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오픈 월드 ARPG}}}에 대한 내용은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던전앤파이터: 아라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오픈 월드 ARPG: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던전앤파이터: 아라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tablebgcolor=#2D2D2E><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D2D2E><tablealign=center>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온라인 게임 | 모바일 게임 |
| | |
던전앤파이터 |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 |
크로스플랫폼 게임 | ||
프로젝트 오버킬 |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 |
콘솔 게임 | ||
| | |
DNF 듀얼 | 퍼스트 버서커: 카잔 |
퍼스트 버서커: 카잔 The First Berserker: Khazan | |
<nopad> | |
<colbgcolor=#1a1414><colcolor=#ffffff,#e0e0e0> 개발 | 네오플 |
유통 | 넥슨, 세가 퍼블리싱 코리아[1] |
플랫폼 |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5[2][3] | Xbox Series X|S | Xbox Cloud Gaming |
ESD | Steam |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
장르 | 하드코어 ARPG |
출시 | 2025년 3월 28일 |
엔진 | 언리얼 엔진 4.27 |
한국어 지원 | 자막·음성 지원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네오플에서 개발한 하드코어 ARPG. 온라인 게임 던전앤파이터의 IP를 활용하고 있다.2. 발매 전 정보
2018년 던파 페스티벌에서 처음 발표 후 20년에 티저영상#을 발표한 '프로젝트 BBQ'를 2022년 초에 '프로젝트 AK'로 변경했다. #[4] 2023년 12월 5일에 '프로젝트 AK'(아라드 크로니클: 카잔)의 정식 명칭이 '퍼스트 버서커: 카잔(The First Berserker: Khazan)'으로 확정되었다.#월드 프리미어 트레일러에서 제국 소속으로 보이는 인간형 적과 용족의 적이 등장한다. 광룡 히스마가 용족군단을 이끌고 제국을 침략했다는 배경설정과 영상의 자막설명을 보면 히스마 잔당들의 복수 및 살아남은 카잔을 추격해오는 제국군과 격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1월 12일 ~ 1월 29일까지 FGT (Focus Group Test) 참가자를 모집했다. # 동년 2월 말 즈음에 FGT를 실시한 것으로 보이며, 테스트 종료 이후 테스터 인터뷰와 디렉터 인터뷰가 업로드되었다.
2024년 4월 11일 ~ 5월 1일까지 2차 FGT(Focus Group Test)참가자를 모집하였다. 2차 FGT는 5월 15일부터 19일까지 닷새간 하루 8시간씩, 총 40시간동안 진행되었다. #
어느 정도 원작의 요소가 들어가 있는지 출시 예고 트레일러에서 아이리스 포츈싱어로 보이는 인물이 창신세기의 구절을 읊는 것으로 보아 카잔의 모험 중 혹은 후반부에서 카잔의 목표가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
이후 공개된 데모판에서는 원작과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스토리 라인이 잡혀 있는데,[5] 양 팔의 힘줄이 뽑힌 카잔이 스트루 산맥으로 호송되는 중 눈사태로 마차가 전복되고 그의 육신을 탐낸 블레이드 팬텀이 유혹해 명계와 연결시키면서 해방된다. 설산을 헤쳐나가면서 예투가를 처치하고 탈진한 카잔을 반투족 샤먼 퀴무크가 구출하고 반투족 3신의 시련을 통과하면서 블레이드 팬텀과 담판을 지어 블레이드 팬텀의 목적에 협조하는 조건으로 황제에게 복수를 하는 계약을 맺으면서[6] 팬텀과의 상호 협력관계가 성립한다.
