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00:00:13

한진빌딩


파일:한진그룹 로고 다크.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white> 계열사
항공 <colbgcolor=#ffffff,#1c1d1f>대한항공 | 진에어 | 한국공항 | 에어코리아 | 코리안에어항공서비스 |
아시아나항공 | 에어부산 | 에어서울 | 아시아나에어포트 | 아시아나스태프서비스
물류 한진 (한진택배)
관광·호텔·부동산 한진관광 | 칼호텔네트워크 (그랜드 하얏트 인천 · 서귀포 KAL호텔) | 정석기업 | 호미오세라피 | 아시아나티앤아이
정보 서비스 한진정보통신 | 토파스여행정보 | 싸이버스카이 | 한국글로벌로지스틱스 | 아시아나IDT | 아시아나세이버
비영리 법인정석인하학원 | 일우재단 | 양현재단 |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해외법인한진인터내셔널 (윌셔 그랜드 센터)
과거 계열사
파산 한진해운
매각 한진고속 | 한진렌터카 | KAL 리무진
독립 한진중공업 | 한진투자증권 | 동양화재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역대 대한민국 최고층 마천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7a0><colcolor=#ffffff> 1969년~1970년 한진빌딩 82.8 m / 23층
1969년 완공
서울특별시 중구
1970년~1978년 삼일빌딩 114 m / 31층
1970년 완공
서울특별시 종로구
1978년~1985년 롯데호텔 서울 본관 138 m / 38층
1978년 완공
서울특별시 중구
1985년~2003년 63빌딩 249.6 m / 60층
1985년 완공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2003년~2004년 목동 하이페리온 A동 256 m / 69층
2003년 완공
서울특별시 양천구
2004년~2011년 타워팰리스 3차 G동 263.7 m / 69층
2004년 완공
서울특별시 강남구
2011년~2014년 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 101동 300 m / 80층
2011년 완공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2014년~2017년 포스코타워-송도 305 m / 65층
2014년 완공
인천광역시 연수구
2017년~ 롯데월드타워 554.5 m / 123층
2017년 완공
서울특별시 송파구 }}}}}}}}}

<colbgcolor=#002f87><colcolor=#fff> 한진빌딩
韓進빌딩 | KAL Building
파일:한진빌딩.jpg
주용도 업무시설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63
(소공동 32-7)
착공 1968년 3월 1일 ([age(1968-03-01)]주년)
완공 1969년 9월 5일 ([age(1969-09-05)]주년)
층수 23층
높이 82.8m
건축면적 1,719.58㎡
연면적 40,921.65㎡
소유자 정석기업

1. 개요2. 역사
2.1. 전반2.2. 초기
3. 현재

1.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63[1]에 위치한, 1969년 완공된 한진그룹의 사옥.

2. 역사

2.1. 전반

1968년에 착공되었으며 1969년에 완공되었다. 1970년 10월 31일 110m 높이의 삼일빌딩이 완공되기 전까지 82.8m로써 대한민국 최고층 마천루였다. 마천루 하면 적어도 100m 후반대 건물을 생각하는 요즘엔 흔한 건물1에 불과한 수준이다.

신라 시대 황룡사 9층 목탑이 가지고 있던 한반도 최고층 건축물이라는 자리를 무려 1315년만에 탈환한 건물이다. 기록에 따르면 황룡사가 262이라고 나오는데, 이는 약 78.7m~81m정도의 높이다. 한진빌딩보다 1~4m정도 작다.

2.2. 초기

파일:KAL_초기.jpg
한진빌딩 준공식
초창기 모습이 옛 세계무역센터AON 센터와 닮았고, 나름 국내 최고층 마천루 아니랄까봐 준공식도 상당히 성대하게 치렀으며 헬리포트까지 있었다. 100m 안 되는 높이에 헬리포트까지 설치한 것을 보면 당대 사람들은 이 정도 높이의 건물도 매우 크게 느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3. 현재

배너 사진과 같이 겉을 리모델링 했다. 기존의 채도가 없던 건물에서 푸른 유리와 한진 로고로 색깔이 풍부해졌다. 상층부에 식당이 좋다는 평이 많다.
[1] 소공동 32-7[2] 이보다 높은 삼일빌딩도 기억되지 못하고 그 이유가 워낙 흔한 높이 급으로 강등된 것으로 볼 때 한진빌딩은 택도 없다. 80미터대는 이제 대한민국에 널리고 널렸지만 그나마 대한민국 최초 유사마천루로써 이름이 있는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