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9:24:31

패션 70's

패션 70s에서 넘어옴
{{{#!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2001~2005
파일:여인천하 로고.png
(2001~2002)
파일:야인시대 로고.png
(2002~2003)
파일:왕의 여자 로고.png
(2003~2004)
파일:2004 인간시장 로고.png
(2004)
파일:장길산 SBS 로고.png
(2004)
파일:러브스토리 인 하버드 로고.png
(2004~2005)
파일:세잎클로버 로고.png
(2005)
파일:불량주부 로고.png
(2005)
파일:패션 70s 로고.png
(2005)
파일:서동요 SBS 로고.png
(2005~2006)
}}}}}}}}}}}} ||
광복 60주년 SBS 대기획
패션 70's (2005)
Fashion seventies
파일:external/blogfiles6.naver.net/%C6%D0%BC%C7_70s.jpg
[[영상물 등급 제도|{{{#797BA7 시청 등급 }}}]]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월요일, 화요일 오후 9:55~
방송 기간 2005년 5월 23일 ~ 2005년 8월 29일
방송 횟수 28부작
채널 SBS
제작사 김종학프로덕션 | 세정[1]
연출 이재규[2], 이정효[3]
극본 정성희[4]
출연 이요원, 주진모, 김민정, 천정명
링크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
3.1. 주연3.2. 앙상블3.3. 맹골도3.4. 그 외
4. 여담

[clearfix]

1. 개요

2005년 5월 23일부터 2005년 8월 29일까지 방영한 SBS 광복 60주년 대기획 드라마로 이재규 PD가 연출하고 정성희 작가가 집필했다. 특히, 정성희가 1999년 집필한 드라마 국희 이전에 이 드라마를 먼저 기획했기에 국희[5]보다 더 공들여 집필한 만큼 좋은 결과물이 있을 거라고 장담하였으나... 평가는 글쎄...한마디로 막장 드라마라고 봐야한다.

이 드라마의 오프닝 BGM이 상당히 유명하고 각종 방송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듣기[6] 대표곡인 플라이 투 더 스카이의 '가슴 아파도' 또한 명곡으로 남았다.[7] 드라마 자체는 당시로서는 초대박 인기까진 아니었으나 이 곡 만큼은 노래방에서도 수년 동안 탑을 다툴 정도의 인기곡으로 사랑받았을 정도. 아예 드라마 곡인 줄 모르는 사람도 많다.

이 작품부터 SBS 월화드라마가 본격적인 HD 제작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시놉시스두 여자 패션 디자이너의 꿈과 사랑, 경쟁을 다룬 작품으로 평균 시청률 24% 최고 시청률 31%를 기록. 2005년에 10번째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가 되었다.

2. 줄거리

한국전쟁의 난리 속에서 피난을 와서 고창회의 딸 고준희는 이양자의 딸 한강희로, 이양자의 딸 한강희는 고창회의 딸 고준희로 자라게 된다. 이양자는 자신의 친딸 강희를 위해 준희를 맹골도에서 키우지만 성인이 된 준희는 맹골도를 벗어나 상경, 유명 패션 디자이너 장봉실의 제자가 된다.

여담으로 결말이 상당히 이해가 안가는 무리한 내용이었는데 고준희(김민정 분)가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했다는 죄목으로 사형 집행을 당하는데 충분히 그녀가 살해한 것이 아님을 입증할 수 있음에도 굳이 그걸 밝히지 말도록 자신이 막고 일부러 사형을 당하는 어이없는 전개로 빈축을 샀다. 일종의 자기속죄 격이라고 했지만 너무도 비참한 결말 때문에 당시 김민정이 방송 제작자들에게 밉보이게 되어 일부러 드라마에서 처참하게 죽음을 맞이하게 했다는 루머 등이 신문에 실리기도.[8]

3. 등장인물

3.1. 주연

한더미
파일:한더미 (패션70's).jpg
배우: 이요원
아역: 변주연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운명이 선택한 여자


김동영
파일:김동영 (패션70's).jpg
배우: 주진모
아역: 김영찬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영웅으로 살고 싶은 남자


고준희
파일:고준희 (패션70's).jpg
배우: 김민정
아역: 정민아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태생이 귀족적이고 화려한 예술적 감각을 지닌 여자


