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9:30:35

퀸톨

파일:샌드박스 네트워크 가로형 로고 화이트.svg

소속 치지직 스트리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분만가인저쏘제계화과로사군림보금강연화
금휘김동현김블루김성회의 G식백과김재원꽃핀
남도형의 블루클럽네루짱단군당신이 몰랐던 이야기도티똘킹
라디유램램러끼런민기레바루루카
류으미마레 플로스마뫄말랑찹쌀매직박미치르 메르헨
밍모박옥자누나백곰파빅헤드뽀융쨩쁘허
사모장살구새옴선바소니쇼쉐리
아빠킹아이템의 인벤토리양아지에렌디라연두예라랑
옥냥이왈도쿤용연향유콘이글콥이로나묭 치카
이춘향장마군주둥이방송주키니주호민지식해적단
진돌진렬이쵸쵸우치킨쿤퀸톨태경
판자집 강아지푸린풍월량프로관전러 P.S피큐큐핏블리
헤징형독흑운장
소속 SOOP 스트리머 · 전체 소속 크리에이터}}}}}}}}}
<colbgcolor=#FFBAB3><colcolor=white> 퀸톨
queentol
파일:퀸톨 유튜브 프로필 사진.jpg
본명 한다희 (韓多喜[훈음] | Han Da-hee)
생년월일 4월 12일[2]
거주지 서울특별시[3]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청주 한씨
신장 163cm[4]
혈액형 O형
가족 1남 2녀 中 장녀
학력 경기외국어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학사)
소속 샌드박스 네트워크
캐릭터 컨셉 왕관이 있는 여왕 햄스터
마크 닉네임 _queentori
팬닉 햄톨유튜브 럽톨멤버십[5]
구독자 109만 명[기준]
조회수 675,566,463회[기준]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SOOP 아이콘.svg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커뮤니티 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디어스 아이콘.png

1. 개요2. 콘텐츠3. 유튜브 및 생방송 특징
3.1. 유튜브 특징3.2. 생방송 특징
3.2.1. 유튜브 라이브3.2.2. 치지직
3.3. 퀸톨TV 그룹
3.3.1. 빅톨즈(해산)3.3.2. 팀큐브
4. 방송 규칙5. 방송 외 활동
5.1. 소설 집필5.2. 게임 개발
6. 밈7. 플레이 한 게임8. 다른 인물과의 관계9. 방송 및 유튜브 역사10. 여담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tablewidth=100%><width=5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FFBAB3>뚠두둔[8] 여러분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퀸톨입니다~ 우후~ 오늘 해볼 콘텐츠는~
유튜브 오프닝 멘트 ||

유튜버이자 치지직 스트리머이며, 前 아프리카TV BJ이자 트위치 스트리머이다. 주로 마인크래프트로블록스를 컨텐츠로 하고 있다. 전직 아나운서 출신으로 시청자가 듣기 편안한 목소리가 특징이다.

2. 콘텐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퀸톨/콘텐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유튜브 및 생방송 특징

