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7 01:06:50

한국여자프로골프투어/2022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여자프로골프투어/대회 일람
KLPGA 투어 시즌 일람
2021 시즌 2022 시즌 2023 시즌

1. 개요2. 대회 변경점3. 대회 목록
3.1. 4월3.2. 5월3.3. 6월3.4. 7월3.5. 8월3.6. 9월3.7. 10월3.8. 11월
4. 타이틀 순위
4.1. 상금/다승4.2. 대상포인트4.3. 평균타수4.4. 신인상포인트
5. LF포인트 왕중왕전

[clearfix]

1. 개요

한국여자프로골프투어의 2022 시즌에 대해 서술한 문서. 메이저 대회는 볼드체로 처리했다.

2. 대회 변경점

3. 대회 목록

3.1. 4월

3.2. 5월

3.3. 6월

3.4. 7월

3.5. 8월

3.6. 9월

3.7. 10월

3.8. 11월

4. 타이틀 순위

파일:2022 KLPGA 타이틀 수상자.png
대상 상금왕 신인상 다승왕 최저타수상
김수지
동부건설
박민지
NH투자증권
[2Y]
이예원
KB금융그룹
박민지
NH투자증권
[2Y]
김수지
동부건설

박민지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상금, 다승 1위에 올랐다. 다만, 대상 수상자가 박민지가 아닌 김수지라는 점에서 문제가 생겼는데, 그 부분은 대상포인트 문단에서 자세히 적어놓았다.

신인상의 경우 5년 만에 우승 없는 신인상이 탄생했다. 하지만 세부 성적을 보면 '이게 우승 0회?'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기에 과거 무관의 신인상을 수상한 선수들과는 큰 차이.

4.1. 상금/다승

<rowcolor=#fff> 순위 선수 상금 우승 수령대회수 참가대회수
1 박민지 1,477,921,143원 6 20 22
2 김수지 1,082,580,549원 2 26 27
3 이예원 849,784,000원 0 26 29
4 유해란 829,968,428원 1 27 28
5 임희정 750,137,222원 1 22 25
박민지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KLPGA 투어의 지배자로 군림하며 6승과 함께 역대 단일 시즌 상금 2위 기록을 새로 썼다.

전체적으로 고르게 우승을 기록해 다승을 기록한 선수는 박민지, 김수지, 이소미, 조아연 밖에 없었다. 눈에 띄는 것은 역시 이예원. 우승 없이 상금 8억 돌파와 더불어 3위를 기록했다.

4.2. 대상포인트

<rowcolor=#fff> 순위 선수 포인트 우승 수령대회수 참가대회수
1 김수지 760점 2 17 27
2 유해란 692점 1 17 28
3 박민지 654점 6 12 22
4 이예원 530점 0 13 29
5 지한솔 501점 1 12 29
다승왕과 상금왕을 차지한 박민지가 지난 시즌에 이어 올 시즌도 대상 수상을 할 줄 알았으나, 오히려 각각 2승과 1승을 기록한 김수지유해란이 박민지를 제치고 대상포인트 1, 2위에 오르는 기묘한 상황이 발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김수지, 유해란은 제일 많은 탑텐 피니시인 17차례를 기록했고, 박민지는 12차례를 기록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6승+탑텐 12차례가 1승+탑텐 17차례에 밀리는 것이 과연 맞는가?'라는 의문점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4위에는 우승 없는 이예원이 올랐다. 물론 이예원은 상금 부문 3위에 올랐기에 큰 문제는 없다.[49] 4~8위 또한 탑텐 피니시 횟수 차이[50]에서 갈리긴 했지만, 5~8위는 모두 우승이 있었기에 현행 대상포인트 제도에 더욱 의문부호가 붙었다. 더불어 김수지는 2016 시즌 우승 4회+탑텐 20차례로 691점을 기록한 이정은6을 넘어 760점을 기록하며 역대 최다 대상포인트 신기록을 작성했고, 유해란도 692점을 기록하며 이정은6을 넘었다.

지난 2021 시즌과 비교하면 의문점이 다소 많았는데, 2021 시즌 대상포인트 1~4위는 박민지, 임희정, 장하나, 박현경으로 상금 1~4위와 동일했고, 5, 6위의 이소미와 유해란은 상금 순위와 비교해보면 자리만 맞바꿨을 뿐 동일했다.[51]

이에 따라 2023년 1차 이사회에서 대상포인트 제도의 변경이 결정되었는데, 2024 시즌부터 적용된다.

4.3. 평균타수

<rowcolor=#fff> 순위 선수 평균타수 전체타수 라운드수 참가대회수
1 김수지 70.4713 6,131 87 27
2 유해란 70.5714 6,422 91 28
3 박민지 70.7083 5,091 72 22
4 박지영 70.7143 6,435 91 28
5 윤이나[52] 70.8000 3,186 45 15

4.4. 신인상포인트

<rowcolor=#fff> 순위 선수 포인트 우승 수령대회수 참가대회수
1 이예원 3,001점 0 26 29
2 고지우 2,328점 0 23 29
3 마다솜 2,256점 0 25 29
4 권서연 1,904점 0 20 24
5 김민주 1,832점 0 20 29
2015 시즌 이후 7년 만에 신인상포인트 탑5 모두 우승이 없는 시즌이 되었다. 유일하게 우승을 거둔 윤이나는 오구 사건으로 인해 출장 정지를 받아 8위로 마무리되었다.[53]

우승이 없는 것은 둘째치고, 1~3위의 포인트가 다른 시즌에 비하면 매우 높았다. 8년 전인 2014 시즌과 비교하면 당시 3승을 거두며 신인상을 수상한 백규정은 2311점이었고, 1승을 거두며 신인상포인트 2위였던 고진영은 2221점이었다. 물론 8년 전과 지금은 상금 규모가 많이 차이나긴 하지만, 지난 2021 시즌과 비교해봐도 높다. 당시 신인상 수상자였던 송가은의 포인트는 2177점. 상금 규모가 갈수록 커져갔지만 포인트 제도는 과거 상금 규모가 작을 때의 기준으로 계속 유지되어 컷통과만 잘하면 포인트를 많이 쌓을 수 있는 상황이 되어버렸다.[54]

이예원은 2017 시즌 장은수 이후 5년 만에 무관의 신인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하지만 세부 성적을 보면 이게 우승 0회가 맞냐는 질문이 나올 만큼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는데, 역대 신인상포인트 1위 기록 경신[55], 상금 3위[56], 대상포인트 4위[57]를 기록했기 때문.

