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8:14:42

폭풍의 언덕(2026)


에메랄드 페넬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bgcolor=#fff><width=200> 파일:Promising Young Woman Logo.png ||<width=200><bgcolor=#fbf7ef> 파일:Saltburn Logo 2.png ||<width=200><bgcolor=#F5F2ED> 파일:2026 Wuthering Heights Logo.png ||
프라미싱 영 우먼 (2020) 솔트번 (2023) 폭풍의 언덕 (2026)

상세정보 링크 열기
<colbgcolor=#f5f3ef,#010101><colcolor=#000000> 폭풍의 언덕 (2026)
Wuthering Heights
파일:폭풍의 언덕(2026) 한국 티저 포스터.jpg
장르 멜로, 드라마
감독 에메랄드 페넬
각본
원작 에밀리 브론테 - 소설 《폭풍의 언덕
제작 톰 애커리
사라 데스몬드
호세 맥나마라
마고 로비
출연 제이콥 엘로디
마고 로비
촬영 리누스 산드그렌[1]
편집
음악 안소니 윌리스
미술 수지 데이비스
의상 재클린 듀란
촬영 기간 2025년 1월 ~ 2025년 4월
제작사 럭키챕 엔터테인먼트[2]
수입사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6년 2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6년 2월
화면비
상영 시간
제작비
월드 박스오피스
북미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11. 기타12. 둘러보기

1. 개요

"Be with me always. Take any form. Drive me mad."
에메랄드 페넬의 4번째 장편 연출작으로, 에밀리 브론테의 소설 폭풍의 언덕을 원작으로 한 영화.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파일:폭풍의 언덕(2026) 북미 공식 포스터.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px -11px"
파일:폭풍의 언덕(2026) 한국 티저 포스터.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

4. 예고편

1차 예고편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10. 흥행

11. 기타

12. 둘러보기


[[마고 로비|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dd93b8><rowbgcolor=#dd93b8> 파일:마고 로비 투명.png||<color=#830340>마고 로비
제작 작품
||
]]
[ 펼치기 · 접기 ]


[1] 라라랜드, 퍼스트맨, 007 노 타임 투 다이, 돈 룩 업, 바빌론 등의 영화에 참여했다.[2] 마고 로비가 설립한 제작사로 바비솔트번 등을 제작했다.[3] 리버풀은 19세기 노예 무역의 중심지이자 제국의 해상 교약 중심지였다.[4] 록우드: “He is a dark-skinned gypsy in aspect, in dress and manners a gentleman...”(1장), 린튼 씨:“Oho! I declare he is that strange acquisition my late neighbour made, in his journey to Liverpool—a little Lascar, or an American or Spanish castaway.”(6장)​[5] 역대 폭풍의 언덕 영상물에서 히스클리프를 유색인종으로 캐스팅한 것은 2011년 영화가 유일하다.[6] 캐서린은 보통 린튼 가문과 대비되는 갈색 또는 짙은 눈과 머리의 외모로 인식되지만 마고 로비는 금발 벽안으로 미스캐스팅 여론이 일었다.[7] 전자 음악을 주로 하는 찰리와 고전적이면서도 격정적인 사랑이 테마인 영화가 잘 안 맞는다고 생각했는지 영화 버전 말차 두바이 초콜릿 라부부(서양권에서 억지 바이럴 삼총사로 꼽힌다.) 같다는 얘기가 네티즌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었으며, 찰리는 이에 대해 "hope you enjoy! xx (잘 즐기길 바라!)"라고 반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