3.1. 유튜브 특징

3.2. 생방송 특징

====# 아프리카TV #====
정기 방송일은 시기별로 편차가 있으나 '화,목,금,토' 혹은 '수,목,토,일' 오후 9시 내외로 시작하여 다음날 00시~1시 사이에 방종을 하였다. 주요 컨텐츠로는 마인크래프트, 종합게임, 따슷 라디오, 공포 라디오가 있으며 아프리카TV시절 특유의 컨텐츠로는 릴레이 소설이 있었다.
듣기 좋은 목소리에 준수한 외모의 캠방으로 시청자들이 유입되었고 도티와 친구들 멤버들과의 케미가 돋보이는 종합게임 합방을 진행하였다. 합방이 아닐때는 라디오 등의 포근한 분위기의 컨텐츠가 많이 진행되었다. 시청자 한명 한명을 신경써주는 방송 특징은 가장 두드러지는 유입 경로이다.당시 유행이기도 했던 시청자들의 닉네임을 불러주는 진행은 손에 꼽을 정도로 신경을 써준다. 생방송이 시작하면 아프리카TV 채팅창 위쪽에 있는 참여한 시청자 목록을 보고 빠짐없이 모두 읽어준다. 생방송 시청자가 몇 백명대가 되는 날에는 아나운서 짬밥에서 나오는 발음과 속도로 현란한 래핑을 보여주기도 했다.
방송의 마무리는 막뀨라는 컨텐츠를 진행하였는데 시청자들이 채팅으로 를 치다가 퀸톨이 채팅을 얼렸을 때 마지막으로 를 친 시청자를 막뀨라고 칭했으며 퀸톨이 방송 마무리 멘트로 막뀨를 한 시청자의 닉네임을 언급하며 덕담을 나누어준다. 다른 시청자들도 팬카페에서 방송 후기를 작성할 때 막뀨를 성공한 시청자를 축하해주는 문화도 있었다.[12]
시청자들의 팬닉은 퀸덕 (닉네임) :Q[13]였으며 방송의 주인인 퀸톨이 먼저 시청자들의 닉네임을 불러주며 관심을 보여주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다른 시청자들도 퀸톨이 언급하는 시청자의 대한 채팅을 치는게 특징이다.[14]
{{{#!folding  [ 컨텐츠 상세보기 ]
마인크래프트 시참 : 하이픽셀 서버, 점프맵, 호박좀비에서 대부분 이루어졌다. 혹은 한 가지 주제를 제시하고 시청자들에게 30x30 정도의 부지를 준 뒤 주제에 맞는 건축을 하고 감상을 하는 건축 시참도 가끔씩 진행하였다.
따슷 라디오 :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ost인 변하지 않는 것을 틀고 시청자들이 팬카페에 쓴 사연을 읽거나 명언을 읽어주고, 여타 잡담도 나눈다. 처음에는 주 1회 컨텐츠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매 방송의 마무리로 자리잡게 된 컨텐츠다.
공포 라디오 : 따슷라디오와 다르게 무서운 이야기 혹은 사연을 읽어주는 컨텐츠이다. 공포게임도 좋아해서 생방송에서 많이 진행했지만 여타 방송과 다르게 방송인이 공포게임을 무서워하지않고 시청자들이 무서워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는 방송이었다. 때문에 공포게임을 하면 무서워서 나가는 시청자들이 있었던 문제점 때문에 공포라디오 같은 공포게임보다 덜 부담스러운 컨텐츠를 진행하게 되었다.
릴레이 소설 : 팬카페에 퀸톨이 게시글로 문장을 하나 던지면 시청자들이 댓글로 소설을 한 문장씩 이어나가는 방식. 참여 순번도 기준도 없었기에 중반부만 가도 혼돈이 펼쳐지는게 진풍경이다.
}}}

