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민족 | ||
<colbgcolor=#fafafa,#1a1a1a> 동슬라브 | 루스인 |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인 | 루신인 | |
서슬라브 | 레흐인 | 폴란드인 | 카슈브인 | 실레시아인 | |
체코슬로바키아인 | 체코인 | 슬로바키아인 | ||
웬드인 | 소르브인 | ||
남슬라브 | 동남슬라브 | 불가리아인 | 마케도니아인 | 포마크인 | 토르베시인 | 고라인 | |
서남슬라브 | 슬로베니아인 |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인 | 몬테네그로인 | 보슈냐크인 | ||
국가 및 지역 | |||
독립국 | 러시아 | 몬테네그로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우크라이나 | 체코 | 크로아티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미승인국) | 폴란드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루사티아 | 이다비루 |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슬라브어파 | ||
사상 | 범슬라브주의 | ||
신화 | 슬라브 신화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d20000>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2016년 혁명 ·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북마케도니아 소브라니에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
외교 | 외교 전반 · NATO · 유럽안보협력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 |
국방 | 북마케도니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마케도니아어 | |
지리 | 발칸반도 · 마케도니아 · 스코페 · 오흐리드 | |
민족 | 마케도니아인 · 토르베시인 |
1. 개요
- Torbeši, Торбеши
토르베시인은 북마케도니아에 거주하며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민족종교집단이다. 마케도니아인이나 불가리아인과 마찬가지로 남슬라브인에 속하며, 포마크인과 마찬가지로 순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불가리아 내에서 포마크인들에 대한 박해가 극심했던 것과 다르게 마케도니아 내에서는 토르베시인에 대한 박해가 다소 약한 편이었는데, 이는 마케도니아 독립 당시에 기여한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종교 차별 반대와 민족 융합을 추구했었기 때문도 있다.
토르베시는 "가방 든 사람"을 의미한다.
2. 역사
마케도니아 일대는 전통적으로 정교회를 믿던 지역이었으나 오스만 제국 지배 과정에서 많은 주민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었다. 특히 보고밀파를 믿던 기독교인들은 정교회에서 이단으로 찍혀서 입지가 어정쩡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먼저 개종한 편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당시에는 의무 교육이 있던 시대가 아니었고, 불가리아와 마케도니아 산악 지대는 교통이 불편하고 고립된 농촌이 많았기 때문에 비교적 낙후되었던 연유로 대다수의 농촌 주민들은 이슬람 교리와 기독교 교리를 구분하지 못하고 같이 믿었었다.오스만 제국의 지배 과정에서 불가리아 왕국 시대가 되면서, 불가리아 민족주의가 대두됐다. 때문에 불가리아 문화 내에서 이슬람 문화 및 터키적 요소를 대대적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일어났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수의 불가리아인/마케도니아인들이 이중신앙을 버리고 정교회만 믿게 되었다. 물론 이런 과정에서 이슬람을 고수하길 원하고 정교회 개종을 거부하는 인구도 적지 않았는데, 이들이 바로 포마크인과 토르베시인들의 조상이 된다.
토르베시인들은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의 서부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알바니아 동부에도 상당수가 거주한다. 알바니아와 코소보 사이에 거주하는 고라인과도 근연 관계이다. 불가리아의 무슬림 포마크인들이 박해를 피해 그리스를 거쳐 터키로 주로 이주한 것처럼 마케도니아의 토르베시인들 역시 상당수가 터키로 이주하고 마케도니아에는 소수만 남은 상황이다. 정확한 인구 통계는 힘들지만 이보 바나치에 의하면 2차대전 이전 구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 토르베시인 인구는 2만 7천여 명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