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14:45:31

박성현(골프선수)

박성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LPGA 로고.svg
2016 KLPGA 상금왕

파일:KLPGA 로고.svg
2016 KLPGA 다승왕

파일:KLPGA 로고.svg
2016 KLPGA 최저타수상

파일:KLPGA 로고.svg 단일 시즌 10억 달성 선수 일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달성 시즌 선수 금액 우승 탑텐 피니시
2014년 김효주
(롯데)
1,208,978,590원 5 18
2016년 박성현
(넵스)
1,333,090,667원 7 13
고진영
(넵스)
1,022,449,332원 3 16
2017년 이정은6
(토니모리)
1,149,052,534원 4 20
2019년 최혜진
(롯데)
1,207,162,636원 5 13
장하나
(BC카드)
1,157,723,636원 2 13
2021년 박민지
(NH투자증권)
1,521,374,313원 6 14
2022년 1,477,921,143원 6 12
김수지
(동부건설)
1,082,580,549원 2 17
2023년 이예원
(KB금융그룹)
1,424,817,530원 3 13
임진희
(안강건설)
1,145,835,048원 4 13
2024년 윤이나
(하이트진로)
1,211,415,715원 1 14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1,133,196,561원 3 13
박지영
(한국토지신탁)
1,112,269,254원 3 11
황유민
(롯데)
1,051,042,290원 1 9
※ 볼드체: 시즌 1위 / 파란색 볼드체: 역대 1위
}}}}}}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c5abb 0%, #ffffff 20%, #ffffff 80%, #2c5abb); margin: 0 -11px -5px; padding: 0px 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서희경
,하이트진로,
이보미
,하이마트,
김하늘
,BC카드,
김하늘
,BC카드,
김세영
,미래에셋,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김효주
,롯데,
전인지
,하이트진로,
박성현
,넵스,
이정은6
,토니모리,
이정은6
,대방건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최혜진
,롯데,
김효주
,롯데,
박민지
,NH투자증권,
박민지
,NH투자증권,
이예원
,KB금융그룹,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 ||

역대 KLPGA 메이저 대회 - 기아자동차 한국여자오픈 우승자
2014년 - 제 28회
김효주
2015년 - 제 29회
박성현
2016년 - 제 30회
안시현

역대 LPGA 신인상 수상자
2016년
전인지
2017년
박성현
2018년
고진영

역대 LPGA 올해의 선수상 수상자[1]
2016년
아리야 주타누간
2017년
유소연, 박성현[2]
2018년
아리야 주타누간

역대 LPGA 메이저 대회 - U.S.여자오픈 우승자
2016년 - 제 71회
브리타니 랭
2017년 - 제 72회
박성현
2018년 - 제 73회
아리야 주타누간

역대 LPGA 메이저 대회 -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 우승자
2017년 - 제 63회
다니엘 강
2018년 - 제 64회
박성현
2019년 - 제 65회
한나 그린
}}} ||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316d721714464f0fa9e1f2396cf35026.jpg
이름 박성현(朴城炫, Park Sunghyun)
출생 1993년 9월 21일 ([age(1993-09-21)]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서울유현초등학교 (졸업)
현일중학교 (졸업)
현일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국제스포츠레저학부 / 학사)
종목 골프
데뷔 2012년 10월 KLPGA 입회
소속 넵스 (2014~2016)
하나금융그룹 (2017~2018)
솔레어 리조트 앤 카지노 (2019~)
소속사 세마스포츠마케팅
신체 171cm, B형
링크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우승 경력4. 상금 및 순위
4.1. KLPGA4.2. LPGA
5. 플레이 스타일6. 기타

1. 개요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이자 LPGA 투어 프로.

2016년 KLPGA 투어를 대표하는 최고 선수로 자리매김하였고, 이듬해인 2017년 LPGA에 진출하여 자신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신인상은 물론 올해의선수상과 상금 1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한국 선수로는 역대 4번째로 세계랭킹 1위에 등극, 20주간 1위를 수성했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성현(골프선수)/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성현(골프선수)/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성현(골프선수)/선수 경력#|]][[박성현(골프선수)/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우승 경력