====# 트위치 #====
정기 방송일이 정해지진 않았지만 주 3~4회 정도 생방송이 진행되었다.[15] 2018년 중반까지는 평일 21시 내외로 방송을 시작하여[16] 3시간 정도의 방송을 진행하고, 2018년 말에는 22시 내외로 방송을 시작하여 다음날 새벽 6시 30분까지 생방송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아프리카TV 때와는 다르게 생방송에서 진행했던 컨텐츠가 유튜브에 그대로 연동되지 않았기에[17] 유튜버와 스트리머로써의 일이 중첩되어 2배가 되었다. 또한 후술할 방송 외적인 일도 있어 과로로 인해 건강상의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였고 결국 2019년 2분기부터 생방송 시간이 1시간 내외로 크게 줄어들었다.
주요 컨텐츠는 저스트 채팅(라디오), 종합게임[18], 마인크래프트 시참이 있었다.
마인크래프트 시참은 더이상 하이픽셀 서버를 들어가서 시참을 하지는 않았고 대부분 건축 시참을 위주로 진행했다. 종합게임으로는 스토리 위주의 게임이나 쯔꾸르 게임들을 즐겨했고 공포게임도 좋아하기에 간간히 했다. [19] 새벽 6시 30분까지 방송을 하던 시절엔 보통의 전업 스트리머들처럼 스토리 게임 하나를 방송 한 번에 마무리 짓거나 장편 게임의 경우 챕터 하나를 끝내고 방종을 하였다. 아프리카TV 때부터 보았던 시청자들은 12시에 잠들어서 출근때문에 6시에 깨어났는데도 방송이 켜져 있을 때 심히 당황을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아프리카TV 생방송 때와 큰 차이점을 보이는 것은 라디오 시간이다. 아프리카TV때 진행하던 따슷라디오에서는 퀸톨을 놀리는 시청자가 별로 보이지 않았지만 트위치에서 방송을 시작한 뒤로 트수들의 영향력이 생기자 저스트 채팅에서 퀸톨을 놀리는 시청자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래도 티키타카가 되어 방송에 큰 지장은 없었으나 가끔씩 영도로 뇌절[20]을 하는 트수들 때문에 골머리를 썩히기도 했다.
트위치 방송부터 유튜브와 생방송의 결을 달리 했기 때문에 컨텐츠의 방향과 시청자층이 극명하게 나뉘었다. 유튜브는 앞서 서술했던 상황극 등의 마인크래프트 컨텐츠를 주력으로 업로드하였고, 트위치 방송은 여타 다른 종겜 스트리머와 같은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유튜브에는 상황극을 즐겨보는 초중생들이 팬덤 대부분을 차지하고 트위치는 남아있는 아프리카TV 생방송때부터 보던 시청자들이나 10대 중후반 ~ 20대 트수들의 유입이 자리하고 있었다.[21]
트위치에서 방송을 시작한 뒤로 도티와 친구들 멤버와 몇몇 마인크래프트 유튜버[22]들과의 합방 외에도 다른 스트리머들과의 교류가 크게 늘게 되었다. 퀸톨은 자기 사단의 크루인 빅톨즈를 만들어 고요, 로아, 쫀득과 마크 유튜브를 촬영하면서 생방송에서도 약간의 교류를 하였고, 다른 샌드박스 네트워크 소속 스트리머들 또는 타 mcn 소속, 타 크루 스트리머들과도 합방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3.2.1. 유튜브 라이브


2025년 1월 기준으로 공식적인 유튜브 생방송은 화,금,일 저녁 9시~9시 30분 사이였으나 바쁜 개인 스케줄로 인해 요일이 유동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방송 일자는 디어스에서 당일 생방송 2~3시간 전 혹은 전일에 공지한다. # 방송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진행한다. 보통 일요일에는 치지직으로 넘어가 생방송을 이어서 켜기도 한다.

방송의 레퍼토리는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흘러간다. 방송 시작 후 들어온 시청자들의 이름을 최대한 불러주고[24] 15분 정도 시청자들과 잡담을 나눈다. 그 후 로블록스 시참으로 할 게임을 투표로 정한 뒤 로블록스 시참을 진행한다.[25] 30분 정도 시참 로블록스를 진행한 뒤 라디오를 짧게 진행한다. 그리고 일요일이면 로블록스가 끝난 뒤 팬카페에서 팬아트를 둘러보고 방송에서 시청자와 같이 감상한 뒤 직접 댓글을 남겨준다. 또한 치지직으로 생방송을 이어서 켤지 안켤지 결정한다.

빅톨즈 구성원들이 자연스럽게 각자의 길을 걷게되고 퀸톨은 로블록스를 위주로 하는 팀큐브를 창설하였다. 팀큐브는 퀸톨이 생방송을 할 때 모여서 유튜브 영상으로 사용할 로블록스 컨텐츠를 촬영한다. 또한 로블록스 전문 유튜버들과 팀큐브의 교류를 시작하여 합방을 하거나 로블록스 유튜버들이 퀸톨 생방송에 자주 놀러오게 되었다.

유튜브 라이브 초반에는 일반적인 생방송의 화면 비율이었지만 2024년 5월 19일부터 유튜브 매니저의 조언으로 쇼츠와 같은 화면비의 세로 라이브를 진행하게 되었다.[26][27]

생방송의 대부분을 지각한다. 최소한 공지했던 시간에서 10분은 늦는다고 생각하면 된다.[28] 지각을 너무 많이 해서 그런지 시청자들은 이젠 그러려니 하고 있다. 그러나 유일하게 방송을 지각하지 않는 날이 있는데 바로 팀큐브 멤버들과의 합방 날. 이 날은 늦어도 5분 안에는 방송을 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해가 서쪽에서 뜰 확률로 지각을 하지 않는 날이 오면 시청자들이 다 같이 '당신 누구야'를 외치며 놀란다.

