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4 03:56:57

노인복지당

한누리평화통일당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단일쟁점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창당) 노인복지당 (현재)



(개별 합류)[1]
}}}}}} ||
<nopad> 파일:logo-default7.png
노인복지당
<colcolor=#EA5404> 영문 명칭 <colbgcolor=#fff>Korea Welfare Party (KWP)
한문 명칭 老人福祉黨
등록 약칭 한누리당 (2016-02-15~2016-03-03)
한누리당 (2016-05-10~2020-01-29)
복지당 (2020-01-29~현재)
슬로건 세계가 부러워하는 일등 복지국가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등록번호 제183호
등록연월일 2016년 2월 15일 (한누리평화통일당)
당명 변경 2016년 3월 3일 (친반평화통일당)
2016년 5월 10일 (한누리평화통일당)
2020년 1월 29일 (한국복지당)
2023년 12월 6일 (노인복지당)
사무소 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2길 14
한국스카우트연맹 5층 (여의도동)
대표자 이경열[2]
사무총장 우아해
국회의원
0석 /
298석 (0%)
광역단체장
0석 / 17석 (0%)
기초단체장
0석 / 226석 (0%)
광역의회의원
0석 / 872석 (0%)
기초의회의원
0석 / 2,988석 (0%)
당 색
주황색 (#EA5404)
스펙트럼 단일 쟁점 (노인 복지 증진)
후원회 노인복지당중앙당후원회 (대표자: 유향화)
당원 수 7,073명
(2023년 12월 31일 기준)[3]
후원당원 수 0명
(2023년 12월 31일 기준)[4]
정당보조금 0원
(2023년 기준)
당비 수입 0원
(2023년 기준)
재산총액 397,332원
(2023년 기준)
공식 사이트 파일:한국복지당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한누리평화통일당 시절2.2. 한국복지당 이후
3. 강령 및 정책4. 당명과 로고5. 역대 지도부6. 역대 선거 결과7. 기타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중도개혁주의, 복지국가론 정당.

2016년 2월 15일에 제14~16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호일[5]한누리평화통일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하였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 당명을 친반평화통일당으로 변경했다가 총선 이후 '한누리평화통일당'으로 환원했다. 2017년 12월 3일 '한누리복지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겠다고 홈페이지에 공지하였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는 여전히 한누리평화통일당으로 등록되어 있었다. 이후 3년이 지난 2020년 1월 29일 한국복지당으로 당명을 변경했으며, 다시 3년 뒤인 2023년 12월 6일 노인복지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2. 역사

2.1. 한누리평화통일당 시절

당시 반기문 대망론으로 우후죽순 쏟아지던 친반기문 성향 정당 중 하나로 당 대표 김호일이 스스로를 킹메이커라 자처하거나#친반통일당 등의 비해 비교적 열성적인 홍보와 지지가 들어가, 더욱이 유명하다.

파일:external/m.ilyo.co.kr/1450673327840556.jpg
친반기문에 킹메이커(...)라고는 하지만 실상은 사실 군소정당에 지나지 않다. 당장 반기문 사무총장의 동생 반기상이 듣도 보도 못했다고 말했을 정도.

반기문이 불출마를 선언한 이후 결국 이러한 친반기문 면모도 사라졌다.

2.2. 한국복지당 이후

당명이 한국복지당으로 바뀐 이후 강령, 당헌이 완전히 바꾸며 다른 성향의 정당이 되었다. 극우와 극좌를 배제하고 중도가치를 지향한다며 중도개혁주의를 내세하나, 역시 당명인 복지에 맞게 복지 확대 또한 주장한다. 완전한 사회보장국가 건설을 목표로 두고 사회민주주의에 근원을 둔 북유럽식 보편적 복지를 주장한다. 이를 위해 국민개세주의를 근간에 두고 경제 상류층에 최고세율을 조정해 재원을 마련한다고 말하는 등 중도지향 정당치고 상당히 진보적인 주장을 펼치는 중이다.

이 밖에 모병제를 주장하거나 사회적 약자, 소수자와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와 복지를 주장하고 있다. 노인 정책을 우선으로 밀고 있다는 인터뷰도 했었는데, # 이때문인지는 몰라도 2023년 12월 당명을 노인복지당으로 변경하였다.