2.1. 미디어 TCBT (2024.9.26 ~ 10.1)
2024년 9월 26일부터 10월 1일까지,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기술적 비공개 베타테스트(TCBT, Technical Closed Beta Test)를 진행했다.- 24년 10월 3일 22시에 본 테스트의 엠바고가 해제되었다. 관련기사 1 관련기사 2
- 1~3 챕터까지만 공개되었다고 한다. 1 챕터는 스킬 없이 기본 조작만 가지고 진행했고, 2 챕터부터 스킬이 해금되었으나, 스킬 포인트 부족으로 사용스킬이 제한적이었다고 한다. 3 챕터부터는 어느 정도 스킬 사용이 가능하고, 재미있게 진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 집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는 후기로 미루어 볼 때, 참가자들에게 데모 형식의 파일을 배포한 것으로 생각된다.[출처]
- 스트리머 이클리피아의 평가에 따르면 인왕라이크에 가깝다고 생각되며, 1차 & 2차 FGT에 비해 필드 난이도는 내려가고, 보스전 난이도가 올라갔다고 한다.
- 소울라이크 전문 게이머 옹발이 ONGBAL가 엠바고 해제와 동시에 플레이영상을 공개하였다.
-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카잔으로 고정되며, 커스터마이징도 없다. 다만 여성 NPC는 존재한다.
- 쌍수도부, 대검, 창 3가지 종류의 무기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기력이 다되어 탈진 상태에 빠진 적이나, 적의 후방에서 치명적인 일격을 가하는 일명 '앞잡'과 '뒤잡'이 '브루탈 어택'이라는 이름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있다.
- 패링 손맛이 좋으며, 패링 성공 시 소량의 데미지를 입힐 수 있는 반격 패시브가 존재한다. 그래서 패링의 이득이 확실하다.
2.2. 글로벌 TCBT (2024.10.11 ~ 10.20)
2024년 10월 11일 ~ 10월 20일까지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다.[8] #=# 트레일러 #=
공식 티저 트레일러 |
2024년 G-STAR 트레일러 |
출시일 공개 트레일러 |
IGN Fan Fest 트레일러 |
얼리 액세스 트레일러 |
정식 출시 트레일러 |
3. 시스템 요구 사항
언리얼 엔진 4.27을 사용한 게임중에선 요구사항이 높은 편[9]으로 적혀있긴 하나 실제론 1060으로도 풀옵션이 가능하며 60FPS 이상을 꾸준히 뽑아주기에 최적화에 대한 평가가 매우 좋다.
4. 게임 플레이
시스템 | 등장인물 | 스토리 | 지역 | 아이템 | 장비 | 스킬 | 도전 과제 | 적 · 보스 |
4.1. 시스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시스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시스템#|]][[퍼스트 버서커: 카잔/시스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등장인물#|]][[퍼스트 버서커: 카잔/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스토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스토리#|]][[퍼스트 버서커: 카잔/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4. 지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지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지역#|]][[퍼스트 버서커: 카잔/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5. 아이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아이템#|]][[퍼스트 버서커: 카잔/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6. 장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장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장비#|]][[퍼스트 버서커: 카잔/장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7. 스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스킬#|]][[퍼스트 버서커: 카잔/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8. 도전 과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도전 과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도전 과제#|]][[퍼스트 버서커: 카잔/도전 과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9. 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적#|]][[퍼스트 버서커: 카잔/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0. 보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퍼스트 버서커: 카잔/보스#|]][[퍼스트 버서커: 카잔/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기준일:
2025-04-03
2025-04-03
'''[[https://www.metacritic.com/game/the-first-berserker-khazan/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https://www.metacritic.com/game/the-first-berserker-khazan/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상세 내용 |
기준일: 2025-04-03 | |||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 평론가 평점 81 / 100 | 평론가 추천도 81% | 유저 평점 XX / 100 |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
기준일:
2025-04-03
2025-04-03
<rowcolor=#fff> 종합 평가 | 최근 평가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68001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9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680010/#app_reviews_hash| 최근 평가 (퍼센티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
5.1. 긍정적 평가
- 훌륭한 액션성
액션게임으로는 최근 나온 게임 중에서도 만듦새가 훌륭한 편이란 평가가 다수이다. 다크 소울이나 엘든 링보단 세키로나 인왕에 더 가까운 게임으로, 어렵긴 하지만 무지성 억까 패턴 없는 보스 전투와 파밍에 더해 손맛 좋은 액션 게임이라는 평가들이 많다. 여기에 게임의 난이도 조절도 가능해서, 플레이어의 게임 실력이 부족하더라도 재밌게 즐길 수 있는 완급조절도 준비가 되어있다.
