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7 14:45:15

우도 라테크

우도 라테크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클럽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9~1996).svg

35대, 39대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svg

11대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31대, 50대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49대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43대
}}} ||
우도 라테크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5e5e5
브라이언
클러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요한
크루이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알렉스
퍼거슨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엘레니오
에레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우도
라테크

파일:독일 국기.svg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리누스
미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주제
무리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아리고
사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독일의 前 축구 감독
파일:udo lattek.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우도 라테크
Udo Lattek
출생 1935년 1월 16일
독일 보젬브
사망 2015년 1월 31일 (향년 80세)
독일 쾰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키 180cm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1] / 은퇴)
축구 감독 은퇴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SSV 마린하이데
바이어 04 레버쿠젠 (1955~1958)
VfR 비퍼퓌르트 (1958~1962)
VfL 오스나브뤼크 (1962~1965)
감독 독일 대표팀 (1965~1970 / 수석 코치)
FC 바이에른 뮌헨 (1970~1975)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5~1979)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979~1981)
FC 바르셀로나 (1981~1983)
FC 바이에른 뮌헨 (1983~1987)
FC 쾰른 (1991)
FC 샬케 04 (1992~1993)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00)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유년기3. 선수 경력4. 지도자 경력5. 기타6. 기록
6.1. 대회 기록6.2. 개인 수상
7. 둘러보기

1. 개요

1970년대 바이에른의 수장
Bayern's 1970s kingpin

UEFA에서 축구계 역사상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명감독 10인을 꼽으며 남긴 평
독일의 前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

1970년대 바이에른 뮌헨의 황금기를 이끈 감독이자 1970년대 당대의 라이벌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전성기를 지속하게 만들었던 감독이다. 14개의 메이저 대회 우승으로 오트마어 히츠펠트가 경신하기 전까지 감독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조반니 트라파토니와 함께 UEFA 주관 3대 클럽 대항전 타이틀[2]을 모두 거머쥔 유이한 감독으로 이를 3개의 다른 팀을 역임하며 달성했다.

2. 유년기

동프로이센 젠스부르크군(Kreis Sensburg) 보젬브(Bosemb)[3] 마을에서 태어났다. 10살 때 동프로이센으로 소련군이 진격하면서 이를 피해 2년간 덴마크에서 피난 생활을 했고, 이후 서독 비퍼퓌르트(Wipperfürth)에 정착한다.

3. 선수 경력

원래 전문적인 프로선수가 아닌 학교 교사를 준비하며 SSV 마린하이데, 바이어 04 레버쿠젠, VfR 비퍼퓌르트, VfL 오스나브뤼크에서 활동을 했는데 우도 라테크가 활동하던 시기는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인 각 지역 리그 시절이었기 때문에 기록을 찾기가 힘들다. 그 당시에는 몇몇 팀을 제외하곤 거의 아마추어 구단이나 다를 바가 없었다. 1963년 분데스리가가 출범하고 나서야 본격적으로 프로생활은 했지만 거의 2부리그에서 프로생활을 보냈다.

4. 지도자 경력

1965년 독일 축구협회와 계약을 맺고 독일 청소년 팀을 맡았고 동시에 데트마어 크라머와 더불어 당시 서독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인 헬무트 쇤을 보좌하는 수석코치로 임명되어 독일 대표팀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준우승을 이끌었다.

1970년까지 서독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석코치를 맡은 우도 라테크는 1970년 프란츠 베켄바워의 추천을 받아 FC 바이에른 뮌헨의 감독으로 임명된다. 선수시절에도 무명이었고 5년 동안 국가대표팀 수석코치를 맡은 것 외에는 지도자 경력이 전무하여 논란이 있었으나 베켄바워같은 에이스의 추천이 있었고 게다가 당시 우도 라테크의 나이는 35살로 선수들과 그리 나이차이가 많지 않다는 점이 오히려 선수들의 단합에 큰 도움이 되었다.

프란츠 베켄바워, 제프 마이어, 한스-게오르그 슈바르첸벡, 파울 브라이트너, 울리 회네스게르트 뮐러 같은 명 선수들을 지도하여 5시즌 동안 분데스리가 3회 연속 우승, DFB 포칼 1회 우승, 유러피언컵 1회 우승을 차지했다. 다만 이 시기에 우도 라테크는 선수빨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들었고 게다가 마지막 시즌인 1974/75 시즌 중간에 해고당한다. 그 뒤 임명된 감독이 베켄바워의 추천을 받은 데트마어 크라머. 그런데 사실 그 당시에 해고 당할 만도 한게 전 시즌인 1973/74 시즌에 리그 우승과 유로피언 컵을 우승했지만 정작 해당 시즌인 1974/75 시즌에는 성적 추락을 하였고 후임 감독인 데트마어 크라머가 그나마 성적을 끌어올린 것이 리그 10위일 정도로 74/75 시즌의 우도 라테크는 최악이었다.