당 자체로만 보자면 인지도도 떨어지지만, 당의 중심 인물인 김호일 전 대표는 국회의원에 세 번 당선된 전력이 있는 데다가 대한노인회 회장을 지내 자주 뉴스에 나오는 등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는 편이다.

3. 강령 및 정책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EA5404><tablebgcolor=#fff,#1c1d1f><bgcolor=#EA5404> ||
노인복지당은 자유민주주의와 공존시장경제를 기본이념으로 인권과 정의가 구현되는 사회, 개인의 자유와 창의가 발현되는 사회, 중산층이 두터워지는 사회, 소외계층의 생활 향상을 도모하며 사회보장제도가 구축되는 완전한 복지국가를 추구하며, 계층 간의 공존을 통한 평화를 이룩하며, 지역주의·정경유착 등 구시대적 정치형태로 인한 사회적 병폐를 일신하고, 정책으로 정치하는 정책정당시대를 실천하며, 한반도의 평화통일과 선진 일류국가를 창조할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대한민국 노인(만65세) 인구가 1,000만명을 초과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현실에서 OECD가입 국가중 노인 빈곤율 1위, 자살율 1위 라는 오명을 벗어나기 위해, 대한민국 노인들의 보다 나은 삶을 도모하여, 오늘날 세계 10대 무역 강국의 반열에 오르게 한 주역이 현 노인세대임을 인식하고 세대갈등의 벽을 허물고 노년 세대와 젊은 세대 모두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정책적 정당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11월 24일 개정당헌 중
||

4. 당명과 로고



파일:external/e6556579aac70dd32556997fb8619f2f673cad3037059385f1b3892d0e02be6f.jpg 파일:external/hanpeace.kr/logo.gif 파일:logo-default.png 파일:한국복지당.png 파일:한국복지당 로고.svg
<rowcolor=#fff> 친반평화통일당 한누리평화통일당 한국복지당

5. 역대 지도부

파일:한국복지당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호일
제2대
이경열
}}}}}}}}}}}}

6. 역대 선거 결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6.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14898><table bgcolor=#fff,#1F2023><rowbgcolor=#014898><rowcolor=#fff>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비례대표 (득표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2016년 20대 0 / 253 (0.00%) 미참여 0 / 300 (0.00%) 원외정당

친반평화통일당 시절 선거에 참여하였다. 비례대표는 참가하지 않았으며 지역구로는 대구광역시에 1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6.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EA5404><table bgcolor=#fff,#1F2023><rowbgcolor=#EA5404><rowcolor=#fff>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비례대표 (득표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2020년 21대 0 / 253 (0.00%) 0 / 47 (0.06%) 0 / 300 (0.00%) 원외정당

'한국복지당'이라는 당명으로 선거에 참여하였다. 지역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을[7] 선거구에 산업통상자원부 사무관을 지낸 민정기 무극정기(주) 대표가 출마하였다. 현재 이 선거구의 현역 의원은 더불어민주당박홍근이다. 비례대표에서는 김호일 대표를 포함하여 총 4명의 후보가 출마하였다.

선거 결과, 지역구의 민정기 후보는 최하위로 낙선하였고, 비례대표도 0.06%라는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여 1석도 획득하지 못하였다.

6.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rowcolor=#fff> 연도 선거명 기초의원 (비율)
2022년 8회 0 / 2,988 (0%)
강원도 원주시의회 비례대표에 김이준 후보가 출마했으나, 1,447표(0.94%)를 얻어 최하위로 낙선하였다.

6.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EA5404><table bgcolor=#fff,#1F2023><rowbgcolor=#EA5404><rowcolor=#fff>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비례대표 (득표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2024년 22대 미참여 0 / 47 (0.05%) 0 / 300 (0.00%) 원외정당

지역구에는 후보를 출마하지 않았고, 비례대표에서만 5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선거 결과, 비례대표 득표율로 0.05%를 획득하였다. 지난 선거보다도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낙선하였다.