- 화려한 이펙트와 빠른 템포
한국식 액션 RPG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매우 화려한 액션과 빠른 템포, 이펙트들 또한 장점이다. 초반엔 전통적인 소울류 게임들처럼 묵직하고 수수한 느낌의 액션에서 시작해 스토리가 진행되고 캐릭터가 성장하면서 빠르고 매우 화려한, 동시에 훌륭한 가시성을 유지한 스타일리시 액션의 혼합형 게임성으로 성장해나간다. 타격감은 던전앤파이터 시리즈답게 매우 우수한 편, 각 무기의 특징마다 타격음이나 기타 반동등이 잘 조정되어 있어 실제 대검 창 도부를 들고 공격하고 있다는 기분마저 든다.
- 수집 보조 요소
수집을 도와주는 아이템의 존재 역시 호평을 받았다. 근처에 귀석이나 항아리 등의 수집품이나 아이템이 있을 경우 알려주는 등불이나, 숨겨진 길의 위치를 알려주는 등불의 존재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수집에 느끼는 피로도를 크게 줄이는 데에 공헌했다.
- 좋은 최적화
또한 2020년대 들어 수많은 싱글플레이 게임들이 최적화 문제로 악평을 받는데, 카잔은 이러한 추세와 정 반대로 언리얼 엔진 4를 사용해 괜찮은 비주얼을 뽑아내면서도 GTX 1060 6gb ram 모델로 FHD 해상도에서 풀옵 60프레임이 나올 정도로 최적화를 잘 해냈다.[10]
5.2. 부정적 평가
- 단조로운 필드
훌륭한 보스전과 액션과 달리 필드 디자인은 단조롭고 진부한 구성이라는 평가가 많다. 필드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소울 시리즈의 구성을 벤치마킹한 느낌이지만, 벤치마크 이상의 새로움과 긴장감, 재미를 구현해내지 못했다는 반응이 많다. 프로젝트 BBQ의 작업물을 모두 포기했는지 잡몹의 돌려쓰기가 심하고, 모든 지역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비슷해서 필드 구간의 지루함을 크게 높였다.
- 단편적인 스토리와 밋밋한 연출
스토리 부분에서는 혹평을 받고 있다. 원작과 초반부터 다른 스토리로 전개되는 평행세계 스토리인 것은 플레이어에 따라 호불호 정도로 끝날 점이지만, 정작 그렇게 등장한 새로운 스토리의 질이 나쁘다는 걸 신규 플레이어와 던파 유저 모두 공통적으로 공감하고 있다. 큰 플롯 자체는 복수와 그에 따른 비극을 다룬 무난한 이야기지만, 복수극의 몰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도입부 서사의 부실함으로 인해 주인공 카잔의 언행과 복수심에 이입하기 어렵고,[11]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성이 평면적이며, 전투를 제외한 스토리의 연출 또한 밋밋해 전체적으로 스토리텔링이 흥미롭게 다가오지 않는다는 평이다. 부실한 스토리텔링과 겹쳐 던파 세계관의 전통적인 흑막 캐릭터 힐더와 관련된 반전 요소 또한 표현이 난해해 스토리에 몰입을 어렵게 한다는 반응이 많다.
