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7 16:08:03

파키케팔로사우루스/창작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파키케팔로사우루스
1. 개요2. 목록
2.1. 영화2.2. 다큐멘터리2.3.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2.4. 게임2.5. 기타
3. 캐릭터

1. 개요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공룡을 소재로 다룬 매체에서는 박치기를 주무기로 사용하는 모습이 많이 보이며, 비슷하게 박치기를 사용하던 것으로 보이던 후두류를 대표하는 공룡으로 자주 나온다. 단독으로 나오기보다는 다른 공룡과 콤비로 엮이는 모습이 많이 나온다. 주로 엮이는 공룡은 안킬로사우루스. 그 외에도 이마를 중요한 신체적 특징으로 갖고 있는 캐릭터들이 이 별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박치기로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육식포식자를 무찌르는 묘사가 많은데 실제로는 둘의 덩치 차이가 20배는 되기 때문에 티라노사우루스를 만난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도망치는 것 말고는 다른 수가 없었을 것이다.

2. 목록

2.1. 영화

파일:생포.jpg* 한국 영화 티라노의 발톱에서도 나왔다. 사람과 거의 비슷한 덩치로 나오며, 원시인과 박치기를 해서 쫓아내는 모습으로 나온다.

2.2. 다큐멘터리

파일:Prehistoric Planet 2 Pachycephalosaurus.png* 공룡 다큐에선 오랫동안 나오지 않았다가 2023년에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시즌 2 3화에 출연하였다. 작중 어린 수컷이 우두머리 수컷에게 도전하여 싸움을 걸다가 패배한 후 쫓겨나며, 드러난 진실에서 해당 습성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다루기도 하였다.

2.3.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

2.4. 게임

파일:pachycephalosaurus.jpg* 고대왕자 공룡킹 TVA에서는 비밀공룡으로 등장. 원래 속성은 불명이나 과거 Dr. 소노이다가 실험을 통해 다이아 크래시란 기술을 기술 카드없이 쓸 수 있게 개조하면서 머리가 항상 빛나는(…) 공룡이 되었다. 대머리를 비하하는 블랙 코미디인가 Dr.소노이다가 과거 지극정성으로 키운 공룡이라 이 녀석이 나타나다 열심히 자신을 떠올려보라며 설득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 노력으로 파키케팔로사우루스도 Dr.소노이다를 기억해내면서 감동의 재회…
가 아니라 분노의 박치기를 때려박았다! 사실 파키케팔로사우루스는 Dr. 소노이다를 몹시 싫어했던 것![1] 이후 지속된 배틀과 태양을 보며 태양권 다이아 크래시를 날리다 힘이 빠지면서 카드로 돌아가 D키즈가 카드를 회수했다.
그리고 1기 최종결전에서 블랙 티라노에 맞서기 위해 D키즈와 아쿠토단이 모든 공룡들을 꺼내면서 이 녀석도 재등장. 당연하다는 듯이 자신에게 올라탄 Dr.소노이다를 다시 쳐날리면서[2]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톡톡히 보여준다.
자세한 내용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고대왕자 공룡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5. 기타

3. 캐릭터


[1] 과거 회상 중에 Dr.소노이다에게 안긴 치비 모드의 파키케팔로사우루스가 박치기를 먹이는 장면이 복선이었다.[2] 덕분에 Dr. 소노이다가 아쿠토홀더를 떨궈 고다이 켄류가 사용할 수 있었다.[3] 빨피일 때 발동하면 파키케팔로사우루스와 같이 협공을 하여 적에게 추가 데미지를 주는 기술[4] 본 게임은 플레이어 공룡의 전투력이 낮을수록 기술 점수가 높고, 반대로 전투력이 높을 수록 기술 점수가 낮다. 즉, 전투력이 떨어지는 하급 공룡은 파키케팔로를 3마리까지 소환할 수 있지만, 전투력이 높은 공룡은 한 마리밖에 소환하지 못하는 것.[5] 사실 굳이 유전자 조작 설정이 아니더라도 초식동물이 종종 육식을 하는 사례는 있다.[6] 대표적인 챔은 유리하든 불리하든 하루종일 싸우려 드는 이렐리아가 있다. 근데 무서운 점은 이게 진짜로 통하며 몰락한 왕의 검이 뜨는 순간 그동안의 격차나 상성이 역전될 정도로 매우 강력해진다.[7] 심지어 박치공룡은 이상혁의 별명이기도 한다.[8] 촌충은 알다시피 뇌(...)가 없다. 이를 빗댄다는건...[9] 파키파키의 모델링은 공룡메카드의 파키케를 쓰고 있다. 이는 코리리를 만든 회사가 공룡메카드를 만든 초이락이기 때문.[10] 박태준 작가가 직접 왕석두의 전투 스타일을 파키케팔로사우루스를 기반으로 만들었다고 공인했다.[11] 이 열매의 현재 능력자인 울티는 파키케팔로사우루스 관련 캐릭터 중에선 드물게도 풍성한 캐릭터이다. 동물형으로 변신할 때도 머리카락을 그대로 유지하며, 인수형으로 변신할 때는 이마만 넓어지는 선에서 끝난다.[12] 엄밀히 말해 현재는 이 공룡의 아성체이자 동물이명으로 복속된 구 스티기몰로크.[13] 현실과는 달리 느리다. 하지만 내구 역시 좋은 편이 아닌지라 결국 구애스카프 등을 적극 기용하여 속공형으로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