7. 기타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eee,#333> 민주 더불어민주당(166), 조국혁신당(12), 민주평화당, 새미래민주당, 소나무당, 열린민주당
보수 국민의힘(107), 개혁신당(3), 가가국민참여신당, 공화당, 국민연합, 국민통합연대, 대한국민당, 한국국민당
진보 진보당(4), 기본소득당(1), 사회민주당(1), 정의당(지방), 노동당, 녹색당, 미래당
중도 국민대통합당, 중도혁신당
극우 가나반공정당코리아, 내일로미래로, 대한당, 새누리당, 우리공화당, 자유민주당, 자유와혁신, 자유통일당
극좌 국민주권당, 민중민주당
혼합 국가혁명당, 한나라당, 한반도미래당, 홍익당
지역 대중민주당
종교 기독당, 태건당
민족 거지당, 대한민국당, 통일한국당, 한국독립당
단일 노인복지당, 대한상공인당, 여성의당, 한국농어민당, 한류연합당
▪️ 의석 수 순으로 정렬.
▪️ ~당(숫자) : 해당 정당이 보유한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 ~당(지방) : 지방자치단체장 혹은 지방의회 의석을 보유한 원외정당
* 2025년 8월 20일 기준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가가국민참여신당 가나반공정당코리아 거지당 공화당
국가혁명당 국민대통합당 국민연합 국민주권당
국민통합연대 기독당 내일로미래로 노동당
노인복지당 녹색당 대중민주당 대한국민당
대한당 대한민국당 대한상공인당 미래당
민주평화당 민중민주당 새누리당 새미래민주당
소나무당 여성의당 열린민주당 우리공화당
자유민주당 자유와혁신 자유통일당 정의당
중도혁신당 태건당 통일한국당 한국국민당
한국농어민당 한국독립당 한나라당 한류연합당
한반도미래당 홍익당
▲: 지방자치단체장 혹은 지방의회 의석이 있는 정당
정당 구분 (원내 · 원외 · 창준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원내정당
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
1석
원외정당
공화당 <nopad>
파일:logo-default7.png
파일:대한상공인당.png
파일:소나무당 로고.svg파일:소나무당 흰색 로고.svg
파일:여성의당 로고.svg
파일:한국농어민당 로고.svg
파일:한류연합당 흰색 로고.svg
파일:자유와혁신 흰색 로고.svg
다른 정당 (극좌 · 진보 · 민주당계 · 제3지대 · 중도 · 보수 · 극우 · 민족 · 대중 · 단일쟁점 · 빅 텐트 · 명망가 · 종교 · 기독교 · 지역 · 호남권 · 혼합 정치 · 비례위성)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박근혜 정부 ~ 문재인 정부
(2012 ~ 2022)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박근혜 정부 이전
정의당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분당
민주당 국민회의 국민의당
더불어민주당으로 합당 국민의당 새누리당에서 분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늘푸른한국당
민주평화당 국민의당
바른미래당 자유한국당에 합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 바른미래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
미래통합당으로 합당
바른미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시대전환 민생당 국민의당
더불어민주당에 합당
새로운물결
더불어민주당에 합당 국민의힘으로 합당
문재인 정부 이후
}}}}}}}}}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윤석열 정부 ~ 현재
(2022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윤석열 정부 이전
정의당 시대전환 민생당 더불어민주당에서 분당 국민의힘에서 분당 한국의희망
국민의힘으로 합당 더불어민주당에서 분당 새로운미래 개혁신당 새로운선택
녹색정의당 소나무당 기후민생당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정의당 개혁신당
민주노동당 민주평화당 새미래민주당
정의당
}}}}}}}}} ||

[1] 김호일 등.[2] 제2대 당대표. 대한노인회 제18대 회장이자 초대 당대표인 김호일한나라당 의원의 부인이다.[3]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4), 2023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4년 11월 29일 확인), p13.[4]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4), 2023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4.11.29.), 2024년 11월 29일 확인.[5] 참고로 김호일은 한나라당 탈당 이후 18대 총선 당시 신미래당, 19대 총선 당시 국민의 힘(정당)을 창당했던 적이 있었으나, 모두 득표율 미달로 해산되었다.[6]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관할[7] 상봉1동,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 묵2동, 망우본동, 신내1동, 신내2동 관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