- 전무한 편의성
게임 특성상 보스 방어구 제작을 위해 한 보스를 여러 번 잡아야 하는데 보스를 한 번 잡으면 경계의 틈새 생자의 공간에 소환시켜서 맵 이동을 3번이나 해야 하고, 귀검으로 한 번에 귀환 할 수 있는 템이 없어 이미 한 번 탐험한 맵에서 귀석이나 항아리를 찾는 경우에도 다음 귀검까지 달리기를 해야 하며 화톳불 이동이라는 기본 편의성도 제공이 안 되어 경계의 틈새로 이동을 해 다시 원하는 귀검으로 가야 한다 이외에도 항아리 수집의 경우 퀘스트가 열리기 전 맵에도 수집템이 있다고 표시되어 플레이어에게 혼란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 후반부 피로도
게임이 후반으로 갈수록 두드러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엘리트 몹을 포함해 특정 강력한 몹들의 체력과 데미지만 엄청나게 강해지며, 자세 파괴도 그로기도 잘 안되는데 패턴은 보스마냥 악랄하다보니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게임의 중반까지는 이런 몹들의 배치도 적절하고 강함도 적절한 수준이지만, 가면 갈수록 너무 강해지는데다 너무 자주 나오고, 위에서 말한 몬스터 돌려쓰기 문제가 겹쳐 후반부의 피로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산재한 버그
또한 조력자를 한 번만 소환하면 회차를 넘겨도 홀로서기 도전과제가 안 깨지는 문제나 도감의 추가 훈련을 달성하고도 안 깨지는 버그, 항아리를 모두 모을 경우 단진이 사라지는 버그, 데모에서 그대로 이어서 할 경우 무기의 스텟 보정치가 과하게 반영되는 버그, 마지막 보스의 방어구 제작서가 드랍되지 않는 버그 등 게임 내 자잘한 버그가 많다. 이후 꾸준한 버그픽스로 대부분의 굵직한 버그는 수정되었으나 여전히 크래시가 자주 뜨는 편이다.[12]
6. 흥행
스팀 출시 첫날 기준, 최대 동시 접속자가 19,852명을 기록하면서, 첫날부터 좋은 흥행의 시작을 보여주었다. 이 숫자는 네오위즈의 비슷한 장르의 소울라이크 게임, P의 거짓이 달성한 19,618명이라는 최대 동시 접속자 기록보다도 조금 더 높은 기록으로, P의 거짓과 비슷한 최대 동시 접속자 기록을 하면서 출시 첫날부터 수월한 스타트를 보여주었다. 이후 다음날 29일에는 좋은 평가들의 효과로 입소문을 탔는지, 첫날의 최대 동시 접속자 기록을 넘어가는 30,258명을 기록했다.현재로써는 아직 출시된지 1주일도 안된 게임이여서 제대로 된 흥행 정보는 공식 측에서 나오지 않아 객관적인 판매 수치는 짐작하기 힘들지만, 스팀에서 최고 인기 제품으로 2위에 들어섰고, 트위치에서 스트리밍 최대 시청자수만 135,931명을 기록하면서, 일단은 안정적인 흥행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7. 기타
- 개발 초기에 프로젝트 BBQ라는 이름으로, MMORPG 오픈 월드 장르로 개발 중이었으나 이후 2022년 3월 30일 프로젝트 AK라는 이름과 함께 소울라이크 스타일의 게임으로 개발 방향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1 프로젝트 BBQ 시절 공개됐던 직업, 몬스터, 배경 등 대다수 자료 요소들은 프로젝트 오버킬로 이관 된 것으로 보인다.
- DNF 듀얼이 대전액션 게임으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사후 관리[13]로 게임이 사장된 전과가 있기 때문에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본작은 외주 제작이 아니고 장르도 다르기 때문에 기대해볼 만 하다는 반응도 있다. 게다가 MMO에서 싱글 콘솔 게임으로 변했기에 온라인 운영으로 인한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어쨌든 데이브 더 다이버, P의 거짓, 산나비, 스텔라 블레이드의 성공으로 국산 패키지 게임 장르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진 시점이라 나름대로 우려와 기대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 카잔과 대부분의 적, 캐릭터는 새로 작업했지만 프로젝트 BBQ 시절의 모델링을 일부 재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음성은 한국어, 중국어(간체), 일본어, 영어를 지원한다. 영어 음성의 경우 미국 던파의 서비스 종료 이후 십여년 만에 던파 IP에서 영어 더빙이 지원된다. DNF 듀얼에서 영어 음성이 지원되지 않아 서구권에서 아쉽다는 반응이 많았기에 추가가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녹음사는 SIDE UK.