생방송의 시간이 짧은건 나름의 이유가 있는데 퀸톨은 전업 유튜버(스트리머)가 아니다. 방송 외적으로 크게 나타내는건 없지만 생방송에서 짧게 얘기해주는 것만 해도 데드아이 소설 집필, 게임 개발, 유튜브 롱폼 업로드, 유튜브 쇼츠 제작 등이 있다. 생방송은 취미이자 힐링의 시간인 것이다. 너무 많은 일들을 한번에 처리하고 있다보니 개인시간과 건강에 여유가 심히 없어졌다. [29]

3.2.2. 치지직


보통 유튜브 라이브를 끝낸 일요일에 바로 이어서 켜게 된다.

기존 트위치 시절 방송을 계승한 분위기로 종합게임 위주의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로블록스 콘크리트층이 두터운 유튜브 라이브에 비해 치지직은 퀸톨이라는 스트리머를 보러오는 시청자들이 대부분이었기에 퀸톨도 부담없이 자신이 하고 싶은 게임을 마음껏한다. 그러나 방송 시간이 1시간 내외로 매우 짧아 스토리 게임 하나를 몇 달에 걸쳐 끊어 플레이하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각 잡고 게임과 방송에 몰입하려해도 중간에 지속적으로 끊기는 불상사가 생기는 셈. 그러나 치지직유튜브 라이브보다 더욱 취미인 방송이기 때문에 시청자들도 크게 개의치 않는다.

치지직은 정말 방송시간이 짧기 때문에 [30] 치지직 구독을 해주는 사람들에겐 정말 고마우면서도 미안한 감정이 많이 든다고 한다.

3.3. 퀸톨TV 그룹

3.3.1. 빅톨즈(해산)

퀸톨TV의 첫 고정 멤버 역할을 맡은 그룹이다. 다양한 마인크래프트 컨텐츠를 함께 촬영하였으며 오프라인에서도 종종 모이는 관계다. [31]
특히 고요, 쫀득, 퀸톨 세 명의 케미는 고요의 작은 키를 놀리는 쫀득과 그 상황을 보고 하이톤으로 웃는 퀸톨. 그리고 퀸톨이 웃을만큼 웃었으면 갑자기 고요의 편에 서서[32] 쫀득을 합동 공격하는 모습이 관전포인트. 그냥 퀸톨은 분탕과 장난이 즐겁다.

-멤버-

3.3.2. 팀큐브

2024년 11월부터 로블록스 컨텐츠를 위한 그룹인 팀큐브가 창설되었다. 로블록스에 입문하는 방송인들이 뭉쳤으며 타워 혹은 기타 로블록스 컨텐츠를 함께 플레이한다.

4. 방송 규칙

1. 이모티콘 7개 이상, 4줄이상 도배금지
2. 타유튜버,타시청자 언급금지
3. 어그로, 반복 채팅 금지.
4. 욕설 등 부적절한 언행 금지
5. 로블 친추 안받아요! (비공섭운영)
6. 친목금지
사실 형식상 올려둔 방송 규칙이다.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표방하기 때문이다.
아프리카TV에서 생방송을 하던 시절에는 그 시절 인터넷 방송 특성상 규칙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통제를 할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트위치 방송부터는 규칙은 존재했으나 엄격하게 채팅관리를 하지 않기 시작했다. 2021년 유튜브 생방송부터는 규칙은 존재하나 심한 도배나 성희롱 채팅만 치지 않으면 웬만한 제재는 없다.
그러나 암묵적으로 정해둔 것이 있는데 노잼이란 단어를 치는 사람은 무조건 이다. 어린 시청자들이 존재하는 이상 안좋은 분위기에 휩쓸릴 수 있다는 것이 이유다. 그러니 장난으로라도 노잼이라는 단어는 피하자.

