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안 카를로스 로렌소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 ||||
14, 21대 | ||||
클럽 | ||||
32, 37, 41대 | 28대 | 40대 |
아르헨티나의 前 축구 감독 | ||
| ||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 후안 카를로스 "토토" 로렌소 Juan Carlos "Toto" Lorenzo | |
본명 | 후안 카를로스 로렌소 Juan Carlos Lorenzo | |
출생 | 1922년 10월 20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
사망 | 2001년 11월 14일 (향년 79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
국적 |
|
| |
신체 | 미상 | |
직업 |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 CA 차카리타 주니어스 (1940~1945) CA 보카 주니어스 (1945~1947) UC 삼프도리아 (1948~1952) AS 낭시 (1953~195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954~1957) 라요 바예카노 (1957~1958) RCD 마요르카 (1958) |
감독 | RCD 마요르카 (1958~1960) CA 산 로렌소 (1961) 아르헨티나 대표팀 (1962) SS 라치오 (1962~1964) AS 로마 (1964~1965) 아르헨티나 대표팀 (1966) CA 리버 플레이트 (1966) RCD 마요르카 (1967) SS 라치오 (1968~1971) CA 산 로렌소 (197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973~1974) 우니온 산타페 (1975~1976) CA 보카 주니어스 (1976~1979) 라싱 클루브 (1980)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1981) CA 산 로렌소 (1981~1982) 아틀란테 FC (1982)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1982~1983) CA 아틀란타 (1983) 인데펜디엔테 산타페 (1984) SS 라치오 (1984~1985) CA 산 로렌소 (1985) CA 보카 주니어스 (1987) | |
국가대표 | 없음 |
1. 개요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출신 前 축구 감독. 오랫동안 라치오의 사령탑으로서 세리에 A에서 194경기를 지휘하는 기록을 세웠으며[1], 라치오와 로마의 감독을 모두 역임하며 로마 더비의 양쪽 팀을 모두 맡은 몇 안 되는 감독 중 한 명이다. 그의 탁월한 전술적 재능과 선수 발굴 능력은 라치오에서 조르조 키날리아와 피노 윌슨과 같은 클럽 전설들을 영입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보카 주니어스에서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를 연속으로 우승(1977, 1978)하고 인터컨티넨탈컵(1977)을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1974년 유러피언컵 결승까지 이끌었으며, 아르헨티나 대표팀을 두 차례[2] 지휘했다.
선수와 감독을 합쳐 30년이 넘는 축구 경력 동안 8개국에 걸친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하며 남미와 유럽 축구의 가교 역할을 했으며, 특히 아르헨티나와 이탈리아 축구계에서 '토토'라는 애칭과 함께 전설적인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2. 선수 경력
젊은 시절의 로렌소는 1943년 CA 차카리타 주니어스의 1군 팀에서 왼쪽 공격형 미드필더로 데뷔했다.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차카리타 주니어스에서 활약한 후, 1945년부터 1947년까지는 아르헨티나의 명문 클럽인 CA 보카 주니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1947-48 시즌이 끝난 후, 다른 많은 아르헨티나 선수들처럼 이탈리아에서의 도전을 시작했다. 삼프도리아에 입단한 그는 1949년 1월부터 1952년까지 성공적으로 푸른색 유니폼을 입었다. 1952년부터 1954년까지는 프랑스 팀 AS 낭시로 이적했는데, 이 시기에 이미 지도자가 되고자 하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로렌소는 1954년 영국 축구의 '마법사'로 불리던 월터 윈터보텀이 지도하는 코치 과정에 참여했으며, 1956년에는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라슬로 쿠발라 및 다른 위대한 선수들과 함께 코스를 반복 수강했다. 선수로서의 마지막 시즌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요 바예카노, RCD 마요르카와 함께 스페인 리그에서 보냈으며, 마요르카에서 선수 경력을 마치고 첫 감독 경험을 시작했다.
3. 감독 경력
로렌소의 첫 감독 경험은 RCD 마요르카에서였다. 1958년부터 1960년까지 3년 만에 마요르카를 3부 리그에서 1부 리그로 승격시키는 데 성공했다. 1961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CA 산 로렌소를 지휘했고, 다음 해인 1962년에는 아르헨티나 대표팀을 칠레 월드컵에 이끌었다.이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SS 라치오의 감독이 되었다. 첫 시즌에 라치오가 세리에 B에서 2위를 차지하며 세리에 A로 복귀할 수 있었고, 두 번째 시즌에는 유벤투스를 원정에서 3-0으로 대파하는 등 최종 8위라는 훌륭한 성적을 거두었다. 라치오 경영진과의 계약 문제로 1964년에는 라이벌인 로마와 계약했고, 로마를 1년간 지도하며 코파 이탈리아를 우승했다.
