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08:47:36

퀘이크 4

파일:PngItem_3325169.png   퀘이크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퀘이크 로고.png
퀘이크
파일:퀘이크 2 로고.png
퀘이크 II
파일:퀘이크 3 아레나 로고.png
퀘이크 III 아레나
파일:QUAKE(2021) Cover.png
퀘이크 리마스터
파일:quake2_header.png
퀘이크 II 리마스터
파일:퀘이크 라이브 로고.png
퀘이크 라이브
파일:퀘이크 4 로고.png
퀘이크 4
파일:에너미 테러토리: 퀘이크 워즈 로고.png
에너미 테러토리: 퀘이크 워즈
파일:퀘이크 챔피언스 로고.png
퀘이크 챔피언스
}}}}}}}}} ||

퀘이크4[1]
Quake 4
파일:91648-quake-4-windows-front-cover.jpg
개발 레이븐 소프트웨어
유통 액티비전(Windows 및 Xbox 360)
Aspyr (Macintosh)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macOS | Linux | Xbox 360
ESD Steam | App Store[2]
장르 FPS
출시 Windows
파일:미국 국기.svg 2005년 10월 18일[3]
macOS[4]
파일:미국 국기.svg 2006년 03월 24일[5]
Linux
파일:미국 국기.svg 2005년 10월 20일[6]
Xbox 360
파일:미국 국기.svg 2005년 11월 18일[7]
엔진 id Tech 4
한국어 지원 미지원[8]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9]
해외 등급 파일:ESRB Mature.svg ESRB M[10]
파일:PEGI 18.svg PEGI 18[11]
관련 사이트 스팀 구매 페이지 | Mac App Store 링크[12]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특징
3.1. 싱글 플레이
3.1.1. 스토리
3.2. 멀티플레이3.3. 무기
4. 평가5. 기타6. 관련 문서7. 외부 링크

1. 개요


I hear their voices when I sleep. I've seen the worst of war. But I can't escape the images of the Strogg. A metallic spine, jutting awkwardly through muscle. Flesh and bone fused with wires and steel. I hear their voices when I sleep. Created for war, and fueled by the blood of their enemy. But this isn't just a nightmare, it's who I've become. - 매튜 케인
지구의 생존을 위해, 무자비한 적을 상대하는 전쟁에서, 그들을 이길 유일한 방법은...
바로 그들이 되는 것이다.

퀘이크 시리즈의 네번째 작품이다.

2005년 10월 18일에 발매되었으며 제작사는 이드 소프트웨어가 아닌 레이븐 소프트웨어다. 이드 소프트웨어는 감수만 하였다. 둠 3 엔진(후일 id Tech 4로 개명)을 사용했으며 엑스박스360, 매킨토시, 리눅스로 이식·발매되었다.

퀘이크 3에서 사라졌던 싱글 플레이가 다시 부활했다. 스토리는 퀘이크 2의 엔딩에서 바로 이어지며 스트로그의 모성인 스트로고스에 쳐들어가 박살을 내는 내용. 이로써 퀘이크 워즈 → 퀘이크 2 → 퀘이크 4로 이어지는 스트로그 연대기가 막을 내린다. 자세한 것은 퀘이크 연대기 참고.

2. 시스템 요구 사항

출처는 스팀 구매 페이지.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Windows
운영체제 Windows XP
프로세서 Intel Pentium 4 2.0GHz 이상
AMD Athlon XP 2000+ 이상
메모리 512MB
그래픽 카드 DirectX 9.0c 지원
VRAM 64MB 이상
3D 그래픽 지원
그래픽 카드
API DirectX 9.0c
저장 공간 2.8GB[13]
기타 DirectX 9.0c 지원
16비트 사운드 카드

3. 특징

3.1. 싱글 플레이

너무 길지도 너무 짧지도 않은 적당한 플레이 시간 분량의 캠페인을 담고 있다. 게임 초반에는 해병 매튜 케인이 정찰병으로써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쪽으로 진행되며 대부분 분대 플레이 형식이며, 차량이나 워커 유닛도 직접 조작이 가능하다. 탈것으로만 진행되는 챕터도 있으며, 탈것의 조작 방법은 간단한 편이다.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스트로그 기지 내로 침입하면서 초반의 분대 전투가 아닌, 주인공 단독으로 남겨지는 상황이 많아지는데, 이때부터 우월한 신체능력을 활용해 스트로그 기지 내부를 종횡무진 뛰어다니며 활약한다. 특히 스트로그화된 주인공의 능력을 눈여겨 본 상부에서 주인공을 특수임무에 투입하는 부분부터는 주인공의 활약상이 크게 두드러진다.

