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영화 펄프 픽션에 대한 내용은 펄프 픽션(영화)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1896년부터 1950년대 사이 미국에서 주로 나오던 펄프 매거진이라는 소설 잡지 종류가 있었다.[1] 저질 종이[2]로 찍어 만든 싸구려 소설 잡지인데 짧은 단편 모음 혹은 단권 형식이었으며 종이 질이 좋은 고급 잡지가 25센트 하던 데 비해 펄프 매거진류는 10센트밖에 하지 않는 저렴함으로 승부를 걸었다.이런 잡지에 담던 싸구려 단편소설을 펄프 픽션(pulp fiction)이라고 부른다.
2. 특징
내용은 그야말로 장르문학의 종합 선물세트. 모험물, 미스테리물, 판타지(소드 앤 소서리 스타일 판타지가 이 시기 태동), 호러, 오컬트, 로맨스, SF, 서부극, 전쟁물, 영웅물, 탐정물 등등 닥치는 대로 쑤셔넣었고 강도, 살인, 성, 폭력, 약물을 소재로 하는 등의 자극적인 범죄물도 판을 쳐서 '전체적인 질'은 종이질에 비길 만큼 '낮았다'.그래서 펄프 픽션이라는 단어는 저질, 싸구려 소설이라는 뜻으로 굳어 버렸다. 게임 심즈 3에서 컴퓨터로 펄프 픽션을 쓸 수 있는데 EA 코리아의 해당 상호작용의 한국어 번역은 쓰레기 소설 집필이며 글쓰기 레벨이 바닥이어도 쓸 수 있는 데다 쓰는 속도는 빠르지만 고료가 처참하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배고픈 작가들에게 있어서는 좋은 생계수단이자 자신의 글을 대중에 펼쳐내는 훌륭한 수단이었기 때문에 지금은 이름만 대면 아는 고명한 작가들이 펄프 매거진을 거쳐가면서 많은 펄프 픽션을 기고하여 자신의 작품 세계를 펼쳐냈고 독자들 역시 펄프 픽션으로 장르를 접하면서 현대 장르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해외의 유명 편집자들이 이러한 잡지의 편집장으로 활동했던 것도 펄프 매거진을 통해 소설계의 구도가 잡힌 전통에 기인한다.
물론 싸구려 잡지라 그런지 아주 많은 돈은 벌지 못했다. 작가 중 한 명인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만 해도 늘그막인 1950년대에 원작 소설들을 드라마화했을 당시 소설로 수십여 년 동안 써 온 돈보다 드라마 판권으로 받은 돈이 훨씬 더 많았다고 뭔가 씁쓸한 반응을 보인 걸 봐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판타지, SF 장르도 펄프 픽션에 큰 빚을 지고 있다. 일부 SF팬들은 SF의 원류를 유토피아, 꿈, 프랑켄슈타인 등에서 찾곤 하지만 SF를 하나의 장르로 정착시키고 팬덤을 만들어낸 것은 그보다 후대의 펄프 픽션 작가들이었다. 판타지에서 영웅 주인공이 검과 마법의 세계를 다니며 악당을 물리치는 소드 앤 소서리 장르는 펄프 픽션에서 써먹던 대표적인 형식이며, 이러한 펄프 픽션을 보고 자란 계층이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를 만들고, 그것들을 플레이한 세대가 워해머, 워크래프트 시리즈를 만들었다.
현대 미국 슈퍼 히어로 만화도 종이 질이나 잡지식 형식으로 보자면 펄프 픽션의 먼 친척 내지 후손쯤 된다. 내용상으로도 펄프 픽션들에서 유행했던 장르들과 소재들이 녹아들어있고 펄프 픽션의 캐릭터들로 작품을 내기도 한다.
3. 관련 작품
4. 관련 작가(가나다순)
- 러디어드 키플링
- 레이먼드 챈들러
- 로드 던세이니
- 로버트 E. 하워드
- 마크 트웨인
- 아이작 아시모프
- 에드가 라이스 버로스
-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
- 폴 앤더슨
- 프리츠 라이버
- 필립 K. 딕
-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5. 관련 잡지
- 위어드 테일즈 (1923~)
- 어메이징 스토리스 (1926~)
- 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드 팩트 (1930~)
6. 관련 문서
- 게임 관련
- 모바일 게임 - 피처폰 시절 게임들 한정.
- 불근신 게임
- 양산형 게임
- 캐릭터 게임
- 똥겜/망겜
- 이미테이션 게임
- 플래시 게임
- 핵 앤 슬래시
- 게임잡지 - 초창기에는 평범한 잡지 형태였으나 싸구려 게임CD를 동봉하는 전략을 펼치고 나서부터 비슷한 모양새가 됐다.
- 공포 영화 - 물론 모든 공포 영화가 다 여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프 스케어를 지나치게 남발하거나 스토리가 부실하다면 여기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 도서대여점 - 대여점이 활발히 영업하던 시절 공장에서 찍어내듯 연재되었던 삼류 조폭 무협만화와 양판소들의 수익구조가 완벽히 이 문서와 일치했었다. 한국판 펄프픽션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라이트 노벨
- 마블 코믹스, DC 코믹스 - 분위기 및 설정과 전개면에서 펄프픽션의 전통들을 물려받았다.
- 미소녀 동물원
- 모에/뽕빨물/누키게
- 불쏘시개
- 스페이스 오페라
- 싸구려
- 쌈마이
- 아류작
- 야설
- 양판소/양로소
- 우려먹기
- 인도 영화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 신문만화 - 전문 만화잡지에 비해서 훨씬 값싼 저렴함으로 승부보며 낮은 퀄리티를 자극적인 성적 요소나 섹드립,독한 정치 풍자로 승부를 보는 등 펄프픽션의 수익구조와 완벽히 일치해서 만화판 펄프픽션으로 봐도 무방하다. 전 세계적으로 신문만화 덕에 많은 만화가들이 팬을 잡으며 이를 밥줄삼았지만 특히 한국에서는 스포츠 신문에 연재된 지난 호들의 만화 편수를 다시 보기를 신문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인터넷에서 다시 볼 수 있었는데 이것을 시작으로 한국의 웹툰 문화의 시초이자 전신격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이어져와서 웹툰 역사에 상당히 큰 뼈대를 마련했고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 학습만화 - 90~2000년대 한정. 지금까지도 재출간 되는 명작들은 재평가를 받아 추억보정이 아니어도 높은 평가를 받지만 당시 학습만화 붐을 타고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온 아류작들은 제대로 된 사실 검증과 감수없이 고증과 학습용으로도 쓸모없던 작품도 많았다. 사실상 어린이판 펄프픽션 시장.
- B급
- 피카레스크 - 본래 피카레스크는 악인 주인공이나 주연의 시점으로 악행을 권유하는 사회나 인간군상을 풍자하는 것이 의도이나 펄프 픽션에서 악인 미화 및 만만세로 변질시키는 사례가 꽤나 있다.
[1] 펄프 픽션 말고도 영국에서는 페니 드레드풀(Penny dreadful), 미국에서는 펄프 픽션보다 앞서 다임 소설(Dime novel)이라는 출간물들이 인기였다고 한다. 페니와 다임 둘 다 저단위 화폐로 통용되는 명칭임을 감안하면 의미도 짐작된다. 다임 소설 시장은 펄프 픽션 시장의 모태가 되었다고 한다.[2] 펄프라는 단어가 저질 펄프로 만든다고 해서 붙여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