5. 방송 외 활동

5.1. 소설 집필

퀸톨의 가장 흥행한 마인크래프트 상황극인 데드아이를 소설로 집필하고 있다. 2025년 1월 기준으로 3분의 2정도 써낸 상태라고 언급하였다. 2025년 내로 출판을 할 계획이라고 하며 소설의 가격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5.2. 게임 개발

퀸톨 포함 3인 정도의 팀원들로 모바일게임을 하나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퀸톨은 여기서 게임 기획에 참여한다고 하였으나 자세한 게임 내용이나 장르는 아직 공개한게 없다. 게임도 2025년 내로 출시하는게 목표라고 한다. 출시하면 중간 광고를 마구마구 넣겠다고..

6.

각 플랫폼에서 시작된 밈마다 부합하는 플랫폼 아이콘 배치. (아프리카TV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트위치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치지직파일:치지직 아이콘.svg)
{{{#!folding  [ 사용하지 않는 밈 ]
* 영원한 17세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2015년 아프리카TV방송을 진행할 때 처음 온 시청자가 나이를 물어볼 때 퀸톨이 말한 말. 시청자들도 '퀸톨님은 영원한 17세십니다~' 라고 동조해줬다. 2016년이 되자 시청자들이 '이젠 영원한 18세인가요.'라고 물어보기도 했다. [38]
}}}

7. 플레이 한 게임


===# 기타 플레이 한 게임 #===

8. 다른 인물과의 관계

타고난 인싸기질로 알고 있는 방송인들이 상당히 많다. 그러나 방송 내적으로의 교류가 거의 없는 수준이라[41] 퀸톨과 특정 방송인이 방송에서 친한 모습을 보여도 양쪽 시청자들은 이 두 사람이 왜 친한지 이유를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


9. 방송 및 유튜브 역사

2014년 11월 11일 아프리카TV에서 개인방송을 시작했다. 개인방송에서는 마인크래프트, 스팀 게임, 공포 게임 등을 진행했으며 게임을 진행한 후에 시청자들과 따슷라디오를 통해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가끔 본인 팬카페에 들어가 글을 읽곤 했다.

유튜브 채널은 2014년 12월 4일부터 만들었으며 첫 영상인 '네버 엔딩 나이트메어' 게임을 첫 컨텐츠로 채널 개설 다음 날인 2014년 12월 5일에 업로드를 하였다.[49]

이후 2014년 12월 9일 도티 TV 유튜브에 첫 등장하며 친구들과 함께 컨텐츠를 진행했다. #[50][51]

2015년 4월 3일에 얼굴공개를 했다.

2016년 7월 25일, 유튜브 구독자 20만을 달성했다.

2016년 12월 17일, 유튜브 구독자 30만을 달성했다.

2017년 8월 4일, 유튜브 구독자 40만을 달성했다.

2018년 1월 방구석 인싸이드 커뮤니티에 입주했다.

2018년 4월 7일, 유튜브 구독자 50만을 달성했다.

이전까지는 가끔씩 트위치 방송이 켜졌었지만, 2019년 초반부터는 정기적인 트위치 방송을 시작했다. 당시 주 방송 시간대는 주말 저녁. [52]

2019년 10월 21일, 유튜브 구독자 60만을 달성했다.

2020년 새해 카운트다운 방송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독감으로 인해 몸 상태가 좋지 못했으며 트게더에 2주 동안 쉬고 오겠다는 글을 남겼다. 그러나 여러 가지 질병과 부상이 겹쳐 오랫동안 방송을 키지 못했다.

2020년 4월 6일, 뉴띵마을을 통해 다시 방송이 켜졌다. 갑자기 방송을 키게 된 이유는 뉴띵마을을 하고 있는 모습을 매니저한테 들켜 방송을 키게 되었다고 한다. 이 때부터 뉴띵마을이 진행되던 기간에는 거의 매일 방송을 켰고, 이 후에도 방송을 꾸준히 키고 있다.

2020년 6월 1일 트박스에 입성하였다. #

2020년 6월 2일 현재는 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트위치 문화를 배워가는 등 스트리머가 되기 위한 준비를 열심히 하고 있다.

2024년 9월 16일, 유튜브 구독자 100만을 달성했다.