우도 라테크의 해고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는데 1974/75 시즌 팀 성적이 추락하자 겨울 휴식기간에 우도 라테크 당시 바이에른 뮌헨 회장인 빌헬름 노이데커을 찾아가 그에게 '우리는 변화가 필요하다.'라고 하자 회장은 '맞아, 우리는 변화가 필요하지. 그래서 너는 해고야' 라고 대답과 함께 그 자리에서 바로 해고 당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w.derwesten.de/0026841105-0055922895.jpg
글라트바흐의 황금기, 좌로부터 울리 슈틸리케, 우도 라테크, 유프 하인케스, 베르티 포크츠.

바이에른 뮌헨을 떠난 우도 라테크는 곧바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감독이었던 헤네스 바이스바일러의 후임 감독으로 임명된다. 묀헨글라트바흐에서 유프 하인케스, 알란 시몬센, 베르티 포크츠, 라이너 본호프, 울리 슈틸리케, 헤르베르트 비머를 지도하며 1975/76 시즌에는 친정팀인 바이에른 뮌헨을 승점 4점차로, 1976/77 시즌에는 준우승팀인 샬케 04를 승점 1점차로 따돌리며 극적으로 리그 2연패에 성공하며 빌헬름 노이데커 회장에게 빅엿을 먹인다. 그 외에도 1976/77 유러피언컵 준우승, 1978/79 시즌에는 세르비아의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상대로 유에파컵 우승을 차지한다. 유에파컵 우승 직후 우도 라테크는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감독직을 사임한다.

2년 뒤인 1981년 엘레니오 에레라 감독의 후임으로 FC 바르셀로나 감독으로 임명된다. 하지만 그 시기는 바스크 구단인 레알 소시에다드아틀레틱 클루브이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절로 리그에서는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1981/82 시즌 컵위너스컵 우승에 그치며 바르셀로나를 떠난다.

곧바로 1983년 이번에는 울리 회네스의 추천으로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컴백한다. 4시즌동안 칼 하인츠 루메니게, 로타어 마테우스, 파울 브라이트너, 클라우스 아우겐탈러, 롤란트 볼파르트, 디터 회네스 같은 선수들을 앞세워 3차례의 분데스리가 우승과 1차례의 DFB 포칼 우승을 차지한다. 유럽 대항전에서는 1986/87 유로피언 컵 결승전까지 진출했으나 FC 포르투에게 패하여 준우승에 머무른다. 준우승 직후 바이에른 뮌헨 감독직에서 물러난다.

그 이후 1991년 FC 쾰른 감독으로 임명되었으나 1경기만 지휘한 뒤 사임하였고 1992/93 시즌에는 6개월간 FC 샬케의 임시감독으로 임명되어 감독직을 수행하였다.

14개의 메이저 타이틀을 차지한 우도 라테크는 1993년, 지금 기준으로는 이른 나이인 58세에 은퇴를 선언하고 그 뒤 TV 해설과 신문 칼럼 등을 작성하는 일에 집중한다. 그러는 도중 2000년 당시 1999/2000 분데스리가에서 강등 위기에 처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러브콜을 받고 임시 감독으로 임명되어 시즌 막판 5경기를 지휘한다. 당시 도르트문트는 강등권과 불과 1점차였는데, 5경기 동안 2승 2무 1패를 기록하며 도르트문트를 분데스리가에 잔류시키고 마티아스 자머에게 감독직을 물려준다. 그의 마지막 경기는 75,000명의 관중이 온 가운데 열린 헤르타 BSC 베를린과의 원정경기로 도르트문트의 3-0 승리였다.

2000년 도르트문트 임시 감독직을 지낸 이후 다시 TV해설, 신문 칼럼 등을 작성하다 2015년 1월 31일 새벽, 결국 숨을 거두었다. 죽기 직전까지 파킨슨병으로 인한 치매를 앓았다고 한다.

5. 기타

1978년 보루시아 MG를 이끌고 일본 재팬컵에 참가해서 차범근이 이끄는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을 상대한 적이 있다. 이 경기 후 당장 분데스리가에서도 통할 선수라고 차범근을 높이 평가하였다.

