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30 15:45:54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랭크 모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W.svg파일:카트라이더: 드리프트 W.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4f2ef,#191919><colcolor=#000,#009DDC> 멀티플레이 아이템전 (아이템 종류) · 스피드전 · 기간 한정 모드 · 그랑프리 · 등급전 · 랭크전
싱글플레이 싱글 미션 · 타임어택 · 도전의 탑 · 리플레이
트랙 트랙 (테마) · 첫 등장일 및 수정사항 · BGM · 난이도 표기 문제
차고 카트바디 (목록 · A2) · 치장 파츠 · 풍선 · 리버리 · 캐릭터 · 레이싱 박스
콘텐츠 업적 · 콜라보레이션 · 드롭스
e스포츠 리그 · 스토브리그
업데이트 업데이트 · RISE · OVERDRIVE
평가 및 논란 평가 · 문제점 · 논란 및 사건 사고 (서비스 종료 사건)
기타 출시 전 정보 · 스토리 · 용어 · 주행 기술 · 디렉터 (조재윤 · 서재우) · 니트로스튜디오 · 템줌마 · 그건 원작을 경험해 보신 분들의 기준인 거고요 · 매칭이 안 되면 방송을 켜세요 · 카트라이더 레이싱 월드
}}}}}}}}} ||

1. 개요2. 상세
2.1. 세부 등급표
3. 역대 시즌
3.1. 2025 1st3.2. 프리시즌 랭크모드
4. 문제점

1. 개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랭크 모드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2. 상세

2023년의 그랑프리, 2024년의 등급전 이후 새로 개설된 경쟁전.

2.1. 세부 등급표

랭크 포인트의 약자는 RP와의 구분을 위해 RNP로 서술한다.

3. 역대 시즌

3.1. 2025 1st

2025년 5월 29일부터 2025년 7월 28일까지 진행된다.

실버까지는 하락폭이 없으나, 골드부터는 하락폭이 존재해서 등급이 강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락폭은 등급이 높아질수록 더 커진다.

2025 1st 랭크전에 대한 평가는 최악 그 자체. 아래의 수많은 문제점들이 서로 환장의 시너지를 이뤄 유저들을 고문하고 있다.

이 모든 사태의 원인은 성능 영향이 존재하는 보상 아이템 때문으로, 성능 영향이 존재하는 카트바디[14]와 캐릭터[15]가 보상으로 걸려 있어 많은 유저들이 탄식하고 있다.

수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면 다음 시즌부터는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16] 보상을 책정해야 할 것이다.[17]

때문에, 영웅 데릭 먹을 게 아니면 그냥 양대 골드1에 주차해놓고 유기해서 치장 파츠만 받아먹는 게 가장 가성비 있는 선택. 시간이 지날수록 매칭풀은 급속도로 박살나고 있으니, 최대한 빨리 주차해놓고 유기하자.

유저들이 전부 나가 떨어져 폐사했는지,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매칭풀이 박살났다. 모드의 평판이 나락으로 떨어졌다는 반증.

3.2. 프리시즌 랭크모드

서비스 종료가 10월 16일이라서 참여 시간,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 데이원리그 프리시즌과 다르게 별도로 보상이 없다. 2025년 7월 31일부터 10월 16일까지 진행된다.

4. 문제점


[1] 픽률 부동의 1위 카트바디. 사실상 정석이나 마찬가지이다.[2] 주류는 아니고 조커픽으로, 게이지 보호, 몸싸움, 안정성으로 중무장하여 극한의 생존력을 자랑하기에 개싸움이 벌어질 것 같을 때 슬며시 들어줄 수 있다.[3] 이쪽도 주류는 아니고 조커픽이다. 코너가 적은 직선 위주의 트랙에서 제한적으로 채용된다.[4] 강한 출부와 하이브리드의 유연성으로 변수 많은 랭크전에서 살아남기 좋다.[5] Centodieci en Bleu를 다루기 어려워하는 유저들이 찾는 차선책.[6] 게이지 보호와 높은 주행 및 몸싸움 능력으로 유연성이 좋은 가성비 픽.[7] 앞선 카트바디들을 하나도 보유하지 않았을 시 최후의 선택지. 하락폭이 존재하는 랭크전에서 고급차는 인권이다.[8] 검증된 정석. 막판 자부점이 아이템전의 정석이다.[9] 숙련자 한정 최강의 픽. 다룰 수만 있다면 러너&디펜스 양쪽으로 매우 강력하다.[10] 대미지도 강하고, 속력 포텐셜도 좋고, 막싸움에도 일가견이 있다.[11] 액티브 스킬 봉쇄와 강력한 속력 포텐셜을 모두 가진 막싸움 최강자.[12] 타겟팅 회피와 얕은 존재감으로 어부지리를 차지하기 좋다.[13] 강력한 대미지와 속도형 기능이 모두 존재하는 완소 픽.[14] 2025 1st 랭크전 시점 A2 카트바디의 최고 등급인 고급 등급에 보통의 순부차보다 한 수저 높은 15수저 순부차인 네온 머슬카 A2[15] 고급밖에 없었던 기존 데릭의 최고 등급을 갱신한 네온 데빌 데릭(희귀), 네온 엔젤 데릭(영웅)[16] 카트바디는 스탯이나 세부 성능을 다소 낮게 책정하고, 캐릭터 코스튬은 기존 최고 등급을 갱신하지 않는 선에서 출시해야 한다. 낮은 성능의 카트바디는 휠과 번호판 등 치장 파츠를 떼갈 수 있고, 낮은 등급의 캐릭터 코스튬은 고등급 코스튬에 외형을 덮어씌울 수 있어 가치는 존재한다.[17] 폭스 N1, 검은 늑대 휠, 만화 세상 부스터, CBT 번호판, 황금별 스키드, 걸크러시 선배 레나, 천사 날개, BUGATTI Macaron 엠블럼 등 성능에 영향이 없어도 희소성만으로 충분히 유저들의 소유욕을 자극할 수 있는 아이템은 많다. 이 아이템들은 없어도 살짝 아쉬운 수준이지 꼬운 정도는 아니다.[18] 카트바디는 2024년 초 당시 고성능 포지션인 12수저로 책정되었고, 캐릭터는 캐릭터 스킬이 도입되며 등급별로 스킬 쿨타임에 차등이 생겼다.[19] 2023 그랑프리 시절에는 카트바디 성능이 통일되어 있었고, 캐릭터 스킬도 없었다.[20] 카트바디는 스탯만 12수저였지 세부 성능이 낮았고, 캐릭터는 고급 등급이였다. 결국 카트바디는 휠 or 번호판 떼가는 용, 캐릭터는 관상용.[21] 확정 큐브로 인해 대폭 거세진 1등 견제, 2중 큐브 습득시 무조건 초기화 등. 물론 A2 등급에 해당 스킬 보유 바디가 안 나와서 슬롯 개수 제한을 아이템 체인저와의 시너지로 보완할 여지가 막힌 것과 특성 효과를 전혀 못 받던 시절의 저평가가 그대로 이어진 것도 있다.[22] 실제로 그랑프리 보상이었던 스카이 레이서 다오가 오랜 시간 이후 해적 다오 출시 전까지 유일한 희귀 다오였던 적이 있다.[23] 주요한 캐릭터는 다오, 브로디, 우니, 드라키, 꼬마유령, 루시드가 있다. 더 추가하면 마리드, 렉스, 브라이언, 지피시장 정도.[24] 스피드와 아이템 합산시 하루 60판.