10. 여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자극적인 썸네일이나 주제 우려먹기 등의 문제점\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자극적인 썸네일이나 주제 우려먹기 등의 문제점\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1. 둘러보기

도티와 친구들 (해산)
DDOTTY FRIENDS
파일:도티프.png
파일:잠뜰33.jpg
파일:태경.png
파일:쁘띠허브.jpg
파일:비콘5.png
파일:빅민.png
파일:찬이 프로필.jpg
파일:퀸톨6.png
도티 잠뜰 태경 쁘허 비콘 빅민 찬이 퀸톨

팀 큐브
파일:퀸톨 유튜브 프로필(2).jpg
파일:김짱돌 프로필 사진.jpg
파일:앙코 mk.3 프사.png
파일:꼬예유 & 한예찬의 게임저장소.jpg
퀸톨 김짱돌 앙코 한예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디움1.jpg
디움}}}}}}}}}

[훈음] 많을 기쁨 [2] 나이는 공개된 적이 있으나, 시청자들과의 거리감을 우려해 작성 또는 언급하지 말 것을 부탁했다.[3] 트위치 시절 기준[4] 참고 영상. 프로필 상 키는 163cm이고, 실제 키는 159cm이다.[5] 다른 팬닉으로는 햄찌단이 있다. 아프리카TV 활동 때는 퀸덕으로 했었다.[기준] 2025년 2월 5일[기준] [8] 영상에서 처음 하는 뚠뚜둔~ 은 시청자의 흥을 돋게 하기 위해서 브금을 따라하는 것이라고 밝혔다.[9] 쇼츠 포함[10] 2018년 기준 팬 남녀성비가 5:5에서 2:8 수준으로 바뀌었을 정도다.[11] 2016년 초반부터 생방송 빈도가 많이 줄어들었다.[12] 이것은 유튜브 라이브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퀸톨 생방송의 전통이다.[13] :Q만 쓰는 경우도 많다.[14] 예를 들면 한 시청자가 건축 시참에 참여해서 작품을 방송에서 다같이 보는 상황엔 "~님 건축 정말 잘하신다."등의 칭찬이나 용기를 북돋아주는 편.[15] 생방송 공지는 채팅 매니저를 통해 당일 트게더에 일정을 공지하거나 본인이 직접 공지하였었다.[16] 주말에는 편차가 컸다. 4~5시에 방송을 켤 때도 있었고 평일과 동일하게 21시에 켜는 날도 있었다.[17] 2016년부터 유튜브는 종합게임이 아닌 상황극이 주를 이룬 시기였다. 상황극이 아닌 다른 컨텐츠를 올리면 당장의 조회수도 나오지 않을 뿐더러 알고리즘이 망가질 뿐이었기에 트위치 생방송 자료를 편집본으로 올리기 꺼려지는 상황이었다.[18] 유튜브에 올리지 못하는 만큼 트위치 생방송에서 많이 진행하였다.[19] 예전보다 공포게임을 볼 수 있는 시청자들이 늘게되어 좋았다고[20] 흑역사 영상 등[21] 그러나 유튜브 상황극을 보던 어린 구독자들이 생방송으로 넘어와 데드아이와 같은 상황극을 언제 하냐는 채팅을 도배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22] 예순, 이춘향[23] 2017년과 2018년에도 1~2번 정도 라이브 방송을 켠적이 있으나 정기적인 라이브 방송은 아니었다.[24] 유튜브 라이브는 방송 참여자 명단이 제대로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채팅을 친 시청자들의 닉네임을 읽어주는 식으로 바뀌었다.[25] 시참 컨텐츠를 시작하기 전에 언제나 유튜브 오프닝 멘트를 읊는데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퀴~인톨이구요 오늘~가끔씩 시참 생방송 영상이 유튜브 영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26] 세로 라이브를 진행하게 된 이유는 유튜브 매니저의 조언 밖에 없었지만 당시에 로블록스 쇼츠를 업로드하기 시작하였고 쇼츠 시청자의 라이브 유입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쇼츠 영상을 넘기다보면 세로 비율의 라이브가 나오기 때문.