퀘이크 시리즈답게 개성 넘치는 다양한 무기가 등장하며 무기별로 고유의 특징을 갖고 있고 그래픽/사운드 이펙트도 다 다르기 때문에 손맛이 좋다. 특히 게임을 진행하면서 만나는 병사들 중 테크니션들이 무기를 개조해주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마다 추가되는 부가 기능이 또 매력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상황에 따라 무기를 바꿔가면서 적을 상대하는게 체력과 아머 소모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게임을 진행하다보면 종종 의무병과 엔지니어들을 만나게 되는데, 대화처럼 이벤트가 진행 중인 경우를 제외하곤 다가가서 마우스 좌클릭을 하면 의무병은 풀체력까지 회복을, 엔지니어는 풀방어력까지 방어구를 수리해준다. 싸우다가 이러한 엑스트라성 아군들이 적의 공격을 맞으면 금방 죽어버리므로 적절히 활용을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스트로그 기지 내부의 묘사는 상당한 고어함을 보여주는데, 스트로그에 생포된 병사들이 스트로그 병사로 산채로 신체 개조되는 모습, 죽은 시체를 처리하고 정화하는 모습, 인체 실험 등의 장면이 등장한다.[14] 나중에는 좀비처럼 변해버린 병사들도 대거 등장한다.

3.1.1. 스토리

한국어 비공식 패치[15]는 커녕 영어 자막도 옵션에서 지원하지 않아서,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이 아니면 퀘이크 4의 스토리는 대략적으로만 알 수 있었다.



3.2. 멀티플레이

3.3. 무기

싱글 플레이의 무장들은 멀티플레이와 다르게 장전을 해야하며, 반동도 꽤 있는 편이다. 대부분의 무기는 게임을 진행하면서 업그레이드가 됨을 참조.
멀티플레이에서는 퀘이크 3 아레나의 건틀릿으로 대체된다.

