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08:56:43

이예원(골프선수)



파일:메디힐 로고(백색).png 메디힐 골프단 소속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 -11px; color: #0850a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안나린 김아림 이다연 박현경 이예원 배소현
한진선 이채은2 김나영 안지현 홍예은 정지효
}}}}}} ||

이예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LPGA 로고.svg
2022 KLPGA 신인상

파일:KLPGA 로고.svg
2023 KLPGA 상금왕

파일:KLPGA 로고.svg
2023 KLPGA 최저타수상

파일:KLPGA 로고.svg
2023 KLPGA 대상

파일:KLPGA 로고.svg
2024 KLPGA 다승왕

파일:KLPGA 로고.svg 단일 시즌 10억 달성 선수 일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달성 시즌 선수 금액 우승 탑텐 피니시
2014년 김효주
(롯데)
1,208,978,590원 5 18
2016년 박성현
(넵스)
1,333,090,667원 7 13
고진영
(넵스)
1,022,449,332원 3 16
2017년 이정은6
(토니모리)
1,149,052,534원 4 20
2019년 최혜진
(롯데)
1,207,162,636원 5 13
장하나
(BC카드)
1,157,723,636원 2 13
2021년 박민지
(NH투자증권)
1,521,374,313원 6 14
2022년 1,477,921,143원 6 12
김수지
(동부건설)
1,082,580,549원 2 17
2023년 이예원
(KB금융그룹)
1,424,817,530원 3 13
임진희
(안강건설)
1,145,835,048원 4 13
2024년 윤이나
(하이트진로)
1,211,415,715원 1 14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1,133,196,561원 3 13
박지영
(한국토지신탁)
1,112,269,254원 3 11
황유민
(롯데)
1,051,042,290원 1 9
※ 볼드체: 시즌 1위 / 파란색 볼드체: 역대 1위
}}}}}}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c5abb 0%, #ffffff 20%, #ffffff 80%, #2c5abb); margin: 0 -11px -5px; padding: 0px 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서희경
,하이트진로,
이보미
,하이마트,
김하늘
,BC카드,
김하늘
,BC카드,
김세영
,미래에셋,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김효주
,롯데,
전인지
,하이트진로,
박성현
,넵스,
이정은6
,토니모리,
이정은6
,대방건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최혜진
,롯데,
김효주
,롯데,
박민지
,NH투자증권,
박민지
,NH투자증권,
이예원
,KB금융그룹,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 ||

역대 KLPGA 메이저 대회 - 하이트진로 챔피언십 우승자
2022년 - 제 22회
박민지
2023년 - 제 23회
이예원
2024년 - 제 24회
김수지

}}} ||
회원번호 No.1447
파일:2025 이예원.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이예원
출생 2003년 2월 13일 ([age(2003-02-13)]세)
경기도 오산시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63cm
가족 부모님, 여동생
학력 원일초등학교
문정중학교
비봉고등학교
고려대학교 국제스포츠학부
소속사 매니지먼트서울
소속팀 KB금융그룹 (2021~2024)
메디힐 (2025~ )
데뷔 2021년 4월 KLPGA 입회
링크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기록
4.1. 수상 이력4.2. 상금 / 대상 포인트 순위
5. 별명6. 여담7. 보유 기록8. 역대 프로필 사진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2022년 KLPGA 투어에서 신인상을 수상하였고, 2023년에는 3관왕(대상, 상금왕, 최저타수상)에 오르며 KLPGA 투어의 새로운 대세로 떠올랐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예원(골프선수)/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전체적으로 고르게 잘 하는 육각형의 경기력이 최대 장점이다. 저점이 높고 기복 없는 안정적인 플레이[1]를 보이며, 멘탈이 좋다.[2] 이를 보면 박민지와 유사하다.

드라이버 샷이 견고하다. 드라이브 거리는 240야드 정도로 장타자가 아닌 편[3]이지만 페어웨이/그린 적중률이 상위권이라 정교한 경기를 보여준다. 2022 시즌 드라이빙지수와 히팅능력지수[4]에서 1위를 기록함과 더불어 대개 장타자들이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SG(Strokes Gained) 티샷 부문에서도 기록이 좋다. 2022 시즌 0.64로 9위, 2023 시즌 0.66으로 3위를 기록했다.[5] 다만 2024 시즌은 전체적인 SG가 줄은 대신 퍼팅 SG만 늘었다.