[27] 치지직 생방송은 일반적인 화면 비율로 진행한다.[28] 유튜브 라이브 기준 최대 40분까지 늦은 전적이 있다.[29] 2025년 1월 기준 체력이 안좋아졌다는 말을 수시로 하게 되었다.[30] 격주에 1~2번 방송하면 많이 하는 수준[31] 고요, 쫀득은 현실합방도 같이 한 번 진행하였다.[32] 그 순간 고요는 언니가 자신의 키를 가지고 웃었다는 사실은 금세 잊어버린다.[33] 출연 기간: 2017. 10. 29 ~ 2018. 03. 29[34] 이전엔 램램tv 소속이었다.[35] 출연 기간: 2017. 7. 21 ~ 2018. 11. 30[36] 출연 기간: 2017. 10. 20 ~ 2018. 11. 30[37] 트위치부터는 채팅 얼리기 기능이 존재하였으나 방장이 사용법을 몰랐기에[38] 정작 퀸톨은 생방송 주기가 줄어든 시점부터 본인이 영원한 17세였는지 19세였는지 20세였는지 헷갈려하는 경우가 태반이라 매번 나이가 바뀌었다.[39] 공식 프로필 상으론 163이지만 실제 키는 159.3cm이다. 그래서 비공식 자리에서 쓰는 키이자 실제 키다.[40] 엔더드래곤은 커녕 하드코어에서 애기좀비에게 1대1을 질 정도다..[41] 퀸톨은 보통 자기 크루원들과의 합방을 제외하면 외부 합방을 거의 하지 않는다. 만약 하는 날이 있어도 그걸 시청자들에게 일정을 공지하지 않고 뒷합방을 하거나 합방 유튜브가 타유튜버 계정에 업로드 되어도 언급을 하지않는다.[42] 쁘허 포함[43] 2020년 4월 이후 출연하지 않고 있다가 1년후인 2021년 7월 28일 영상에 출연을 하였다.#.[44] 사실 퀸톨도 뒷 일 생각 없이 무작정 빚내고 초대하긴 했는데 금액이 상당하다보니 미안해서 빚 갚는걸 몇 번 도와준 적이 있다.[45] 그러다가 2021년 11월 12일 영상에 오랜만에 출연했으며 이후 3개월 만인 2022년 2월 24일 영상에도 출연했다. 2022년 4월에도 출연했다. 다만 4월에 나온 영상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비공개 처리되어 볼 수 없는 상태이다.[46] 호스팅으로 넘어온 1000명의 도현 시청자들이 복수 명단에 퀸톨을 써넣은 우리 못난 방장 대신 사과를 한다고 단체로 채팅을 올린 일화가 있다.[47] 소우릎은 당시 마크 뉴비였다.[48] 심지어 앙코가 없을 때도 퀸톨 혼자 휘용 옆에 가서 어마무시한 양의 토크를 진행하자 휘용의 허허허만 하는 모습이 일품이다.[49] #[50] 당시 주로 컨텐츠를 같이 하던 사람들은 도티와 친구들과 다르게 그냥 같이 게임하던 사람들이었을 뿐, 크루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51] 도티와 같은 연세대학교 선후배 사이며 퀸톨이 먼저 도티에게 연락하며 서로 알게 되었다고 한다.[52] 2019년 02월 16일 트위치 생방때 트위치 이적 이후 처음으로 캠을 킨 역대 방송중 최다 시청자수 200명을 찍었고 현재까지도 역대 최다 시청자수이다.(호스팅 제외)[53] 여동생은 퀸톨이 아플때 간호해 준 적이 있다.[54] 남동생은 퀸톨의 컴퓨터를 맞춰주었다.[55] 참고 영상 1 2[56] 커피가 없으면 불안하다고 한다. 방송에서도 시청자들이 커피를 줄이라고 말하고, 오늘 하루 커피를 얼마나 마셨는지 물어보기도 한다.[57] 이 동영상 에서 밝혔다.[58] 현재는 프리랜서로 활동중이라고 하며, 기존에 속해있던 방송사는 밝혀지지 않았다.[59] 방종브금[60] 방종 브금[61] 그래서 유리몸이라고 불린다.[62] 아마 2020년 들어 확 늘어난 스케줄이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