우클릭하면 스코프로 조준을 하는데, 이때는 단발 사격만 가능하므로 주의가 필요한 대신 정확도가 좀 더 높아져서 헤드샷을 하기 유리하다. 조준 시 단발 사격 메커니즘은 훗날 둠 리부트 볼텍스 라이플(멀티플레이 한정), 울펜슈타인 2: 더 뉴 콜로서스의 61년형 돌격소총(조준경 부착), 둠 이터널의 헤비 캐논이 그대로 이어받았다.
머신건처럼 초반에 얻는 무기다. 기본적으로 펌프액션 방식으로 장전하며 8발의 탄을 한발 한발 넣어서 쏜다. 가까운 거리에서 화력이 강력하며, 꽤나 거리가 벌어져도 대미지가 잘나오는 편이다. 스트로그 마린 정도는 중거리에서도 한1, 버서커는 2~3발 정도에 쓰러진다. 초반에는 탄약이 잘 안나오지만 후반에는 탄약이 매우 많이 나온다. 위력/장전속도 모두 만족스러운 총이다.
후반부에는 장전 형식이 박스탄창으로 바뀌는데, 기본 장탄수가 10개가 되며 탄약을 장전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지지만 한두발 쏘고 장전하던 습관 때문에 난전 중에 장전하는 실수를 하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후 탄창 방식 업그레이드는 레이지의 컴뱃 샷건에 계승되었다.
후반부에는 탄이 벽이나 바닥에 부딪히면 튀는 업그레이드가 추가되나, 숨겨진 적을 노리며 진행하기에는 불리한 점이 많아 있으나마나한 업그레이드다.
초반에 획득하는 무기인데도 피해량이 워낙 출중해, 초반부터 후반까지 계속 쓰이는 무기다. 유탄은 피격 가능한 물체(적이나 파괴 가능한 오브젝트)에 닿으면 즉시 폭발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굴러다니다가 일정 시간 후 폭발한다(엄폐물이 많은 코너에서 두어방 쏴주면 스트로그들의 단말마를 들을 수 있다).
위력은 확실히 막강하지만 유탄이니만큼 유효 사거리가 짧으며 탄속도 느리다. 다른 FPS 게임과 비교해도 확연히 묵직한 편이라 잘못 쏘면 그대로 유탄 먹고 분해되는 수가 있다. 또한 글래디에이터는 방패를 사용해서 유탄을 튕겨낼 수 있으므로 발을 노리고 쏘는 것이 좋다.
장탄수 업그레이드 시 탄창이 2개가 되어 100발을 장전할 수 있는데, 장전할 때 탄창을 하나씩 교환하기 때문에 50발씩 차는 특성이 있다. 후반부에는 우클릭으로 적을 조준하면 발사하는 탄이 적을 추적하는 업그레이드가 추가되는데, 근거리 난전이나 보스전에서 느린 탄속을 어느 정도 보완해주는 매우 유용한 업그레이드이다. 물론 탄속은 여전히 느리기에 초장거리전에는 적합하지 않다.
업그레이드 후 마우스 우클릭 시 나타나는 조준점으로 로켓이 유도된다.
참고로 퀘이크 4에서는 로켓 점프가 불가능하다.
기본 화력이 막강한 덕에 헤드샷을 노리는 플레이에 안성맞춤이고, 관통 효과까지 추가되면 스트로그 마린이나 택티컬 인포서 쯤은 줄줄이 꼬챙이로 꿰어버릴 수 있다. 다만 근접공격을 주로 해대는 그런트나 버서커, 라이트 탱크에게는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보스전에서도 네트워크 가디언이나 매크론 정도에게는 쓰기 좋지만, 스트로그가 된 보스 분대장과 넥서스는 주기적으로 방어막을 치기 때문에 그다지 쓸만하지 않다.
후반부에는 근처의 적에게 같이 데미지를 주는 업그레이드가 적용되는데, 적이 말 그대로 바싹 붙어 있어야만 적용되므로 아무 의미가 없는 업그레이드이다.
탄속이 히트스캔인 덕에 넥서스와의 최종 전투에서 넥서스의 방어막을 치우는 데 매우 효과적인 무기이다.
네크워크 가디언 이후의 보스전에서 사용 가능하다. 가장 쓰기 좋은 상대는 뭐니뭐니해도 매크론이고, 네트워크 가디언은 워낙 부산하게 날아다니는지라 맞추기가 쉽지 않다. 넥서스는 장전 속도 문제 때문에 이 무기로 방어막 해제와 본체 공격을 동시에 하기 난감하니 둘 중 하나에만 써 주는 게 좋다.

4.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pc/quake-4|
81
]]


[[https://www.metacritic.com/game/pc/quake-4|
7.6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360/quake-4|
75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360/quake-4|
6.9
]]

이전작들에 비해 좋은 평을 받지 못했다.

둠 3와 마찬가지로 싱글 플레이의 양상이 하프라이프헤일로와 유사한 레일 슈터가 되어버린데다가 세련미도 부족해서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게이머들은 퀘이크 4의 싱글 플레이에 이전 시리즈만큼 이전만큼 깊이 몰입하지 못했다.

멀티플레이는 기존 퀘이크 3 아레나에서 변화없이 전작 그대로 답습하다 보니 새로운 요소가 거의 없었고[16] , 요구사양은 역시 더 높은데 그래픽 엔진 특색 때문에 색감이 칙칙해서 퀘이크 3에 비해 크게 좋아 보이지도 않았기 때뮨에, 퀘이크 멀티플레이 매니아인 퀘이커들은 굳이 퀘이크 3를 버리고 퀘이크 4로 옮길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

퀘이크 4는 단 한 번도 퀘이크 3의 유저 수를 넘어선 적이 없는데, 2005년 10월 당시 퀘이크 3는 발매된지 6년이 지난 시점이었고 인기도 상당히 떨어져 있었음을 감안하면 상업적으론 실패했다고 봐야 할 것이다. 퀘이크 4를 채택했던 각종 게임대회에서도 이내 퀘이크 3로 회귀했으며 퀘이크콘조차 퀘이크 라이브로 넘어갔다.

결국 대부분의 시리즈들이 그렇듯이 기존 팬들의 저력은 무서운 것이라, 출시 후 기존 팬들에게는 비판받고, 그렇다고 다른 게이머들에게 인상을 강하게 남기지도 못했다. 결국 2005년 연말 경쟁에서는 퀘이크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피어, 콜 오브 듀티 2 등의 경쟁작들에게 밀리는 결과를 낳았다.

