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37321,#f37321><colcolor=#fff> 계열사 | |
지주회사 | 한화 (글로벌 | 건설) | |
우주항공·방산·기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비에이션) | 한화시스템 | 한화비전 (한화세미텍) | 한화모멘텀 | 한화로보틱스 | 한화컴파운드 | VISIONEXT | 한화NxMD | 한화이센셜 | 한화첨단소재 | 한화인텔리전스 | |
에너지·소재·선박 | 한화솔루션 (한화글로벌에셋) | 한화오션 (한화오션에코텍 | 한화오션디지털 | 한화오션산동) | 한화에너지 (컨버전스 | 한화신한테라와트아워 | 에스아이티테크 | 대산그린에너지) | 한화임팩트 (파워시스템즈엠에프지코리아 | 한화솔라파워) | 한화파워시스템 | 한화토탈에너지스 | 한화엔진 | 한화첨단소재 | 여천NCC | |
금융 | 한화생명 | 한화손해보험 | 한화자산운용 | 한화투자증권 | 한화저축은행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 캐롯손해보험 | 히어로손해사정 | 한화라이프랩 | 피플라이프 | 한화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유통·서비스 | 한화호텔&리조트 (한화63시티 | 한화푸드테크 | 한화넥스트 | 한화에스테이트서비스) | 한화갤러리아(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에프지코리아 | 베러스쿱크리머리) | 아쿠아플라넷 (제주해양과학관 | 여수씨월드 | 일산씨월드) | 한화커넥트 | 아워홈 | 한화B&B | |
교육 | 북일학원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 |
부동산 | 서오창테크노밸리 | 안성테크노밸리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 김해테크노밸리 | 에이치밸리 | 수서역환승센터복합개발 | |
벤처/투자 | 뉴블라코리아 | 그로들 | |
스포츠단 | 한화 이글스 | 한화생명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 한화큐셀 골프단 | 한화갤러리아 승마단 | |
행사 | 서울세계불꽃축제 |
<colbgcolor=#f37321,#f37321><colcolor=#fff> 한화갤러리아 Hanwha Galleria | |
| |
국가 |
|
정식 명칭 |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 |
영문 명칭 | Hanwha Galleria Co., Ltd. |
업종명 | 백화점 |
창립일 | 1976년 9월 28일[1] |
설립일 | 2023년 3월 1일[2]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 (여의도동) |
대표이사 | 김영훈 |
기업 규모 | 대기업 |
상장 여부 | 상장 기업 |
상장 시장 | 유가증권시장 (2023년 ~ 현재 / 452260) |
시가 총액 | 3290억 원(2023.05.11 기준) |
링크 |
1. 개요
한화의 유통 계열사로 본사는 과거엔 서울광장의 서울플라자호텔[3] 옆에 있는 한화금융플라자 빌딩에 있었지만 2016년 8월 29일 여의도 63빌딩으로 이전했다.2. 역사
|
한화유통 시절 로고 |
중동건설 붐이 꺼지면서 모기업의 경영이 어려워져 산업합리화 대상기업으로 지정되었으며, 1985년 파르코점 개점 후 한국화약그룹이 인수하였다. 1989년 충남 천안에 '한양백화점' 1호점을 열고 1990년 '갤러리아' 명품관을 세웠다. 1995년 한화유통으로 사명을 바꾸고 1997년 백화점 브랜드를 전부 '갤러리아'로 통일했다. 1999년 제일특산을 합병한 후 이듬해 대전 동양백화점을 인수했다. 2003년 한화스토아 및 한화마트를 롯데쇼핑에 매각하고, 2007년 한화갤러리아로 개칭했다.
2021년 4월 1일 한화솔루션에 흡수합병되어 한화솔루션 산하 갤러리아 부문으로 개편됐다가, 2023년 3월 인적분할 되어 독립 기업으로 다시 설립 했으며, 한화솔루션 산하로 편입되며 폐지됐던 주식은 동월 21일 재상장했다.
3. 지배 구조
2025년 3월 기준.<rowcolor=#ffffff> 주주명 | 지분율 |
한화 | 36.31% |
김동선 | 16.85% |
한화솔루션 | 1.39% |
북일학원 | 0.15% |
4. 외식 사업
4.1. 파이브 가이즈
2022년 한화갤러리아가 갤러리아백화점에 파이브 가이즈 입점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이 들려오며 마침내 한국 상륙 초읽기에 들어갔다.# 동년 10월 5일, 김동선 한화호텔&리조트 상무가 한화갤러리아를 통한 한국 상륙을 공식화했다.#파이브 가이즈의 국내 운영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3남인 김동선 갤러리아백화점 전략본부장이 직접 담당한다. 김 본부장은 한국 진출을 고민하던 파이브가이즈를 설득해 파트너사로 계약을 체결한 일등공신이다.#
한화갤러리아는 6월 서울 강남역과 신논현역 사이 강남대로에 파이브 가이즈 국내 1호점인 강남점을 개점했다.
한화갤러리아는 미국 유명 햄버거 브랜드 파이브 가이즈 운영을 맡을 자회사 에프지코리아를 설립한다고 5월 1일 밝혔다. 한화갤러리아가 지분 100%를 보유한다.#
4.2. 철수한 사업
- 빈스앤베리즈 - 2006년부터 운영하던 카페 프렌차이즈이며, 2011년에는 2015년까지 100호점을 낸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카페 프렌차이즈의 경쟁 격화로 전국적인 확장은 어려움을 겪였다. 결국 2013년 한화갤러리아에서 분할되어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하였다. 2025년 7월 기준 전국에 13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 유동 - 로봇이 조리하는 우동 판매점. 2025년에 진출하였으나 종로점이 개점 한 달만에 폐점하는 등 상당히 고전하고 있다. 사실상 철수 수순.
- 파스타X - 역시 로봇이 조리하는 파스타를 판매하는 식당. 2023년 4월 개점했으나 2025년 3월 폐점하였다. 주 메뉴인 우동의 가격이 2천원 수준인 유동도 그렇고 파스타X 역시 "명품관"으로 대표되는 고급스러운 갤러리아백화점의 이미지에는 전혀 맞지 않아 왜 진출한 건 지 의아하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5. 역대 임원
5.1. 구 법인
- 대표이사 회장
- 배종렬 (1979~1985)
- 김승연 (2007~2014)
- 부회장
- 가갑손 (1996)
- 대표이사 사장
- 대표이사 부사장
- 김성홍 (1989~1991)
- 가갑손 (1991~1992)
- 박세훈 (2012~2014)
- 김은수 (2018~2021)
- 대표이사 전무
- 홍순대 (1979~1982)
- 최상순 (1996~1999)
- 황용기 (2009~2012)
- 황용득 (2014~2018)
5.2. 한화솔루션 갤러리아부문 대표이사
- 김은수 (2021~2023)
5.3. 신 법인
- 김은수 (2023)
- 김영훈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