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 북마케도니아 소브라니에 원내 구성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미츠코스키 내각 (2024 ~ 현재) | ||
연립 여당 | |||
당신의 마케도니아 58석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VMRO-DPMNE 55석 ]] | [[마케도니아 사회당|마케도니아 사회당 2석 ]] | |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민주당 1석 | |||
VLEN 연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알바니아인 동맹|알바니아인 동맹 6석 ]] | BESA 운동 3석 | |
민주운동 3석 | 대안 2석 | ||
교섭단체 없음 | [[우리의 마케도니아를 위하여|우리의 마케도니아를 위하여 6석 ]] | ||
야당 | |||
유럽의 미래를 위하여 18석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SDSM 15석 ]] | 신사회민주당 2석 | |
자유민주당 1석 | |||
유럽전선 18석 | 통합을 위한 민주연합 10석 | [[알바니아인 동맹|알바니아인 동맹 4석 ]] | |
알바니아인 민주당 1석 | 인민운동 1석 | ||
튀르크 민주당 1석 | THDH 1석 | ||
교섭단체 없음 | [[좌파당(북마케도니아)|좌파당 6석 ]] | ||
재적 120석 | }}}}}}}}} |
| |
Социјалдемократски сојуз на Македонија | |
약칭 | СДСМ |
한글명칭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상징색 | 빨간색 |
창당일 | 1990년 4월 20일 |
이념 |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친유럽주의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좌파 |
주소 | ул. "Павел Шатев" бр. 8, 스코페 |
대표 | 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
국제 조직 | |
청년 조직 | 마케도니아 청년 사회민주주의 |
정당 연합 | 유럽의 미래를 위하여 |
유럽 정당 | 유럽 사회당(협의회) |
소브라니에 의석 수 | 15석 / 120석 |
웹사이트 |
1. 개요
북마케도니아의 정당으로, 전신은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마케도니아 공산당 연맹(Сојуз на комунист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이다.2. 역사
1991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붕괴되기 직전, 마케도니아 공산당 연맹은 제11차 당대회에서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으로의 당명 개칭을 통과시킨다. 동년 9월 독립 이후에는 야당이 되었지만, 다음 총선인 1994년 총선에서는 다른 좌파정당들을 규합해 우파 빅 텐트 정당 VMRO-DPMNE를 꺾고 집권하게 된다.1998년 총선은 다시 단독으로 치렀으나 재집권에 실패하고, 이후 2002년 총선에서는 정당 연합을 통해 다시 집권하게 된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는 야당으로 머물다가 2016년 총선에서 10년 만의 재집권에 성공했다. 이는 대선도 마찬가지여서 키로 글리고로프,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3명의 대통령만을 배출했다.
SDSM은 2017년 집권하면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나토) 가입, 유럽연합(EU) 가입 협상 개시, 부패와의 전쟁을 약속했지만 이중 이뤄진 것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입뿐이다.
북마케도니아는 인접국 그리스가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이 자국 고대 영토의 고유 지명이었다며 이를 빌미로 나토와 EU 가입을 막자 거센 반대 여론 속에 헌법까지 개정해 2018년 국호를 마케도니아에서 북마케도니아로 변경하면서 30번째 나토 회원국이 되는 데 성공했다.
국호 변경으로 그리스와의 갈등은 해결됐지만 그러자 이번에는 불가리아가 EU 가입을 막았다. 불가리아는 북마케도니아가 불가리아 소수민족을 헌법으로 인정할 것을 요구하며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에 집권 여당인 SDSM은 불가리아의 지지를 얻기 위해 개헌을 시도했으나 의회 120석 중 3분의 2 찬성을 확보하지 못했고 EU 가입 협상은 또다시 교착 상태에 빠졌다.[1]
EU 가입에 대한 기대가 좌절되자 야당인 VMRO-DPMNE가 고스란히 반사이익을 누렸다. 결국 총선과 대선에서 야당이 압승하면서 정권을 다시 내어주게 되었다.
3. 기타
- 당 색깔이 남색에 가까운 파란색이었지만, 2020년 총선을 앞두고 유럽의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처럼 빨간색으로 바꾸게 된다.
-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 당시 NATO와 유럽연합 가입을 위해서라면 국명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입장이었으며, 2018년 프레스파 협정을 맺음을 통해 북마케도니아 내 많은 반발에 불구하고 국명을 바꿀 수 있었다.
[1] 2005년 EU 후보국 지위가 부여된 북마케도니아는 그간 그리스, 불가리아 등 기존 회원국의 반대에 부딪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