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민중동맹 | 조선인민당 | 한국독립당 | ||
| | | 최동오 | | |
신진당 | 조선인민당 | 서북대표 | |||
김붕준 | 홍명희 | | | | |
조선인민당 | 조선인민당 | 근로대중당 | |||
| | | | | |
변호사 | 애국부인회 | 여자국민당 | |||
이봉구 | | 황신덕 | 박승호 | 박현숙 | |
사회민주당 | 언론계 | ||||
| | | 장연송 | | |
서북대표 | 신진당 | 서북대표 | |||
| | | | | |
기독교청년회 | 가톨릭 | 사회노동당 | |||
변성옥 | | 김법린 | 장면 | 장건상 | |
한국독립당 | 한국독립당 | 서북대표 | |||
조완구 | | | 엄항섭 | | |
민중동맹 | 한국독립당 | 한국민주당 | |||
| | 이순탁 | 엄우룡 | | }}} }}}}}}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명문가 왕산 허위 일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ddd> 성명 | 서훈 내역 | 비고 |
첫째 허훈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위의 백형 | |
셋째 허겸 | 건국훈장 애국장 (1991) | 허위의 계형 | |
넷째 허위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 | 본인 | |
허형 | 건국훈장 애국장 (1991) | 허위의 장남 | |
허규 | - | 허형의 삼남 | |
허은 | 건국훈장 애국장 (2018) | 허발의 장녀 | |
사촌 허필 | 건국포장 (2019) | 허위의 종제 | |
이기영 | 건국훈장 애국장 (2002) | 허위의 사위 | |
이병화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허은의 배우자 | |
이준형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이병화의 부친 | |
이상룡 | 건국훈장 독립장 (1962) | 이병화의 조부 | |
이원기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장남 | |
이육사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차남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 허규 許珪 | Heo Gyu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호 | 일헌(一軒) |
출생 | 1884년 |
사망 | 1957년 (향년 72~73세) |
본관 | 하양 허씨 |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2. 생애
1884년 허형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관립한성외국어학교에서 공부했다. 1919년 3.1 운동, 1925년 대한광복회 사건에 참여해 옥고를 치렀다. 이후 한반도에 거주하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선건국동맹에서 주로 활동했다.해방 후 평소 친분이 있었던 여운형이 주도한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 1946년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에 선임되었다.
사임 후에는 대구로 내려가 아양음사를 창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