있다. 온게임넷에서 실수로 넣지 않은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유튜브에 "김동수 봉준구" 라고 검색을 하면 해당 경기가 있다. 앞에 영상은 3차전만 올린 것이다. 이유는 마지막 경기이기 때문.[11] 이 타이틀은 NHN 한게임배까지 사용하다가 질레트부터 '스타리그'로 명칭을 변경했다.[12] 다만 이 대회는 투니버스에서도 동시에 중계해줬다. 다음 대회부터 완전히 온게임넷에서 중계한다.[13] 다만 봉준구의 경우 결승전 2경기에서는 저그가 아닌 프로토스로 플레이를 했다.[14] 그리고 정확히 8년 후인 2008년 11월 1일 송병구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서 정명훈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가을의 전설을 이어갔다.[15] 그도 그럴것이 이 당시 4강에 올라온 선수들의 종족분포를 보면 세명이 모두 저그였고, 김동수 혼자만 프로토스였다. 무려 다전제로 이들을 모두 뚫고 올라왔으니 전설이 될 법도 하다.[16] 하지만, 이후 많은 논란을 야기 시켜 팬들에게 왕중왕전 따위 왜 하냐고 엄청나게 까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