2023년 1차 이사회에서 신인상포인트 제도의 변경이 결정되었는데, 이 또한 2024 시즌부터 적용된다. 포인트 자체에는 변화가 없고 구간만 변경하여 이와 같이 포인트가 너무 높아지는 현상을 막기로 했다.

5. LF포인트 왕중왕전

올 시즌을 호령했던 박민지, 김수지는 불참했다. 유해란, 박지영, 이예원, 지한솔, 임희정, 이소미, 박현경, 임진희가 참가했고, 추천 선수로는 허다빈과 김희지가 참가했다.

유해란이 우승하며 포인트 1위는 우승하지 못한다는 징크스를 분쇄했다. 그리고 직후 열린 LPGA Q시리즈에 참가해 수석으로 통과하며 작년 안나린과 똑같은 길을 걷게 되었다.

그리고 다음 시즌에는 왕중왕전이 위믹스 챔피언십으로 대체되며 2013년부터 진행되던 LF포인트 왕중왕전은 이렇게 끝나게 되었다.


[1] 대만여자오픈, 하나금융그룹 싱가포르 여자오픈, 베트남에서 열리는 대회(명칭 미정)[2] 시즌 첫 승, 통산 4승[N] 신설 대회[4] 시즌 첫 승, 통산 4승[WTW]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6] 시즌 첫 승, 통산 5승[7] 시즌 첫 승, 통산 3승[8] 시즌 첫 승, 통산 3승[WTW] [10] 시즌 첫 승, 통산 11승[F] 데뷔 첫 우승[F] [F] [WTW] [15] 시즌 2승, 통산 12승[WTW] [17] 역대 최저타수 우승[18] 시즌 첫 승, 통산 5승[19] 시즌 3승, 통산 13승[20] 시즌 첫 승, 통산 2승[WTW] [22] 시즌 첫 승, 통산 2승[WTW] [F] [WTW] [N] [27] 시즌 2승, 통산 4승[28] 시즌 첫 승, 통산 3승[29] 시즌 첫 승, 통산 6승[F] [F] [32] 2015년 메이저 대회였던 한국여자오픈에서 박성현이 오버파로 생애 첫 우승을 기록했는데, 7년 뒤인 홍지원도 메이저 대회인 한화 클래식에서 오버파로 생애 첫 우승을 거뒀다.[F] [34] 시즌 4승, 통산 14승[35] 시즌 첫 승, 통산 3승[36] 시즌 2승, 통산 4승[37] 시즌 5승, 통산 15승[38] 다른 대회와 달리 변형 스테이플포드 방식으로 진행. 파는 0점, 버디 이상을 기록하면 + 점수를, 보기 이상을 기록하면 - 점수를 얻어, +가 높을수록 좋다.[F] [N] [F] [42] 역대 최저타수 우승[43] 시즌 첫 승, 통산 4승[44] 시즌 2승, 통산 5승[45] 이 대회는 시즌 마지막 대회답게 컷탈락이 없으며, 상금 순위 상위 70명만 참가한다.[46] 시즌 6승, 통산 16승[2Y] 2년 연속 수상[2Y] [49] 우승 없이 대상포인트 4위를 기록한 것은 2017 시즌 박지영 이후 5년 만. 2020 시즌 임희정이 우승 없이 대상포인트 5위를 기록한 이후 최고 기록이다.[50] 이예원은 13차례, 지한솔은 12차례, 정윤지, 박지영, 이소미는 모두 11차례의 탑텐을 기록했다. 그리고 이예원은 13차례의 탑텐 중 11차례(당시 1위)를 탑5에 올라 충분히 4위에 오를만 했다.[51] 당시 이소미와 유해란 모두 우승 2차례를 기록했으나 탑텐 피니시는 이소미가 12차례, 유해란이 10차례를 기록했다.[52] 오구 사건으로 인해 참가 대회 수가 적어 사실상 5위는 그 다음 순위의 임희정.[53] 2015 시즌에도 최혜정2가 우승 1차례를 기록했으나 컷탈락이 많아 7위로 마무리했다.[54] 즉 우승 1회, 상금 13위, 대상포인트 16위였던 송가은보다 우승 0회, 상금 27위, 대상포인트 21위의 고지우, 우승 0회, 상금 39위, 대상포인트 26위의 마다솜이 모두 앞서는 기묘한 상황이 벌어진 것.[55] 종전 1위는 2019년 조아연의 2780점으로, 2승을 기록했다.[56] 849,784,000원을 획득하며 신인상 수상자 중 최다 상금이었던 2018년 최혜진의 822,292,153원을 뛰어넘었으며, 단일 시즌 우승 없는 선수 가운데 최다 상금 기록 또한 경신했다. 종전 기록은 2021년 안나린의 601,862,455원.[57] 530점을 기록하며 2018년 최혜진이 570점을 기록한 이후 역대 2번째로 신인이 500점을 넘겼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6
, 2.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