장빈
파일:장빈 (패션70's).jpg
배우: 천정명
아역: 은원재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장봉실 디자이너의 아들, 밀수꾼

3.2. 앙상블

장봉실
파일:장봉실 (패션70's).jpg
배우: 이혜영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우리나라에 현대적 패션을 도입한 패션계의 대모
방육성
파일:방육성 (패션70's).jpg
배우: 김병춘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장봉실의 재단사
하연경[9]
파일:하연경 (패션70's).jpg
배우: 현영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낮에는 앙상블의 판매원, 밤에는 복장학원의 견습생
피에르 방
파일:피에르 방 (패션70's).jpg
배우: 조계형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봉실의 파트너이자 방육성의 친조카
오상희
파일:오상희 (패션70's).jpg
배우: 김소연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아세아복장학원의 견습생

3.3. 맹골도

이양자(오갓난)
파일:이양자 (패션70's).jpg
배우: 송옥숙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고준희(강희)의 친모
양근
파일:양근 (패션70's).jpg
배우: 성동일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맹골도 우체부

3.4. 그 외

고창회
파일:고창회 (패션70's).jpg
배우: 전인택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더미의 친아버지
김홍석
파일:김홍석 (패션70's).jpg
배우: 최일화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국군 장군
오영수
파일:오영수 (패션70's).jpg
배우: 이미영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특별출연

4. 여담



[1] 우리가 알고 있는 그 패션회사 맞다. 패션업계 종사자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주고 싶어서 특별히 드라마 제작에 참여했다고 박순호 회장이 밝혔다.[2] 다모, 베토벤 바이러스, 더킹 투하츠 등 연출. 역대 연출작 중에서 이 작품이 시청률이 가장 좋았으나 평가는 가장 박하다(...).[3] 사랑의 불시착, 이두나! 등 연출.[4] 국희, 서울 1945, 자명고, 근초고왕(...), 불꽃 속으로, 장사의 신 - 객주 2015 등 집필.[5] 이재규가 MBC 재직 시절 조연출로 참여한 작품이다. 즉, 이 작품 이전에 이미 정성희와 인연이 있었다.[6] 송지만넥센 히어로즈 시절 등장음악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각종 예능에서 긴박한 상황을 연출하거나 다음 편을 예고할 때 많이 쓰였다. 들으면 다들 알 것이다.[7] 환희브라이언이 각각 부른 솔로 버전도 있다.[8] 사실 이 같은 결말은 김민정이 밉보인 것이 아니라 영화 출연 때문에 부득이하게 김민정이 연장분까지 출연하기 힘들어 다른 주인공들보다 일찍 하차함으로써 생긴 일이다. 이러한 처참한 강희의 결말이 오히려 강희 캐릭터를 부각시킨 측면도 크다. 김민정의 후반부 출연 비하인드는 이 문서의 여담 문단 참조. 드라마를 끝까지 본 사람이라면 작가가 가장 공들인 캐릭터가 주인공을 두고- 아니 주인공의 라이벌로써 고준희라는 것을 알 것이다. 참고로 김민정은 2015년 장사의 신 - 객주 2015 출연으로 이 드라마의 정성희 작가와 재회했다.[9] 원래 신이가 이 배역을 맡기로 했으나... 교통사고를 당한 후, 부상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하차했다. 기사[10] 이 드라마의 연출자인 이재규 PD와 다모를 함께한 인연으로 시간을 내어 우정출연하는 의리를 과시했다.[11] 저조한 시청률 때문에 원래 50회 예정이던 드라마가 조기종영 당해 39회로 마무리. 패션 70's는 마음대로 연장시키더니... SBS랑은 이래저래 안 맞는 듯...[12] 한석규, 이범수와 주연을 맡은 <음란서생>이다.[13] 신혼여행으로 떠난 푸껫에서 안타깝게도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으로 변을 당하였고, 2005년 1월경 시신이 발견되었다.[14] 이 외에 해신, 오버 더 레인보우(MBC), 로비스트, 베토벤 바이러스 등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하였다. 참고로 이 네 작품의 오프닝 타이틀곡인 Main Theme의 분위기가 비슷하여 들으면 같은 사람이 참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5] 이 드라마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Main Theme는 이필호가 작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