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13:15:54

푸르가토리우스

푸르가토리우스
Purgatorius
파일:external/jpaleontol.geoscienceworld.org/F4.large.jpg
학명 Purgatorius
Valen & Sloan, 1965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플레시아다피스목Plesiadapiformes
†푸르가토리우스과?Purgatoriidae?
푸르가토리우스속Purgatorius
  • †푸르가토리우스 우니오(P. unio)모식종
    Valen & Sloan, 1965
  • †푸르가토리우스 케라톱스(P. ceratops)
    Van Valen & Sloan, 1965
  • †푸르가토리우스 야니사이(P. janisae)
    Van Valen, 1994
  • †푸르가토리우스 티투시(P. titusi)
    Buckley, 1997
  • †푸르가토리우스 코라키스(P. coracis)
    Fox & Scott, 2011
  • †푸르가토리우스 피네크레에엔시스(P. pinecreeensis)
    Scott et al., 2016
  • †푸르가토리우스 맥케에베리(P. mckeeveri)
    Wilson Mantilla et al., 202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urgatorius_BW.jpg
복원도

1. 개요2. 연구사3. 등장 매체

[clearfix]

1. 개요

백악기 후기부터 신생대 팔레오세 전기까지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한 포유류다. 속명은 직역하면 '연옥의 것'이라는 뜻인데, 화석이 발견된 미국 몬태나 주의 털록층(Tullock Formation)이 위치한 퍼가토리 힐(Purgatory Hill)의 이름을 따오면서 이런 속명이 붙었다.

인류와 현생 영장류의 먼 조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나 화석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과연 영장류의 조상이 맞는지에 대해 논란이 있다.

2. 연구사

모식표본을 구성하는 화석은 이빨과 턱 그리고 발목뼈 부분이 전부로, 이를 통해 추정한 몸길이는 대략 10cm, 몸무게는 40g 가량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목뼈를 분석한 결과 나무를 타기에 적합한 구조였으며, 이를 근거로 나무 위에서 곤충이나 열매 등을 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의 보존율이 매우 불완전한 상태라 정확한 분류에 대해서 논란이 많았는데, 일각에서는 이빨과 발목뼈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근거로 원시적인 영장류의 일원으로 비정하였다. 반면 영장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플레시아다피스목(Plesiadapiformes)에 속한다고 본 이들도 있는가 하면, 영장류는 커녕 아예 태반류가 아니라고 분류하는 논문이 나오기도 하는 등 복잡한 상황.

생존 연대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는데, 모식표본이 발견된 이후 티라노사우루스가 발견된 것으로 유명한 백악기 후기의 헬크릭층에서도 근연종으로 추정되는 화석이 추가로 발견되었기 때문. 따라서 보통 푸르가토리우스의 생존 시기는 백악기 후기부터 팔레오세 전기까지 잡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헬크릭층은 팔레오세 전기 지층까지 포함시키고 있는 지층이기 때문에 아직 논란이 종식되지 않는 상황. 정확한 생존 연대를 파악해내기는 매우 어려울 듯 하지만, 생존 시기가 백악기와 팔레오세 사이에 아슬아슬하게 걸쳐져 있음을 고려하면, 백악기 후기에도 충분히 존재했을 가능성은 있다. 만약 백악기 후기 끝자락부터 생존했다면 K-Pg 대멸종을 견디고 살아남은 몇 안 되는 포유류 중 하나인 셈.

3. 등장 매체



[1] 이 동물이 후일 지구를 지배하게 될 인간으로 진화된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대사.매년 어마어마한 수의 을 잡아먹어서 조상의 원수를 갚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