FR 이전에는 중위권에 있다가도 FR에 들어서면 각성한 모습을 보이며 리더보드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선두권으로 메이저 대회 FR를 맞이하면 반대로 약한 모습이다.

4. 기록

4.1. 수상 이력


2023년 4월 KLPGA 투어 롯데렌터카 여자오픈[6]
2023년 8월 KLPGA 투어 두산건설 We've 챔피언십[7]
2023년 10월 KLPGA 투어 하이트진로 챔피언십
2024년 3월 KLPGA 투어 블루캐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4년 5월 KLPGA 투어 NH투자증권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4년 5월 KLPGA 투어 Sh수협은행·MBN 여자오픈[8]

4.2. 상금 / 대상 포인트 순위

5. 별명

6. 여담

7. 보유 기록

파일:KLPGA 로고.svg KLPGA 역대 신인상포인트 1위
시즌 포인트 컷통과/참가대회 우승
2022 3001 26/29 0
파일:KLPGA 로고.svg KLPGA 역대 단일 시즌 상금 1위 (우승 0회)
시즌 상금 순위 컷통과/참가대회 탑텐 피니시
2022 849,784,000원 3위 26/29 13
파일:KLPGA 로고.svg KLPGA 투어 노보기 우승
대회명 총 라운드 시즌
Sh수협은행 MBN 여자오픈 3R 2024
파일:KLPGA 로고.svg KLPGA 투어 최다 라운드 연속 노보기
연속 라운드 수 시작 라운드(날짜) ~ 마지막 라운드(날짜)
5 2024 NH투자증권 레이디스 챔피언십 3R
(2024.05.12)
셀트리온 퀸즈 마스터즈 1R
(2024.06.07)
파일:KLPGA 로고.svg 2024년 5월 위메이드 대상포인트 MVP
이정민
(한화큐셀)
이예원
(KB금융그룹)
박현경
(한국토지신탁)

8. 역대 프로필 사진

매 시즌마다 프로필 사진이 변경되고 있다.
파일:01447.jpg
파일:20221226151651306125.jpg
파일:2024 이예원 전신.jpg
2022 시즌[15] 2023 시즌[16] 2024 시즌

[1] 데뷔 시즌인 2022 시즌에는 컷탈락 3번, 2023, 2024 시즌에는 1번밖에 없을 정도.[2] 대표적으로 2023 시즌 한화 클래식에서의 우산 2벌타 때에도 침착하게 플레이했으며, 하이트진로 챔피언십 FR 후반 홀에서도 2번이나 해저드로 갔지만 이를 모두 보기로 막아냈다.[3] 그래도 소위 '짤순이'까지는 아니고 KLPGA 투어 평균 정도의 비거리를 날린다고 보면 된다. 이 인터뷰에서 2024 시즌에는 5야드를 더 늘리고 싶다고 밝혔다.[4] 데뷔 이래 매번 이 두 지표에서 최소 3위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안정적이다.[5] 참고로 이예원을 제외한 2023 시즌 SG 티샷 탑5는 1위부터 순서대로 배소현(0.78), 김수지(0.77), 김민별(0.66), 황유민(0.63)으로, 이 선수들은 모두 드라이브거리 상위권(황유민 2위, 배소현 8위, 김수지 9위, 김민별 11위)에 위치해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티샷을 정확하고 멀리 보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6] 이 대회는 2023 시즌을 끝으로 폐지가 결정되어 마지막 우승자가 된 셈.[7] 초대 챔피언[8] 5.31에 시작하여 6.2에 종료[9] 역대 단일 시즌 우승 0회 선수 중 상금 1위.[10] 역대 단일 시즌 최다 상금 3위.[11] 정작 말본 골프의 후원은 이예원이 아닌 전예성이 받았다.[12] 그래서 매 시즌이 끝나고 진행되는 왕중왕전의 캐디를 맡기도 한다 심지어 2024 시즌에는 유서연2가 무안에서 진행된 시드전이 끝나고 하루 만에 부산에서 진행된 위믹스 챔피언십에 나올 정도다. 다만 저 시드전에서 유서연2는 2025 시즌 풀시드를 받지 못했다[13] 다만 이들의 데뷔 시즌 성적을 보면 우승만 빼고 다 잘했다는 공통점이 있다.[14] 2023 시즌은 투표로, 2024 시즌은 상금 1위 자격으로 자동 선정[15] 시즌 중간까지만 사용[16] 정확히는 2022 시즌 말부터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