5. 기타

게임 중반쯤에 주인공이 스트로그들에게 잡혀서 산 채로 기계로 개조당하는 고어한 씬을 1인칭으로 여과없이 묘사한 것이 인상깊었다는 평이 많았다. 영상 아예 하나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상당히 연출에 공을 들인 부분이다. 주인공보다 먼저 개조당하며 비명지르는 사람을 한 명 보여주면서 꽤 충격적으로 연출한다. 주인공의 뇌까지 개조하기 직전에 동료들이 구해주며 신체개조 때문에 스트로그어를 해석할 수 있게 되고, 체력과 아머 수치가 125로 증가하고 이동 속도도 살짝 증가한다.[17]

팬들에게 저평가를 받았다곤 해도 게임 자체가 모드 추가가 용이해서 모드는 꽤 많이 만들어진 편이었다.

그래픽의 경우 둠 3와 달리 1920x1200의 와이드 해상도까지 지원한다.[18]

참고로 1.04 패치부터 노시디 기능 지원(패치만 설치하면 CD없이 게임이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퀘이크 4가 발매된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국내 판매 가격이 8,000원으로 떨어졌는데, 그 덕분에 '퀘이크 4가 8천원'이라는 뜻의 Q48이 디시인사이드 FPS 갤러리에 유행하기도 했다.

Xbox 360의 런칭 타이틀 중 하나였는데 버그가 많은건 물론이고 프레임도 뚝뚝 끊기는데다 발매 후 사후지원을 전혀 하지 않아 업데이트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2년 4월 19일 뒤늦게 Mac 버전으로 이식되어 앱 스토어에 올라왔다.[19] 가격은 영국 기준으로 13.99파운드. 안티앨리어싱과 그림자 처리를 꺼두면 맥북 에어에서도 고퀄리티로 잘 돌아간다.

DII4A 포팅으로 Android에서도 돌릴 수 있게 되었다.

6. 관련 문서

7. 외부 링크



[1] 띄어쓰기가 영어명과 일치하지 않는다. 국내에는 영어판으로 정발되었으나, 게임물관리위원회 등록 명칭에 한국어 명칭이 존재하여 그대로 서술.[2] Mac App Store[3] #[4] 이때에는 Mac App Store라는 것이 없었다.[5] #[6] #[7] #[8] 한국어는커녕 영어 자막도 안 된다. 영어 자막 출력 모드도 있을 정도.[9] #, #[10] #[11] #[12] 대한민국 Apple 계정은 접속이 안 된다.[13] 윈도우 스왑 파일을 위해 400MB가 추가로 필요.[14] 퀘이크 2의 Processing Plant 레벨에서 비슷한 연출들이 나오긴 했다.[15] 게임 자체가 2바이트 문자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16] 멀티플레이에서 기존의 가속점프 외에 방향 전환시 유용한 슬라이드라는 기술이 추가되었는데 이 기술은 조작감에 있어서 중독성이 있어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17] 실험대에 구속된 상태로 레이저로 몸 검사를 받고, 쇼크, 출혈, 감염을 막는 주사를 심장에 놓는다. 여기서 개조된 인간이 또 주인공의 흉부에 칼을 댄다. 그리고 원형 톱으로 무릎 바로 위를 자른다. 그 다음 인공 다리와 강화복을 몸에 나사를 박아 장착하고, 스트로그 언어를 인식하는 동시에 세뇌시키는 역할을 하는 '뉴로사이트'가 두뇌에 박히는데 이 때부터 스트로그어가 영어로 보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뉴로사이트 활성화를 통한 세뇌만이 남은 상황에서 구조된다. 먼저 개조된 앞사람은 간발의 차로 세뇌를 당해 구하지 못한듯 하다. 진행 내내 앞사람의 비명이 압권이다[18] 둠 3는 와이드 미지원에 최대 해상도1600x1200. 다만 간단한 컨픽 수정으로 더 높은 해상도 및 와이드 구동이 가능하다.[19] 맥 버전은 2006년에 나왔는데 이때에는 Mac App Store라는 것이 없었다.[20] 대한민국 Apple 계정은 접속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