6. 기록

6.1. 대회 기록

6.2. 개인 수상

7. 둘러보기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우승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1955-56
비야롱아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6-57
비야롱아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7-58
카르닐리아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8-59
카르닐리아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9-60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0-61
구트만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1-62
구트만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2-63
로코
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
1963-64
에레라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63~1979).svg
1964-65
에레라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63~1979).svg
1965-66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6-67
스타인
파일:셀틱 FC 로고(1965~1977).svg
1967-68
버스비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1960~1970).svg
1968-69
로코
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
1969-70
하펠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1960~1973).svg
1970-71
미헬스
파일:AFC 아약스 로고(1928~1991).svg
1971-72
코바치
파일:AFC 아약스 로고(1928~1991).svg
1972-73
코바치
파일:AFC 아약스 로고(1928~1991).svg
1973-74
라테크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4-75
크라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5-76
크라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6-77
페이즐리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svg
1977-78
페이즐리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svg
1978-79
클러프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1974~2000).svg
1979-80
클러프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1974~2000).svg
1980-81
페이즐리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svg
1981-82
바튼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1973~1987).svg
1982-83
하펠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1983-84
페이건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svg
1984-85
트라파토니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2~1989).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2~1989, 하얀 배경).svg
1985-86
제네이
파일: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로고(1972~1991).svg
1986-87
조르즈
파일:FC 포르투 로고(1986~1995).svg
1987-88
히딩크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1982~1990).svg
1988-89
사키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1989-90
사키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1990-91
페트로비치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1991-92
크루이프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
1992-93
후탈스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1972~1993).svg
1993-94
카펠로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1994-95
반 할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95-96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6-97
히츠펠트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1997-98
하인케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97~2001).svg
1998-99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1999-00
델 보스케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97~2001).svg
2000-01
히츠펠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96~2002).svg
2001-02
델 보스케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02-03
안첼로티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3-04
무리뉴
파일:FC 포르투 로고(2002~2010).svg
2004-05
베니테스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05-06
레이카르트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06-07
안첼로티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7-08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08-09
과르디올라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09-10
무리뉴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14~2021).svg
2010-11
과르디올라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11-12
디 마테오
파일:첼시 FC 로고.svg
2012-13
하인케스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3-14
안첼로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4-15
엔리케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15-16
지단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6-17
지단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7-18
지단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8-19
클롭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19-20
플릭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17~2024).svg
2020-21
투헬
파일:첼시 FC 로고.svg
2021-22
안첼로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22-23
과르디올라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2023-24
안첼로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24-25
▶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준우승 감독
}}}}}}}}}}}}}}}}}}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준우승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1955-56
바토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1931~1991).svg
1956-57
베르나르디니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1963~1967).svg
1957-58
비아니
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
1958-59
바토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1931~1991).svg
1959-60
오스발트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57~1965).svg
1960-61
오리사올라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60~1974).svg
1961-62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2-63
리에라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3-64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4-65
슈워츠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5-66
게기치
파일:FK 파르티잔 로고(1958~1992).svg
1966-67
에레라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63~1979).svg
1967-68
글로리아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8-69
미헬스
파일:AFC 아약스 로고(1928~1991).svg
1969-70
스타인
파일:셀틱 FC 로고(1965~1977).svg
1970-71
푸스카스
파일:파나티나이코스 FC 로고(1970~1974).svg
1971-72
인베르니치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63~1979).svg
1972-73
비츠팔레크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31~1977).svg
1973-74
로렌소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69~1979).svg
1974-75
암필드
파일:리즈 유나이티드 FC 로고(1973~1976).svg
1975-76
허빈
파일:AS 생테티엔 로고(1968~1978).svg
1976-77
라테크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1970~1999).svg
1977-78
하펠
파일:클뤼프 브뤼허 KV 로고(1965~1978).svg
1978-79
호튼
파일:말뫼 FF 로고(1979).svg
1979-80
제베츠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1980-81
보슈코브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81-82
체르너이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9~1996).svg
1982-83
트라파토니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2~1989).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2~1989, 하얀 배경).svg
1983-84
리드홀름
파일:AS 로마 로고(1980~1991).svg
1984-85
페이건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svg
1985-86
베너블스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
1986-87
라테크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9~1996).svg
1987-88
토니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88-89
요르더네스쿠
파일: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로고(1972~1991).svg
1989-90
에릭손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90-91
후탈스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1972~1993).svg
1991-92
보슈코브
파일:UC 삼프도리아 로고(1984~1997).svg
1992-93
카펠로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1993-94
크루이프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
1994-95
카펠로
파일:AC 밀란 로고.svg
1995-96
판할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96-97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7-98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8-99
히츠펠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96~2002).svg
1999-00
쿠페르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2000-01
쿠페르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2001-02
토프묄러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2002-03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2003-04
데샹
파일:AS 모나코 FC 로고(2001~2013).svg
2004-05
안첼로티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5-06
벵거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2006-07
베니테스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07-08
그랜트
파일:첼시 FC 로고.svg
2008-09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09-10
판할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0-11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11-12
하인케스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2-13
클롭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13-14
시메오네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80~2016).svg
2014-15
알레그리
파일:유벤투스 FC 로고(2004~2017).svg
2015-16
시메오네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80~2016).svg
2016-17
알레그리
파일:유벤투스 FC 로고(2004~2017).svg
2017-18
클롭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18-19
포체티노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2019-20
투헬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2020-21
과르디올라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2021-22
클롭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22-23
인자기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2023-24
테르지치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24-25
◀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우승 감독
}}}}}}}}}}}}}}}}}} ||

[1] 스트라이커[2] 유러피언컵, UEFA컵, 유러피언 컵위너스컵.[3] 1938년 나치의 비독일어 지명 청산에 따라 부센(Bussen)으로 지명이 바뀌기도 했다. 현 폴란드 보제(Boż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