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20:37:35

해빙(SBS)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목이 같은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해빙(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9시 드라마 (1992~1995)
궁합이 맞습니다
(1992)
사랑하는 당신
(1992~1993)
한강 뻐꾸기
(1993)
친애하는 기타 여러분
(1993~1994)
이 남자가 사는 법
(1994)
좋은걸 어떡해
(1994)
서울 야상곡
(1995)
사랑은 블루
(1995)
우리들의 넝쿨
(1995)
다시 만날 때까지
(1995)
10시 드라마 (1992~1995)
유심초
(1992)
이 남자가 사는 법
(1994)
사랑은 없다
(1994)
파일:모래시계 로고.png
(1995)
다시 만날 때까지
(1995)
아스팔트 사나이
(1995)
신비의 거울속으로
(1995)
째즈
(1995)
해빙
(1995)
}}}}}}}}}}}}}}} ||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여담

1. 개요


1995년 11월 8일부터 1995년 12월 28일까지 방영되었던 SBS 창사 5주년 특별기획 수목드라마로, 안동일 작가가 1993년에 지은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며 극본은 권인찬, 연출은 이강훈 PD, 조연출은 이용석 & 정효 PD, 촬영은 서득원 & 손장하, 종합편집은 이찬근, 미술감독은 윤희윤, 음악은 고병준, OST 작/편곡은 유영선 등이 각각 맡았다.

2. 특징

작중 시대 배경은 1986년~1995년 사이이며,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을 취재하던 남한 방송사 기자 한상우(이성용 분)와 북한 외무성 소속 엘리트 정복영(황수정 분) 사이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재미교포들의 통일운동과 갈등, 제3국을 통한 이산가족 상봉 등을 통해 분단의 아픔과 현실적 통일에 대한 희망을 담고자 했다. 1979년 <레만호에 지다(KBS)>, 1990년 <지워진 여자(KBS2)>, 2019년 <사랑의 불시착(tvN)>과 같이 몇 안 되는 남북한 연인 간의 금지된 사랑이라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이룬다.(동아일보 기사)

같은 해 상반기에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MC로 얼굴을 알린 황수정의 첫 정규 드라마 출연작이기도 하며, 5개월 전 MBC 6.25 특집극 <칠갑산>에 이어 주연급을 연이어 맡아 화제를 모았다. 또한 케이블 음악채널 엠넷 VJ이던 김수경은 이 드라마에서 배우로 데뷔했다. SBS는 제작비 13억원을 들여 미국 뉴욕 및 마이애미, 중국, 러시아 모스크바, 스위스 제네바 등지를 돌며 해외 로케촬영을 과감히 해냈고,[1] 북한이 배경일 경우 극중 영상과 기존 자료화면을 합성했다.

그러나 당시 남북관계가 여전히 냉각된 사회적 분위기상 1995년 5월 제작결정 이후 국가안전기획부 측은 대본 내용 중 "북한에 대한 환상을 가질 우려가 있다"고 하여 일부 삭제를 요구하자 임수경 평양축전 참가 파트가 짤렸고, 안기부 측은 본작 시놉시스를 요구하거나 대본, 촬영녹화 테이프 등에 검열을 시도하기도 했다. 창원 경남도청 부근에 세운 오픈세트장은 촬영허가가 번복되어 이틀밖에 못 썼고, 김일성 동상 모형도 충남대학교 교정에 세우려 했으나 관계자들의 우려 탓에 서울 올림픽공원으로 옮겨야 했다.(동아일보 기사) 결정적으로 경쟁사 MBC의 <제4공화국>에 밀려 아예 묻혔다.

종영 후 2000년대 중반부터 SBS 홈페이지를 통해 다시보기 서비스를 개시했다.

3. 등장인물

4.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제작 과정에서 현지 자회사 SBS USA(현 SBS 인터내셔널), 중국 CCTV 등이 협조했다.[2] 야구선수와 동명이인.[3] 전 KBS 사장과 동명이인으로, SBS 공채 5기 탤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