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6-10-07 22:45:08

현대자동차의 엔진 목록


1. 개요2. 독자개발 엔진
2.1. 가솔린 엔진2.2. 디젤 엔진
3. 공동개발, 라이센스 혹은 인수 생산 엔진
3.1. 가솔린 엔진3.2. 디젤 엔진

1. 개요

현대자동차에서 개발, 생산하는 혹은 생산하던 엔진을 엔진의 크기와 개발 연도의 오름차순(작은 엔진이 위쪽으로, 크기가 같다면 오래된 엔진이 위쪽으로)으로 열거합니다. 독자개발한 가솔린 엔진그리스어 알파벳, 디젤 엔진영어 알파벳 명을 주로 사용하며 형식명도 따로 존재합니다.

2. 독자개발 엔진

2.1. 가솔린 엔진

2.2. 디젤 엔진

3. 공동개발, 라이센스 혹은 인수 생산 엔진

3.1. 가솔린 엔진

3.2. 디젤 엔진



[1] 120ps는 D4AL/140ps는 D4DA로, 이 엔진의 전신격으로는 자연흡기 모델인 D4AN/D4AF, 터보차저 모델인 D4AK/D4AE가 있다.[2] 1세대 그랜버드가 파워텍 엔진을 장착했었을 때 초기형에는 L380EUI라고 스티킹되어 있었다. 이후 추가된 410마력은 410PS POWERTEC 엠블렘이 달렸다.[3] 호남고속에서 출고한 아스트로닉 미션이 달린 차량의 엔진이 H420. 아스트로닉은 H에만 선택이 가능하다.[4] 2004년까지 쓰인 초기형(D6CA)은 12,920cc이다. 수정된 엔진의 코드는 D6CB, 최근에는 유로6 엔진으로 개선되면서 12.7L 로 배기량이 커졌다.[5] 가장 강력했던 게 410마력 D8AX V8 터보 인터쿨러 엔진.[6] 초기형은 320마력부터 시작했다. 에어로 스페이스 LD/LS에만 장착.[7] 그 이전에도 아시아자동차와 현대자동차에 의해 8DC9 라는 이름으로 1981년부터 완제품 형태로 직수입 되어 사용되었다.[8] 아이러니하게도 일본 본국에서는 8DC11 엔진이 2000년에 배출가스 규제를 맞추기 위해 마지막 개량을 거친 뒤 내수 차량용으로 2005년까지 쓰였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내수 차량용으로는 2000년에 단종되었으나 한국에서는 내수 차량용으로 디젤이 2008년, CNG가 현재까지도 생산중인 6D2x 계열 엔진과 반대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