잉글랜드 월드컵 대회를 앞두고 로렌소는 다시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감독으로 돌아왔다. 그는 아르헨티나를 8강까지 이끌었지만, 대회 우승국인 개최국 잉글랜드에게 패배했다. 이후 1966-67 시즌에는 아르헨티나로 돌아가 CA 리버 플레이트를 지도했고, 이듬해에는 다시 유럽으로 돌아와 스페인에서 마요르카를 다시 맡았다.
1968-69 시즌에는 움베르토 렌지니 회장 아래 다시 라치오의 감독이 되었다. 시즌 대부분을 트리뷴에서 지켜보면서도 '독수리들'이 리그를 지배하고 최상위 시리즈로 승격하는 모습을 이끌었다. 다음 시즌에 라치오는 8위를 차지했고, 로렌소는 인테르나폴리에서 두 명의 알려지지 않은 선수들 조르조 키날리아와 피노 윌슨을 발굴하여 로마로 데려왔다. 1970-71 시즌에는 팀의 전반적인 쇠퇴와 경제적 문제로 인해 세리에 B로 강등되며 로렌소가 경질되었다.
1973년부터 1975년까지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지도했고, 1974년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바이에른 뮌헨에게 패배했다. 이후 1976년부터 1979년까지 보카 주니어스를 맡아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 보카와 함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회 연속 우승(1977, 1978)과 인터컨티넨탈컵 우승(1977)이라는 국제적인 영광을 안았다.
1980년대에는 여러 아르헨티나 클럽들을 지도했고, 1984년에는 7연패 중이던 라치오로 다시 복귀했다. 로렌소는 영광스러운 남미 클럽의 어려운 시기였던 1987년 보카 주니어스에서 코치로서의 마지막 시즌을 보냈다. 그는 2001년 11월 14일 고향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79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4. 지도 스타일 및 업적
로렌소는 규율과 철저한 전술 준비로 유명했다. 그는 미신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었으며, 특유의 카리스마로 선수들에게 존경받았다. 특히 카운터어택과 수비적인 조직력에 능했으며, 그의 팀들은 종종 뛰어난 전술적 유연성을 보여줬다. 주로 선수 발굴과 육성에 탁월한 재능을 발휘했는데, 특히 라치오 시절 키날리아와 윌슨을 발굴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선수단 관리에 있어서는 때로는 엄격하지만 선수들의 개성을 존중하는 스타일이었다.가장 큰 업적으로는 보카 주니어스와 함께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회 우승(1977, 1978)과 인터컨티넨탈컵 우승(1977)이 있다. 또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유러피언컵 결승까지 이끈 것, 로마와 함께 코파 이탈리아를 우승한 것도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그의 지도력은 특히 남미와 유럽을 오가며 양쪽 대륙의 축구 철학을 접목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df8918,black> 1조 | 가브릴 카찰린 | 류보미르 로브리치 프르보슬라브 미하일로비치 | 후안 카를로스 코라초 | 아돌포 페데르네라 |
2조 | 제프 헤어베어거 | 페르난도 리에라 |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 카를 라판 | |
3조 | 아이모레 모레이라 ★ | 루돌프 비틀라칠 ☆ | 이그나시오 트레예스 | 엘레니오 에레라 | |
4조 | 버로티 러요시 | 월터 윈터보텀 | 후안 카를로스 로렌소 | 게오르기 파체지에프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004f9f,black> 1조 | 알프 램지 ★ | 앙리 게랭 | 이그나시오 트레예스 | 온디노 비에라 |
2조 | 후안 카를로스 로렌소 | 호세 비야롱아 | 알프레도 포니 | 헬무트 쇤 ☆ | |
3조 | 비센치 페올라 | 루돌프 비틀라칠 | 버로티 러요시 | 오투 글로리아 | |
4조 | 루이스 알라모스 | 에드몬도 파브리 | 명례현 | 니콜라이 모로조프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