- 엑스박스 클라우드 소유게임 스트리밍 기능을 지원하는 게임으로, 해당 게임을 소유하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저사양 PC 등을 통해서도 원격 플레이가 가능하다.
- 자주 비교대상이 되는 소울 시리즈에 버금가는 매우 암울한 스토리를 지니고 있다. 일단 인트로부터가 카잔과 오즈마가 황제에게서 반역자라는 누명을 쓰는 것으로 시작하고, 이와 연관되어 카잔과 오즈마의 주변 사람들, 그리고 카잔의 발이 닿는 장소마다 비극적인 사건이 계속 연달아서 일어난다. 후반부로 가게 되면 더욱 더 충격적인 전개까지 기다리고 있다. 원작인 던전앤파이터에서도 세계관 내 인물들이 영웅의 비극으로 자주 언급하곤 했다.
- 던파IP 마이너 갤러리를 비롯한 본가 관련 커뮤니티에서 싱글 컨텐츠 관련 논란이 발생할 때마다 자주 거론되는 게임이기도 하다. 주요 레파토리는 '윤명진님이 너희 싱글충들 하라고 퍼스트 버서커: 카잔을 만들어주셨는데 싱글 컨텐츠가 하고 싶으면 카잔이나 하러 가라'는 것.
[1] 국내 한정[2] 햅틱 피드백 및 적응형 트리거 지원.[3] PS5 PRO Enhanced[4] 기존 프로젝트 BBQ는 네오플 대표 발표대로면 프로젝트 실패판정이 났다고 한다.#[5] 원작에서는 오즈마의 연인인 리즈가 두 사람을 살려주는 조건으로 팔메리어 황제의 첩이 된 것을 알게 된 오즈마가 사신에게 영혼을 팔아 악마(사도)로 각성하고, 양 팔의 힘줄이 뽑힌 카잔은 스트루 산맥에 버려져 죽어가던 중 오즈마에 의해 소멸의 신이 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6] 블레이드 팬텀들은 카론이 내린 어떤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육체를 원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처음의 눈사태도 몰락한 영웅이라는 완벽한 그릇인 카잔을 삼키기 위해 팬텀이 일으킨 것이었다.[출처] 10월 3일 이클리피아 스트리밍[8] PC로는 할 수 없고, PlayStation 5과 Xbox Series X로만 할 수 있다.[9] 같은 엔진을 사용한 PC게임으로는 모탈 컴뱃 1, 고스트와이어: 도쿄 등이 있고 그래픽카드 권장사항은 1060이나 1080정도다.[10] 개발진 인터뷰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인 스팀덱에서 완벽 구동하는 사양을 기준으로 정하고 최적화를 진행했다고 한다. 의외로 스팀덱보다 사양 자체는 훨씬 뛰어나지만 램 메모리가 부족한 엑스박스 시리즈 S가 가장 최적화하기 어려웠다고 한다.[11] 원본 게임인 던전 앤 파이터의 배경설정을 안다면 대략적으로 나마 이해할수 있지만 이 게임을 처음 해본 사람들에겐 이입하기 어렵다.[12] 심각한 경우는 엔딩을 보고 스탭롤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크래시가 나서 엔딩 트로피가 획득되지 않는 버그까지 존재한다.[13] 온라인 대전이 메인인 게임이라 유저풀 확보가 매우 중요했는데 막상 출시 직후의 사후 패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안정화가 되기도 전에 다수의 유저들이 이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