2015 KLPGA 투어 기아자동차 제29회 한국여자오픈 골프선수권대회
2015 KLPGA 투어 KDB 대우증권 CLASSIC 2015
2015 KLPGA 투어 OK저축은행 박세리 INVITATIONAL
2015 KLPGA 투어 현대차 중국여자오픈
2016 KLPGA 투어 삼천리 Together Open 2016
2016 KLPGA 투어 넥센 · 세인트나인 마스터즈 2016
2016 KLPGA 투어 두산 매치플레이 챔피언십 2016
2016 KLPGA 투어 제주 삼다수 마스터스 2016
2016 KLPGA 투어 BOGNER MBN 여자오픈 2016
2016 KLPGA 투어 한화금융 클래식 2016
2017 LPGA 투어 U.S. Women`s Open
2017 LPGA 투어 캐나다 퍼시픽 여자오픈
2018 LPGA 투어 텍사스 클래식[4]
2018 LPGA 투어 KPMG 여자 PGA 챔피언십
2018 LPGA 투어 Indy Women in Tech Championship driven by Group 1001
2019 LPGA 투어 HSBC Women's World Championship
2019 LPGT 투어 더 컨트리클럽 레이디스 인비테이셔널
2019 LPGA 투어 월마트 NW 아칸소 챔피언십

4. 상금 및 순위

4.1. KLPGA

• 2014년: 120,586,237원 (34위)
• 2015년: 736,690,082원 (2위)
• 2016년: 1,333,090,667원 (1위)[5]

4.2. LPGA

• 2017년: $2,335,883 (1위)
• 2018년: $1,498,077 (3위)
• 2019년: $1,529,905 (7위)
• 2020년: $96,187 (88위)
• 2021년: $69,353 (123위)
• 2022년: $199,659 (96위)
• 2023년: $69,388 (143위)

5. 플레이 스타일

닥공 골프

2015년 KLPGA 투어 드라이버 비거리 1위인 254야드를 기록했고, 성적은 별 볼일 없었으나 루키 시즌이던 14년도에도 '멀리는 날리는 친구'라는 평을 받았다. 다만 'Far and Sure' 즉 '멀리 그리고 정확하게'라는 골프의 금언과는 다른 '오직 멀리'만 나가는 골퍼였기 때문에 데뷔 첫해에는 고생을 많이 했다.

2년 차를 맞이하며 겨우내 백스윙 크기와 팔로 치던 습관을 조정하며 방향성을 잡았고, 그로 인해 전년 대비 계산이 가능한 플레이를 펼칠 수 있게 되었다.

몸통을 꼬아 백스윙을 만들고 양손의 위치는 항상 어깨 사이에 오도록 수정한 결과, 전체적인 샷의 완성도가 올라가면서 아이언샷의 그린 적중률도 덩달아 높아졌다. 퍼팅을 비롯한 숏게임이 약한 걸로 평가 받지만 이 부분도 후반에 들어서는 상당히 좋아졌기 때문에 컨디션 좋은 날의 경우는 거의 천하무적의 플레이를 보여 주었다.

멘탈은 매우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실제 프로 첫 우승을 거둔 한국여자오픈에서도 최종 라운드 후반 9홀에서 샷이든 퍼팅이든 매우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며 추격자에게 우승을 내줄 뻔 하는 등 겨우 겨우 우승을 해내었기 때문에 '축하는 하지만 멘탈이 약해서 더 이상 잘하기는 힘들 듯'이라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그러나 이 부분도 경험치가 쌓이고 자신감이 생기면서 많이 좋아졌고, 박성현의 멘탈에 대해 지적하는 목소리도 대부분 사라졌다. 투어 통산 2승째를 거둔 KDB 대우증권 CLASSIC에서는 첫 날 드라이버 티샷 OB[6]를 2번 연속 내면서 망가진 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라운드에서도 흐름을 잃지 않고 좋은 경기를 펼친 끝에 우승을 차지 하는 등 실수로 인한 멘탈 붕괴로 경기를 망치는 경우가 많이 줄었다.

6. 기타


[1] LPGA 투어를 뛰는 선수들 중 가장 실적이 높은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 LPGA의 대상이라고 보면 된다.[2] 공동수상[3] 필리핀 투어[4] 악천후로 인해 나흘 경기가 아닌 이틀만 치러진 경기였음. 2위에 2타차 승리를 거두며 18년도 첫 승을 신고.[5] 역대 단일 시즌 상금 4위. 21 박민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1위였으나 이후 22 박민지, 23 이예원이 이 기록을 넘어서며 현재는 4위로 밀렸다.[6] Out of Bounds의 준말. 즉 영외로 공이 사라진 경우를 뜻하는 경우로, 티샷의 경우는 벌타 1타를 받고 다시 쳐야 하고, 페어웨이에서 OB가 날 경우는 샷을 한 장소에서 다시 샷을 해야 한다.[7] 초등학교 동창의 말에 의하면 목소리가 초등학교 시절부터 똑같다고 한다.[8] 모 기자 왈 "전인지가 버디를 하면 '(굵고 낮은 목소리로) 우오오 ~'하고, 박성현이 버디를 하면 '(얇고 높은 목소리로) 꺄아악 ~' 하더라."라고 현장 증언을 한 바 있다. 그만큼 많은 여성 골프팬들에게 사랑받고 있다.[9] 6년간 누적 기부액은 총 2억 8000여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